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전석 20,000원
[50% 할인]
- 경로우대자 및 동반 1인
- 국가유공자 및 동반 1인
- 문화 패스(24세이하 또는 대학 학생증 소지자)
- 병역이행명문자 및 동반 1인
- 사회취약계층
- 예술인 패스
- 장애인 및 동반 1인
- 으뜸회원(공연당5매)
[30% 할인]
- 국악지음 회원
- 버금회원(공연당5매)
[20% 할인]
-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
- 산모카드, 다둥이 행복카드 소지자
- 신세계카드 결제자
- 아시아나항공 탑승권 소지 고객(탑승 7일이내)
- 일반 20명 이상 단체
** 중복 할인 불가
** 할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 지참
** 미지참 시 현장 차액발생
상세내용
풍류사랑방 수요춤전
2015.3. ~ 2015.12. 매주 수요일 오후 8시
눈을 현혹시키는 조명과 장치가 없는 민낯 무대 손끝에서 발끝까지 오직 무대의 춤사위로 승부한다!
틀에 박힌 화려한 무대를 벗어나 젊은 춤꾼에서 명인까지 살아있는 우리 음악의 선율에 몸을 맡긴다.
몸이 표현하는 서사를 통해 인생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눈앞에서 펼쳐지는 특별한 경험!
11.18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오후 8시
한국무용으로 시도하는 춤, 모노드라마 ‘사랑하나이다.’
관객과 함께 우리의 삶(희,노,애,락)을 사랑이란 주제로 이야기하며 춤으로 풀어 나아가면서 관객과 공연자가 사랑으로 하나됨을 추구한다.
춤으로써 감투를 바라지 않았고, 춤으로 건투하는 춤꾼이 되련다. 일찍이 계보에 연연하지 않으면서 자기류를 만들기에 정진해 왔다. 세월의 빛을 발하고 있는 계현순의 춤 공간이여! _평론가 윤중강
출연
계현순 / 국립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역임, 現) 예사랑춤터 무무헌(無舞軒) 대표
음악
전통음악그룹 ‘판’(유인상)
공연내용
1. 춘앵전 _ 춤:계현순 (피리, 박, 장구)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순조 때 세자대리 익종(翼宗)이 어느 화창한 봄날 아침 버드나뭇가지 사이를 날아다니며 지저귀는 꾀꼬리 소리에 감동, 이를 무용화한 것으로 지금까지도 전승되어오는 춤이다. 길이 여섯 자의 제한된 화문석(花文席) 위에서 한없이 느리게 추는 우아한 독무(獨舞)이다. 궁중무용 가운데서 가장 많은 춤사위와 시적인 춤사위 용어를 가지고 있으며 춤이 시작되자 부르는 창사는 순조 28년(己丑, 1828) 세자인 익종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2. 살풀이 _ 춤:계현순
계현순의 살풀이는 故 박병천 선생님의 구음 살풀이에 맞추어 세월 속의 희노애락을 함께한 인생의 무게를 엿볼 수 있으며 백발의 恨을 겸허히, 아름답게 받아들이는 춤사위는 계현순만의 독특한 詩적인 몸의 언어로 이끌어 나아간다. 특히나 수건을 하늘 높이 던지는 사위와 입으로 가볍게 물어올리는 사위는 계현순의 살풀이춤에만 있는 특징이다.
3. 흥타령(즉흥무) _ 춤:계현순
여인들이 살아가면서 힘들고 어려운 삶을 민요 흥타령에 맞추어 누운풀처럼 자기를 낮추며 진흙 속에서 피어나는 연꽃처럼 다시 살아나는 잡초같이 연약하지만 강한 의지를 표현한 춤이다.
4. 신칼무 _ 춤:계현순
일명 신칼대신무라는 이 춤은 신칼이라는 긴 대나무의 양쪽 끝에 한지를 가닥내어 길게 드리워 양손에 들고 춘다. 지금은 많이 추어지지 않는 이 춤은 남사당패에서 활동하신 故 이동안 선생님으로부터 전수되어 문일지 선생님에 의해 재정립되었으며 이후 국립민속국악원에서 계현순에 의해 다시 재현되었다.
영혼을 달래며 풍성하게 공중에 머무르는 듯한 지전의 움직임은 마치 하늘로 향하듯 단아하고 정갈하며 힘 있는 것이 특징이다.
5. 승무 _ 춤:계현순
불교의식의 영향을 받은 한국무용의 대표적인 춤으로 故 한성준 명무에 의하여 체계화 되었으며 한영숙류와 이매방류가 널리 알려져있다. 계현순에 의해 재해석 안무 된 이 춤은 바지저고리에 장삼을 걸치고 백옥 같은 고깔과 버선코가 유난히 돋보인다. 참회를 하는 춤의 장중함과 자진모리, 동살풀이, 휘모리, 법고가락으로 구성 된 환희의 북놀음이 매력적인 춤이다.
다음공연 안내
- 11.25 명인 명무전 국수호의 춤
- 국수호 (사)국수호 디딤무용단 이사장 겸 예술감독, 서울시 문화재 위원회 위원
- 12.2 명인 명무전
- 인남순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조교, 한국전통문화 연구원 원장
- 12.9 김수현과 춤벗들의 풍류나들이
- 김수현 전북도립 국악원 무용단 단장
관람안내
전석20,000원, 문의 및 안내 02-580-3300 www.gugak.go.kr
[50% 할인]
- 경로우대자 및 동반 1인
- 국가유공자 및 동반 1인
- 문화 패스 (24세 이하 또는 대학 학생증 소지자)
- 예술인 패스
- 장애인 및 동반1인
[30% 할인]
국악지음 회원
[20% 할인]
-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
- 신세계 카드 소지자
- 아시아나항공 탑승권 소지 고객(탑승7일이내)
- 일반 20명 이상 단체
※ 중복 할인 불가, 학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지참, 미지참 시 현장 차액발생
오늘 공연의 감동을 사진으로 남기세요! (커튼콜시,자유로은 촬영 사진이 있습니다. 감동의 주인공등를 사진으로 담아가세요.)
※ 본 공연은 일정 및 프로그램은 주최측의 사정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
기대평작성
- .
공연장정보

풍류사랑방 좌석배치도, 총 130석, 장애인석 제외
일반석: 일반 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 : 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을 의미합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나열 1행 1~7번, 2행 8~15번, 3행 16~23번, 4행 24~33번, 5행 34~43번, 6행 44~54번 의 좌석이 있습니다. 7행은 장애인석(휠체어석)으로 최대 10대의 휠체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공연 예매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
-
1
공연장선택
-
2
날짜/시간선택
-
3
좌석 선택
-
4
인원 및 할인선택
-
5
결제정보 입력
-
인터넷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공연 일자, 좌석 선택 결제방법 선택 후 결제 -
전화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카드결제 불가/현금 송금만 가능 -
방문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공휴일, 일요일 휴무)
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방법 | 인터넷 예매 | 전화예매 | 방문예매 |
---|---|---|---|
취소방법 |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
취소변경 가능시간 |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
||
유의사항 |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