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타령
기악으로 연주하는 시나위와 함께 육자배기토리의 허튼가락으로 부르는 구음 노래
구음시나위는 피리ㆍ대금ㆍ해금ㆍ아쟁 등으로 연주하는 시나위에 구음이 얹힌 형태로, 악기의 소리를 모방하거나 ‘나’, ‘아’ 등의 모음을 활용하여 즉흥으로 부르는, 말이 없는 노래이다. 본래는 시나위 무악권의 무속 의식에서 무가(巫歌)나 무무(巫舞)의 반주에 포함되었으나, 근래는 민속무용의 반주, 무대에서 감상용으로 연주되는 시나위와 함께 부르는 성악 성부, 판소리 명창이 독창 형태로 부르는 노래 등으로 연행된다. 선율은 육자배기토리의 허튼가락을 즉흥으로 엮어내며,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살풀이, 덩덕궁이(자진모리) 등의 장단이 사용된다.
구음시나위는 경기도 이남, 충청도 및 전라도 지역의 육자배기토리 무악권의 무속 의식에서 무당이 노래를 부르면, 피리ㆍ대금ㆍ해금ㆍ아쟁 등의 악기와 함께 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가락의 구음이 이를 바라지하는 것에서 유래한다. 대개 징이나 장구를 연주하는 악사가 자신이 담당하는 악기를 연주하며 입으로는 구음 가락을 대는 경우가 많다. 재비가 부르는 구음시나위는 또 하나의 선율 반주 역할을 한다.
구음이란 가야금ㆍ거문고ㆍ피리ㆍ대금ㆍ해금ㆍ장구 등의 악기에서 나는 특정적인 음색을 인성(人聲)으로 흉내내어 표현한 것이다.
구음시나위는 육자배기토리 무악권(시나위권)의 무속 의식에서 입으로 악기의 구음을 모방하거나, “나”, “너”, “으” 등의 모음을 가사 대신 사용하여 부르며, 무가(巫歌)와 무무(巫舞)의 반주음악에서 유래되었다. 근래에는 굿이 벌어지는 현장 외에도 무대예술로 독립된 기악합주 시나위와 함께 연행되며, 민속춤의 반주, 판소리 명창에 의해 독창 형태로 불리고 있다.
굿 음악에서 연행되는 대표적인 구음시나위로는 《진도씻김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사례를 들 수 있다. 《진도씻김굿》에서 무당이 육자배기토리의 무가를 부르면, 피리ㆍ대금ㆍ아쟁ㆍ장구ㆍ징 등을 연주하는 시나위 악사들은 즉흥으로 무가의 대선율을 연주하는데, 주로 징ㆍ장구재비들이 구음시나위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더러 아쟁을 연주하는 악사 중 일부는 자신의 악기(아쟁)를 연주하며 구음을 겸하기도 한다. 이는 《진도씻김굿》 예능보유자 박병원(朴秉元, 1945~)이 굿판에서 자주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때의 구음시나위는 무가의 반주 기능을 하므로, 무가를 방해하지 않도록 노랫말이 비워지는 공간에 부르기도 하고, 여타 선율악기처럼 무가의 선율진행과 다른 즉흥적인 대선율을 노래함으로써 다성적 효과를 드러낸다. 단, 굿의 규모가 작을 때는 악사 스스로 장구 또는 징을 연주하며 구음시나위를 부르는 경우가 있다.
《진도씻김굿》에서 연행한 구음은 ‘디’, ‘나’, ‘니’, ‘이’, ‘에’, ‘나아’, ‘나무’ 등의 음절을 활용하며 육자배기토리의 선율을 전제로 가창한다. 육자배기토리는 ‘미(mi)-라(la)-시(si)-도(do´)-레(re´)-미(mi´)’로 구성되며 ‘떠는 음(미)’, ‘평으로 내는 음(라)’, ‘꺾는 음(도´시)’이 주요음으로 쓰인다. ‘미(mi)’는 굵게 요성을 하고, ‘라(la)’는 평으로 낸다. 꺾는 음에서 ‘도(do´)’는 짧게, ‘시(si)’는 길게 지속하며 잘게 요성을 하는데, 이로 인해 애절함과 슬픈 감정이 표현된다. 선율진행 시 중심음 청(淸)에 해당하는 라(la)보다 5도 위나 4도 위에서 질러내는 경우가 많고, 종지는 ‘라(la)’ 또는 ‘미(mi)’로 맺는다. 장단은 진양조, 동살풀이, 덩덕궁이(자진모리), 엇모리, 살풀이장단 등 굿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단이 사용된다.
《동해안 별신굿》에서는 선율악기 없이 타악기(장구ㆍ꽹과리ㆍ징ㆍ바라) 가락에 얹어 구음시나위를 부른다. 무가 반주보다는 무녀가 춤을 출 때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가를 반주하는 장구재비가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음악적으로 상당한 수준에 이르는 무녀들이 번갈아 가며 부르기도 한다.
장단은 3소박 4박의 늦은 동살풀이로 시작하여 자진동살풀이로 빠르게 몰아간다. 《동해안 별신굿》은 지역적으로 메나리토리 권역에 속하나, 구음시나위는 육자배기토리 선율로 부른다.
