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제례의 아헌례와 종헌례에 연주하는 《정대업》 열한 곡 중 마지막 곡
영관은 《정대업》 열한 곡 중 마지막 곡으로써, 종묘제례의 아헌례(亞獻禮)와 종헌례(終獻禮)를 마친 후 헌관(獻官)을 인도하여 나갈 때 연주하는 인출(引出) 곡이다.
○ 악곡의 소속과 용도
영관은 《정대업》 열한 곡 중 마지막 곡으로써, 종묘제례의 아헌례와 종헌례를 마친 후 헌관을 인도하여 나갈 때 헌가에서 연주하는 음악이다.
○ 제목, 선율, 악장가사의 출처
영관은 『세종실록』 악보 《정대업》 중 한 곡인 〈화태〉를 축소한 곡이다. 〈화태〉는 평조로 된 고려가요 〈서경별곡〉을 계면조로 바꾼 것이다. 영관이라는 악곡 명은 악장가사 중 ‘영관궐성(永觀厥成)’에서 나왔다.
○ 음계, 박법, 장단
『세조실록』 악보 영관의 음계는 황(黃:C4)·협(夾:E♭4)·중(仲:F4)·임(林:G4)·무(無:B♭4)의 황종 계면조였다. 현재 편종ㆍ편경 선율은 『세조실록』 당시와 동일하게 전승되고 있으며, 피리ㆍ대금ㆍ해금과 악장(樂章)의 경우 음계의 최저음 황종(黃:C4)을 모두 무역(㒇:B♭3)로, 일부 임종(林:G4)을 중려(仲:F4)로 내려 연주한다. 세 글자마다 박을 한 번 치며[三字一拍], 박 여덟이 한 곡을 이루었으나[八拍一聲] 현재는 박 넷이 한 곡을 이루는[四拍一聲] 형식으로 변화되었다. 현행 〈영관〉의 장구점은 『세조실록』 악보의 장구점을 현행 리듬에 적용한 것이다.
오황열성(於皇列聖) 아아! 위대한 열성께서는, 세유무공(世有武功) 대대로 무공이 있으셨네. 성덕대업(盛德大業) 성한 덕과 큰 일을, 갈가형용(曷可形容) 어찌 모두 형용할 수 있으랴? 아무유혁(我舞有奕) 우리 춤은 차례가 있어 진지유정(進止維程) 나가고 그치는 것 법도가 있도다 위위타타(委委佗佗) 의젓하고 또 편안하니 영관궐성(永觀厥成) 길이 〈나라가〉 이루어짐을 볼 수 있네
출처: 이세필 편저, 윤호진 역주, 『역주악원고사』, 국립국악원, 2006.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김종수, 『역주 증보문헌비고』, 국립국악원, 1994. 송지원ㆍ이숙희ㆍ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이세필 편저, 윤호진 역주, 『역주 악원고사』, 국립국악원, 2006. 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1986. 류정연, 「정대업의 음악적 변화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이숙희,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변화」, 『한국음악연구』39, 2006, 237~265쪽. 조성욱, 「종묘제례악의 장고점 변천의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이숙희(李淑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