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무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까지 궁중에서 연행된 향악정재로, 기녀가 양 손에 칼을 들고 추는 춤
조선시대 정조대부터 대한제국 고종황제 시기까지 궁중의 각 연향에서 두 명ㆍ네 명ㆍ여덟 명 구성으로 여성무용수가 검기(劍器)를 들고 대무 형식으로 추었던 춤이다. 검기무의 주제는 충의(忠義)와 상무(尙武)정신이며, 여성이 전복과 전립을 갖추고 칼춤을 추는 모습에서 역동성과 비장미를 보여주었다.
궁중에서 검기무(劍器舞)가 처음 추어진 시기는 1795년(정조 19)이다.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가 회갑을 맞이한 것을 축하하는 진찬이 수원 화성의 봉수당에서 열렸는데, 당시 전국 교방에서 유행하던 〈검무〉를 처음 연행하였다. 이때 〈검무〉를 춘 기녀는 의녀(醫女)인 춘운(春雲)과 침선비(針線婢; 궁중에서 바느질을 맡았던 여성)인 운선(雲仙)이었다.
이후 1829년(순조 29), 순조의 40번째 생일을 경축하는 진찬에서 명칭과 의상, 동작들이 궁중 연회에 맞게 수정되었다. 즉, 〈검무〉를 검기무로 바꾸고, 의상을 똑같은 색으로 통일하고 칼을 던졌다 잡는 동작을 삭제했다.
한편, 이 연향을 기록한 『(기축)진찬의궤』 권1 「악장」에 검기무의 유래가 나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잡무곡(雜舞曲)」에 따르면, 건무(巾舞)이다. 항장(項莊)이 칼을 들고 춤을 추자, 항백(項伯)이 소매로 막으며 항장에게 ‘공은 하지 마시오.(公莫)’라고 말하였다. 나중에 검무가 되었고 검기무라고도 한다. 향악에서는 이 명칭을 사용한다.(雜舞曲云巾舞也。項莊舞劍, 項伯以衿隔之,若語莊云公莫。後爲劍舞, 又稱劍器舞。鄕樂用之。)
위 설명에 따르면, 검기무는 중국 진나라 말에 패권을 다투던 항우와 유방의 홍문연(鴻門宴) 사건으로부터 유래되었다. 항우의 신하 항장이 유방을 치려하자 항백이 소매로 막았다는 이야기에서 주군을 지키고자 했던 신하의 충성심을 표현한 작품이다. 또한 검무와 검기무는 조선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라고 밝히고 있다.
검기무의 구성에 대해서는 “여기(女妓) 네 명이 전립(戰笠)을 쓰고 전복(戰服)을 입고서 각각 검 두 자루를 쥐고 두 대로 나누어 서로 상대하여 춤춘다.”고 기록되어 있다. 민간의 검무는 두 명이 춘 것에 비해 네 명 구성으로 바뀌었고 검기(劍器)도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하지만 민간 검무의 구성은 그대로 유지되었고, 의물이나 창사가 새로 추가되지 않았다. 1829년(순조 29) 공연 후 조선 후기의 모든 연향(1848년(헌종 14)ㆍ1868년(고종 5)ㆍ1873년(고종 10)ㆍ1877년(고종 14)ㆍ1887년(고종 24)ㆍ1892년(고종 29)ㆍ1893년(고종 30))과 대한제국 시기 1901년(광무 5)ㆍ1902년(광무 6)의 연향에서 여러 차례 추어졌다.1902년 4월의 진연에는 네 명의 검기무를 두 쌍으로 구성하여 여덟 명이 추는 〈쌍검기무〉도 추어졌다.
검기무는 네 명이나 여덟 명 구성으로 추었고, 여덟 명 구성에서는 동기(童妓) 두 명이 출연하기도 했다. 좌대와 우대에 나눠진 무용수들이 마주보며 추었고, 검기무의 구성과 전개는 국립국악원 소장 『(계사)정재무도홀기』에서 볼 수 있다.