민속무용 가운데 《동래학춤》과 《진주교방굿거리춤》의 반주에도 구음시나위가 사용된다. 《동래학춤》의 반주로 쓰일 때는 꽹과리ㆍ징ㆍ장구ㆍ북 등으로 구성된 풍물악기와 함께 구음이 곁들여 진다, 《동래학춤》의 구음은 풍물장단에 맞춰 부르는 유일한 선율악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에 가창자 한 명이 처음부터 끝까지 쉬지 않고 소리를 한다. 육자배기토리로만 구성된 여타 구음시나위와 달리 《동래학춤》의 구음시나위는 육자배기토리와 메나리토리가 혼용되는 점에서 지역적 향토성을 지니고 있다. 《동래학춤》의 구음시나위는 주로 《동래학춤》을 전승하고 있는 무수(舞手)들이 부른다. 장단은 속도 변화 없이 3소박 4박 굿거리장단만을 사용한다. 《동래학춤》의 구음은 다른 음악 장르의 구음시나위와 다르게 독특한 구음 용어가 많다. 구음 중 “떠어 나루징”, “이야루 나”, “헤이루지 너누나” 등은 피리 구음과 유사하다. 또한 “수르당지 나지징”의 구음은 가야금이나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 구음과 비슷하다. 《동래학춤》의 구음은 선율악기의 도움 없이 구음만으로 시나위를 끌어가야 하므로 음색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구음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진주교방굿거리춤》의 반주로 사용되는 구음시나위는 장구 반주에 맞추어 혼자 부른다. 장단은 《동래학춤》의 구음과 같이 3소박 4박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노래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굿거리장단의 빠르기를 유지한다. 판소리 명창이 독창으로 구음시나위를 부를 때는 구음시나위는 징ㆍ장구 편성의 타악 반주 또는 거문고ㆍ아쟁ㆍ대금 편성의 기악반주에 얹어 노래한다. 여타 구음시나위는 노래나 춤의 반주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때의 구음시나위는 별도의 독창곡으로서 기능하고 반주는 시나위합주가 담당한다. 선법은 판소리의 계면조에 해당하는 육자배기토리를 주로 사용한다. 장단은 느린 굿거리로 시작하여 자진모리, 동살풀이로 몰아간 뒤 다시 느린 굿거리로 회귀되는데, 이는 속도 변화에 따른 음악적 긴장감을 엮어내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선율진행 시 음역대 가운데 기본 청의 한옥타브 위인 상청의 선율을 활용하는 경향이 많고, 한 음을 길게 뻗는 기법을 사용하여 처연한 느낌의 표현이 많다. 명창들이 부르는 구음시나위는 즉흥으로 구사하기 때문에 가창자마다 부르는 구음가락이 서로 다르다.
[명칭] 《진도씻김굿》 구음(구음: 미상) [노랫말] 전남 진도군에서 연행된 씻김굿 중 무가 또는 무무의 반주에 쓰이는 구음이다. (진양조) 디~다라~다디~ 다다다~ 다다다~이~ 아~아아~헤에~이 더어~어~로구나 나아아~히이~이~히이~이 히이~야 떠어~ 허어~ 어허~ 어~ 헤 헤이~ 이 ~ 로구나 다르르르 에헤~허어~어~어이 ~ 이~이이 (중모리) 나나지~ 지르디~ 찌르지르지 이~나나나 나나나 지~지르징 찌찌지 찌찌찌 찌찌르 지르지~ 허어~ 허어 허이 허이~이~지르지 이~나나나 나나나 지~지르징 지르징 지 지르지르 지르르지 (자진모리) 자장 자라자장장 지징 지징 지리지징지 나나나 지지징 째째르징 째째르징 떵 떵 떵 떠 덩덩덩 나나나 지지지징 징징징 째재쟁 째재쟁 동다지 당다지 당다지 동다지
진도문화원, 『진도민요집 1집』, 진도문화원, 1985.
[명칭] 《동래학춤》 구음 (구음: 유금선) [노랫말] 부산시 동래구 일대에서 연행된 동래학춤의 반주음악으로 가창한 구음이다. 나 아어/ 이야아 나뿌디/ 하 나르디너나 어/ 어으어어 허어 이/ 야아 나르지/ 하 나르지 너나 사르지지/ 띠이 / 하아 나르지이 띠이 띠뚜디/ 띠 리이 나이나 지이지이루/ 너읓나 나아아 하 나루지이/ 하 나지너낫사지 이이이/ 허어 이나아 하 루나르지/ 띠 릴리 릴리띠디/ 디이 띠이디루디/ 띠 릴리너낫 다지/ 나이 나지이지이루 너 읏나 나아아/ 하 나르지너 루지 루나지/
/: 장단 단위 김영숙, 「동래학춤 반주에 쓰이는 구음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구음시나위에서 가창자는 즉흥적으로 생각나는 구음을 선율에 올려 부르기에 구음의 언어가 제각각 다르다. 구음시나위의 선율 또한 정형화되어 있지 않아서 육자배기토리 선율을 전제로 하되, 가창자의 음악적 기량에 따라 장단마다 특징적인 리듬을 붙여 자신만의 양식으로 음악을 끌어가는 경향이 많다. 즉, 가창자의 즉흥성이 여타의 음악 갈래보다 더 요구되는 음악이다.
권도희, 『구음 들리는 기보법』, 민속원, 2011. 김영숙, 「동래학춤 반주에 쓰이는 구음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율희, 「진도씻김굿의 바라지소리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김미영(金美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