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효명세자가 만든 향악정재의 하나로, 여섯 명의 무용수가 봄을 찬탄하는 내용의 악장을 노래하며 추는 춤.
춘광호는 1828년(순조 28) 어머니인 순원왕후(純元王后)의 보령 40세를 기념하는 진작례에서 연행한 무동정재이다.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지은 화창하게 갠 봄 날씨를 찬탄하는 「춘광호지사(春光好之詞)」를 악장으로 삼아 여섯 명의 무용수가 대오를 바꾸며 추는 춤이다.
춘광호는 순조 『(무자)진작의궤』(1828)의 기록으로 전한다. 1828년(순조 28) 6월 1일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보령 40세를 기념하는 연경당(演慶堂) 진작례(進爵禮)에서 처음 연행되었다. 같은 해 2월 한 차례의 잔치를 올린 탓에 왕실 가족 여덟 명과 외빈 네 명만이 참석한 조촐한 내연(內宴)으로 행해졌다. 효명세자는 11편의 악장과 열일곱 편의 새로운 정재(呈才)를 설행하여 효를 실천하고 성인 군주의 덕목을 바로 세우는 등 정치질서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춘광호의 악장은 중국 청대에 저술된 『연감유함(淵鑑類函)』(1710)에 전거(典據)를 두고 있다. 효명세자는 당(唐) 원종(元宗)이 창제한 ‘춘광호’의 제목을 가져와 화창하게 갠 봄 날씨를 악장으로 짓고 정재로 표현하였다. 이후 대한제국기인 1902년(광무 6) 4월과 11월 대전 외진연에서 무동정재로 연행되었다.
20세기 초반에 연행이 단절되었다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를 토대로 이흥구(李興九, 1940~ )가 재현 안무하였다. 복원공연은 1996년 9월 17일 호암아트홀의 이흥구 궁중정재 발표회에서 초연되었다. 같은 해 10월 10일 국립국악원 전통무용발표회에서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공연하였다.
1) 「망선문」, 「경풍도」, 「만수무」, 「헌천화」, 「춘대옥촉」, 「보상무」, 「영지」, 「박접」, 「춘앵전」, 「첩승」, 「무산향」
○내용 춘광호는 궁궐에 든 봄볕을 찬탄하는 내용이다.
○구조
춘광호의 구조는 향악정재의 형식을 따른다. 죽간자(竹竿子)의 인도로 춤을 진행하는 당악정재와는 달리 무용수들이 등장하여 춤을 추고, 끝나면 절을 하고 퇴장하는 형식으로 간결하게 진행된다.
○진행절차
춘광호는 『(무자)진작의궤』와 『(무자)진연의궤』 정재도에 초입 배열이 그려져 있다. 춘광호의 무보(舞譜)는 『정재무도홀기』에 술어(述語) 및 무도(舞圖)가 기록되어있다.
〈도입부〉
춘광호는 북쪽에 두 명ㆍ남쪽에 두 명ㆍ동쪽에 한 명ㆍ서쪽에 한 명의 무동(舞童)이 전체 여섯 명의 전후좌우복합대형으로 초입의 대오(隊伍; 편성된 대열의 줄)를 구성하여 춤을 시작한다.
〈전개부〉
반주 음악 없이 「춘광호지사」 를 부른다. 창사를 마치면 다시 음악이 시작되고 상대무(相對舞; 서로 마주보고 추는 춤)와 상배무(相背舞; 서로 등을 지고 추는 춤)로 두 명 구성의 변화를 통해 직선적인 대오에 변화를 꾀한다. 전대[前隊(북쪽)]와 후대[後隊(남쪽)]가 대를 바꾸고, 중대(中隊)의 좌우가 대오를 바꾸어 춤춘다. 그리고 대(隊)를 교차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간다.
〈종결부〉
무용수들이 원래의 전후좌우복합대형으로 다시 돌아오면 북쪽을 향하여 무퇴ㆍ무진하여 서고 염수족도(斂手足蹈)하고 춤을 마친다.
○춤사위
춘광호는 처음의 대형에서 대(隊)를 교차하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 대를 구성하는 반복을 통해 회귀하는 순환성을 보여준다. 반복을 통해 유발되는 춤의 흥취(興趣)는 절제되고 조화로운 유려함이 돋보인다.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전하는 춤사위는 무진(舞進)ㆍ무퇴(舞退)ㆍ상대(相對)ㆍ상배(相背)ㆍ좌우선전(左右旋轉)ㆍ이수고저(以袖高低)ㆍ수수(垂手)ㆍ번수(翻袖)ㆍ일불일전(一拂一轉) ㆍ수신요합절(隨身腰合節)이 다.
조선 후기의 악장은 조선 창업의 찬란함과 후대의 교화를 위한 통치이념을 담아내던 조선 초기의 악장과는 달리 사물을 관찰하거나 그 감흥을 통해 태평성대(太平聖代)와 성수무강(聖壽無彊)을 담아내고 있어 문학적ㆍ예술적으로 악장 표현의 범주를 확장하고 있다. 춘광호의 창사는 연일 내리던 비가 갠 어느 봄날 풍경을 대하며 직접 갈고(羯鼓)를 연주하던 당 원종의 곡(曲) ‘춘광호’의 고사에 근거하여 칠언율시로 창제되었다. 궁궐에 든 아름다운 봄볕을 찬탄하여 태평성대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원문 | 해설 | |
「병창」 | 曈曈日出大明宮, 天樂遙聞在碧空. 동동일출대명궁, 천악요문재벽공. 禁樹無風正和暖, 玉樓金殿曉光中. 금수무풍정화난, 옥루금전효광중. | 궁궐 위로 해가 환히 떠오르니 하늘 음악 저 멀리 푸른 하늘에서 들린다. 대궐 숲은 바람 없어 정말 따뜻하고 옥 누대, 황금 전각 새벽빛 속에 찬란하다. |
원문: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2』 번역: 강명관
『정재무도홀기』에 전하는 반주음악은 〈만화신지곡(萬花新之曲)〉이다. 〈만화신지곡〉은 1828년(순조 28) 자경전 진작에서 연주하던 〈향당교주(鄕唐交奏)〉에 붙여진 아명(雅名)이다. 오늘날 반주음악으로 〈향당교주〉를 쓰는데, 이는 〈관악영산회상〉에서 허용되는 리듬과 선율의 불규칙성을 부분적으로 변주하여 정재 반주에 적합하도록 다듬은 곡이다.
춘광호는 여섯 명이 연행하는 정재로, 기존에 없었던 전후좌우복합대형으로 춤을 시작하여 상대ㆍ상배하며 춤을 추고 대오를 바꾸어 추는 등 새로운 구성을 통해 정재의 표현과 형식을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손선숙,「협무[무용수] 6인 구성 정재의 정재도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31, 2015. 송방송,「대한제국 시절의 진연과 관기들의 정재공연 - 『고종신축진연의궤』의 정재여령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1, 2003. 송방송,「조선왕조 정재 및 정재사료의 서설」, 『국악원논문집』 27, 2013. 이의강,「순조 무자년(1828) ‘연경당진작’의 성격과 연출 정재들 간의 내적 흐름」, 『민족무용』 7, 2001. 조경아, 「순조대 정재 창작양상 : 중국 문헌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31, 2003.
김기화(金起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