악사가 검기들을 무대 중앙에 놓고 나가면, 무용수들이 등장하여 좌대에 두 명 우대에 두 명이 마주보고 춤추기 시작한다. 앞으로 갔다 뒤로 가거나 자리를 바꾸기도 하며, 서로 마주보거나 등지고 춤추기도 한다. 이윽고 앉아서 검기를 잡을지 고심하다가 검기를 잡은 후에는 소매가 펄럭일 듯이 칼춤을 추고 일어난다. 네 명 또는 여덟 명의 무용수들이 검기를 들고 춤추며 분위기가 고조되는데 연귀소와 연풍대 동작을 하고, 춤추다가 퇴장한다. 민간에서 추는 검무의 전개와 유사하다. 의궤의 그림에서 검기무 동작들을 상상할 수 있다.
검기무의 춤사위 중에 농검(弄劍)은 바닥에 놓인 칼을 잡을 듯 말 듯 칼을 어르는 동작이다. 연귀소(鷰歸巢)는 제비가 둥지에 돌아간다는 의미로, 칼을 휘두르며 제비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춤사위를 말한다. 연풍대(筵風擡)는 대자리가 들릴 정도로 빙글빙글 빠르게 돌아가는 동작이다. 검기를 위아래로 번갈아 뻗치며 돌거나, 아래로 베는 듯한 동작을 하며 돌기도 한다. 현재 국립국악원의 공연에서는 악사가 검기를 갖다놓는 대목을 생략하고 검기를 무대 중앙에 놓아둔 채로 춤이 시작된다.
검기무에는 별도의 창사는 없다.
검기무의 반주 악곡명은 〈무령지곡(武寧之曲)〉이다. 무(武)는 용맹한 기운을, ‘령(寧)’은 평안을 의미하므로, 무의 기운으로 나라가 평안하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악곡명에 담겨 있다. 실제 반주곡 〈향당교주(鄕唐交奏)〉와 〈원무곡(原舞曲)〉으로 표기되었다. 〈원무곡〉이란 원래의 춤 반주곡이라는 뜻으로 〈향당교주〉를 말한다. 현재 국립국악원의 검기무 반주음악은 〈타령〉-〈자진타령〉-〈타령〉-〈자진타령〉으로 진행한다.
검기무는 정조 때 처음 궁중에서 추어진 후 순조 대부터 모든 연향에서 추어졌던 인기 있는 종목이었다. 이 춤은 주로 연향의 후반부에 배치되었고, 대한제국 시기에는 연향 마지막에 공연되었다. 춤과 기예가 높은 무용수들이 추었으며, 이 춤을 춘 여령(女伶; 무용수)에게 가장 많은 포상을 내렸다. 검기무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이다. 삼국이 겨루던 시기에 칼춤을 추어 백제왕을 죽이려 했던 신라의 황창랑 설화나, 홍문연에서 주군을 위해 칼춤을 추었던 항장과 이에 대응했던 항백의 고사는 모두 충(忠)을 표상한 춤이었다. 칼춤은 이러한 정신을 되새기며 오랫동안 이어졌고, 조선후기에 궁중에서 검기무가 추어진 것도 왕실에 대한 충성과 왕조의 자강(自强)을 다짐하기 위해서였다. 왕조의 번영과 왕실의 만수무강을 표현한 다른 정재들과는 색다른 주제를 보여준다.
수원시 편,『서울대학교규장각본 원행을묘정리의궤: 역주』, 수원시, 1996. 이의강 역, 『국역 순조무자진작의궤』, 보고사, 2006. 이흥구ㆍ손경순 역, 『조선궁중무용』, 열화당, 2000. 조경아, 「조선후기 궁중 검무의 기록 검토」,『검무 연구』, 보고사, 2020.
김영희(金伶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