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승(疊勝)
조선 후기 효명세자가 창제한 향악정재의 하나로, 여섯 명의 협무(挾舞)가 아름다운 궁중의 경치[첩승]를 표현한 악장을 노래하며 추는 춤.
첩승무는 1828년(순조 28)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가 창제한 향악정재(鄕樂呈才)이다. 여섯 명의 협무(挾舞)가 궁중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칠언이구(七言二句)의 한시(漢詩)를 제일첩(第一疊)부터 제십첩(第十疊)까지 노래하고, 대형의 변화를 꾀하며 춤춘다.
첩승무는 1828년 6월 1일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의 보령 40세를 기념하는 무자년 진작례(進爵禮)에서 처음 연행되었다. 창덕궁(昌德宮) 연경당(演慶堂)에서 거행된 무자년 진작례에는 열일곱 종의 정재가 공연되었는데, 그중 11종의 정재가 효명세자가 예제(睿製; 왕세자가 직접 창작한 작품)한 악장(樂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때 효명세자가 지은 악장은 짙은 정치적 색채를 담았던 조선 초 악장과는 달리 자연과 사물을 관찰하고 감상하여 얻은 감흥을 담아내는 등 한층 예술적인 색채가 돋보인다.
첩승무는 당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를 비유적으로 담아내며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예술을 벗 삼아 살아가는 임금과 왕비와 궁녀들의 삶을 정재로 녹여내었다.
첩승무는 순조 대에 창제된 이후 대한제국 시기까지 연행되었으나 20세기 초반에는 단절되었다. 이후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를 토대로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의 재현 안무로 복원되었고, 1981년 11월 9일 국립국악원의 전통무용발표회에서 국립극장 소극장 무대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1) <망선문>, <경풍도>, <만수무>, <헌천>, <춘대옥촉>, <보상>, <영지>, <박접무>, <춘앵전>, <첩승>, <무산향>
○ 내용 ‘첩승’은 ‘첩첩이 쌓여있는 아름다운 경치’라는 의미이다. 첩승무는 제목과 같이 첩첩이 쌓여있는 아름다운 궁중의 정경(情景)을 노래와 춤으로 표현하고 있다.
○구조
첩승무의 구조는 향악정재의 형식을 따른다. 죽간자(竹竿子)의 인도로 춤이 진행되는 당악정재와는 달리 무용수들이 등장하여 춤을 추고, 끝나면 절을 하고 퇴장하는 형식으로 간결하게 진행된다.
○진행절차
첩승무는 1828년(순조 28) 『(무자)진작의궤』ㆍ1892년(고종 29) 『(임진)진찬의궤』 ㆍ1901(광무 『(신축)진연의궤』ㆍ1902(광무 6)년 『(임인)진연의궤』 4월과 11월의 의궤에 의주(儀註)와 정재도(呈才圖)가 수록되어 있다. 첩승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순조 이후 대한제국까지의 연향 기록인 『정재무도홀기』에 전한다. 『(계사년)홀기(癸巳年笏記)』와 『(신축)진연홀기(辛丑進宴笏記)』에는 여령정재의 기록이 전해지고, 『(신축)외진연홀기(辛丑外進宴笏記)』와 『무동홀기(舞童笏記)』에는 무동정재의 기록이 전해진다. 『무동홀기』에는 창사가 없고 춤의 진행도 축소되어 있다.
첩승무는 제일첩(第一疊)부터 제십첩(第十疊)까지 하나씩 사를 노래하고 춤추는 과정에서 반복적이고 규칙적으로 진행된다. 노래를 중심으로 춤이 진행되어 춤사위의 변화보다는 대열의 변화로 큰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도입부〉
음악이 시작되면 전후복합대형(前後複合隊形)을 구성한 전대(前隊) 한 명ㆍ중대(中隊)네 명ㆍ후대(後隊) 한 명의 무용수가 춤을 시작한다.
〈전개부〉
악이 그치면 제일첩(第一疊)부터 제십첩(第十疊)까지 각 각의 사를 노래한다. 창사를 마친 후에는 춤이나 대형을 구성하고 진행한다.
일첩(一疊)
악이 연주되면 여기(女妓) 여섯 명이 춤추며 나가서 서고, 악이 그치면 제일첩(第一疊)의 사를 노래한다.
이첩(二疊)
악이 연주되고 조금 물러나 춤추고 여기가 둘씩 짝을 지어 상대(相對; 서로 마주봄)ㆍ상배(相排; 서로 등짐)로 춤추고, 회선(回旋)하며 춤을 춘다. 모두 북향(北向)하고 악이 그치면 제이첩(第二疊)의 사를 노래한다.
삼첩(三疊)
악이 연주되고 이대(二隊)로 나뉘어 좌우로 돌면서 춤을 추고, 남북으로 상배하여 춤을 춘다. 악이 그치면 후대(後隊)가 북향하여 제삼첩(第三疊)의 사를 노래한다.
사첩(四疊)
악이 연주되고 동서로 나뉘어 상대하여 춤을 추고 동서로 나뉘어 서로 상대ㆍ상배하여 춤을 추고, 대를 바꾸어 제자리로 돌아가 춤춘다. 악이 그치면 제사첩(第四疊)의 사를 노래한다.
오첩(五疊)
악이 연주되면 소매를 들어 춤추고 나란히 무진ㆍ무퇴하며 춤을 춘다. 악이 그치면 제오첩(第五疊)의 사를 노래한다.
육첩(六疊) #5. 영상, 첩승무 제6첩 좌우제일인(左右第一人) 출대이무(出隊而舞)
악이 연주되면 좌우의 한
명이 대를 나와 무진하여 춤을 추고, 악이 그치면 제육첩(第六疊)의 사를 노래한다.
칠첩(七疊)
악이 연주되면 좌우 두 명이 무진하여 전대를 따라 춤추고, 악이 그치면 제칠첩(第七疊)의 사를 노래한다.
팔첩(八疊)
악이 연주되면 좌우 세 명이 두 대를 따라 춤추고, 악이 그치면 제팔첩(第八疊)의 사를 노래한다.
구첩(九疊)
악이 연주되면 북쪽을 향하여 춤추고, 악이 그치면 제구첩(第九疊)의 사를 노래한다.
십첩(十疊)
악이 연주되면 나란히 줄지어 무진ㆍ무퇴하며 춤추고 원래의 열로 돌아가 춤을 춘다. 악이 그치면 제십첩(第十疊)의 사를 노래한다.
〈종결부〉
악이 연주되면 무퇴를 하고 춤을 마친다.
○춤사위
첩승무의 춤사위 용어는 『정재무도홀기』에 전한다. 용어는 춤의 대무 방식이나 대형을 의미하는 용어와 팔의 움직임이나 팔의 위치에 붙인 춤사위의 명칭이다. 상향이무(相向而舞)ㆍ상배이무(相背而舞)ㆍ회선이무(回旋而舞)ㆍ분2대 좌우 선전이무(分二隊 左右 旋轉而舞)ㆍ분남북상배이무(分南北相背而舞)ㆍ상대이무(相對而舞)ㆍ분동서 상향이무(分東西 相向而舞)ㆍ상배환대이무(相背換隊而舞)ㆍ환복기대이무(還復基隊而舞)ㆍ북향이무(北向而舞)ㆍ번수이무(翻袖而舞)ㆍ제행무진무퇴(齊行舞進舞退)ㆍ팔수이무(八手而舞) ㆍ좌우 두 명 수전대이무(左右二人 隨前隊而舞)ㆍ좌우 세 명 수두대이무(左右第三人 隨二隊而舞)ㆍ북향이무(北向而舞)ㆍ염수而舞)ㆍ제행진퇴ㆍ환복초열ㆍ무진이립이 기록 되어있다.
창사는 칠언이구(七言二句)로 총 십첩의 한시로 구성되어 있다. 여섯 명의 협무가 춤을 추며 제일첩(第一疊) 창사로 시작하여 제십첩(第十疊)의 창사를 부르며 춤을 춘다. 당 현종과 양귀비의 이야기를 비유한 칠언이구로 된 이 창사는 모든 아름다움이 있는 궁궐의 정경을 표현하고 있다.
원문 | 해설 | |
[일첩 창사] | 翠樓春日捲珠簾, 紫鷰雙飛近畫簷. 취루춘일권주렴, 자연쌍비근화첨. | 봄날 비취빛 누각에서 주렴을 걷으니 꽃 그림 처마 근처 작은 제비 짝지어 나네. |
[이첩 창사] | 雕欄灼爍百花光, 畫院春深十二香. 조란작삭백화광, 화원춘심십이향. | 아로새긴 난간은 온갖 꽃 환하게 빛을 뿜고 봄 깊은 화원(畵院, 花院’의 오자)에는 갖은 향기 그윽하네. |
[삼첩 창사] | 春近昭陽殿裡人, 仙裙風動好輕身. 춘근소양전리인, 선군풍동호경신. | 봄 가까워지자 소양전(少陽殿,, 춤 잘 추던 飛燕이 살던 궁전)의 여인 고운 치마에 바람 이니 춤사위 날렵하네. |
[사첩 창사] | 玉樓春月正遲遲, 碧繡簷前花影移. 옥루춘월정지지, 벽수첨전화영이. | 옥 누각에 봄 달 천천히 떠오르자 푸른 빛 고운 처마에 꽃 그림자 비치네. |
[오첩 창사] | 玉礎花甎築歌臺, 玳瑁盤中軟舞來. 옥초화전축가대, 대모반중연무래. | 옥 주춧돌 꽃 벽돌로 가대(歌臺)를 쌓아놓고 대모반(玳瑁盤)[바다거북을 그린 춤추는 무대] 안에서 춤사위 나긋나긋. |
[육첩 창사] | 春光先到百花樓, 宮女雙雙弄彩毬. 춘광선도백화루, 궁녀쌍쌍농채구. | 온갖 꽃 어우러진 누각에 봄빛 먼저 이르자, 궁녀들 쌍쌍이 채구(彩毬)를 갖고 노네. |
[칠첩 창사] | 朝日曈曈興慶池, 梨園弟子奏新詞 조일동동흥경지, 이원제자주신사. | 아침 해가 흥경지(興慶池)[당나라 현종이 양귀비와 모란을 감상하던 연못]를 환히 밝히니 이원(梨園) 제자들 새 가사를 노래하네. |
[팔첩 창사] | 弟子部中奏新樂, 沈香亭上半捲箔 제자부중주신악, 침향정상반권박. | 이원(梨園) 제자 부중(部中)에서 새 음악을 연주하고 침향정(沉香亭)[흥경지에 있던 정자] 위엔 발을 반쯤 걷었구나. |
[구첩 창사] | 妃子春遊臨玉塘, 梨園新奏荔支香. 비자춘유임옥당, 이원신주여지향. | 비빈들 옥당(玉塘, 연못)에 봄나들이 나오니 이원(梨園)에선 새로이 여지향(荔支香)[당나라의 악곡 이름]을 연주하네. |
[십첩 창사] | 羯鼓聲崔御苑花, 紫衣宮女按琵琶. 갈고성최어원화, 자의궁녀안비파. | 갈고(羯鼓) 소리 어원(御苑)의 꽃 피라고 재촉하고 자색 옷 궁녀는 비파를 뜯네. |
원문: 김천흥, 『정재무도홀기 창사보2』 번역: 강명관
첩승무의 반주음악은 홀기에 따라 다르게 전해진다. 〈태평춘지곡(太平春之曲)〉ㆍ〈응상지곡(凝祥之曲)〉ㆍ〈경춘화지곡(慶春和之曲)〉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곡들은 모두 아명(雅名)으로 〈향당교주(鄕唐交奏)〉에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첩승무는 한 곡의 반주음악으로 연행되지만 진행상 악(樂)-무악(樂) 창사로 십첩의 사가 진행될 때까지 반복하여 진행한다.
무동복식은 1828(순조 28)년 『(무자)진작의궤』에 도식(圖式)으로 전한다. 무동은 머리에 아광모(啞光帽)를 쓰고, 상의로 홍라포(紅羅袍)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線中單衣)를 입고, 띠는 남질흑선상(藍質黑縇裳)에 주전대(珠鈿帶)를 두르고 흑화(黑靴)를 신는다. 그러나 하의와 손에 두른 한삼(汗衫)의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여령의 복식은 1892년(고종29) 『(임인)진찬의궤』 각무정재여령(各舞呈才女伶) 복식이 도식으로 수록되어 있다. 머리에는 화관(花冠)을 쓰고, 상의에 황초단삼(黃綃單衫), 하의에 이남색상표(裏藍色裳表)ㆍ 홍초상(紅綃裳)을 입고,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띠로 두르고, 손에는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매고 발에는 초록혜(草綠鞋)를 신는다.
첩승무는 대부분의 정재가 중국 문헌에 나오는 창사를 노래하는 데 비해 효명세자가 독자적으로 창제한 악장을 노래하는 정재이다. 첩첩이 쌓여있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예술을 벗 삼아 살아가는 임금과 왕비와 궁녀들의 삶을 악장으로 녹여냄으로써 문학적이며 예술적인 양식으로 새롭게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특히 무동 여섯 명이 춤을 추며 십첩의 사(詞)를 노래한 일종의 합창 춤으로 춤사위의 다채로움보다는 대형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손선숙,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2017. 송방송,「대한제국(大韓帝國) 시절의 진연(進宴)과 관기(官妓)들의 정재공연(呈才公演) - 『고종신축진연의궤(高宗辛丑進宴儀軌)』의 정재여령(呈才女伶)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1, 2003. 이의강,「樂章으로 읽어보는 孝明世子의 ‘呈才’ 연출 의식 - 純祖朝 戊子年(1828) 연경당진작(演慶堂進爵)의 경우 -」, 『漢文學報』12, 2005. 조경아, 「순조대 효명세자 대리청정시 정재(呈才)의 계승과 변화」, 『민족무용』5, 2004. 이흥구ㆍ손경순, 『한국궁중무용총서』13, 보고사, 2010.
김기화(金起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