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전동요
전통사회에서 아이들이 부르던 노래
전래동요는 전통사회에서 아이들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놀면서 부르던 노래다. 전래동요의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고 놀면서 부르는 노래인가에 따라 몇몇 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래동요는 노래 가사나 선율이나 리듬이 단순하며, 어른들의 민요에 비해 지역적 특성이 뚜렷하지 않다.
전래동요가 언제부터 생겨났는지 알 수 없으나 인공적인 놀이 도구가 별로 없었던 시대에 아이들이 모여 자연스럽게 생겨났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전래동요는 아이들이 노는 동안에 수시로 부르는 노래지만, 동물이나 식물을 가지고 놀거나 동물의 소리를 흉내내는 노래는 해당 동식물이 나타나는 계절에 주로 부르며, 물놀이 관련 노래는 여름철에 냇가에서 부르게 마련이다. 전래동요를 부르는 장소 역시 노래의 소재가 되는 사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 불렀으며, 실내에서보다는 자연적인 소재가 많은 야외에서 더 많이 불렀다. ○ 전래동요의 분류 전래동요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뚜렷한 분류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어디서 무엇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인가에 따라 전래동요를 또래끼리 모여 놀면서 하는 노래, 물놀이를 하고 나서 부르는 노래, 무언가를 갖고 놀면서 하는 노래, 다른 아이를 놀리는 노래, 말 이어가기 노래, 숫자를 세는 노래, 새를 보며 부르는 노래, 뭔가를 기원하는 노래, 서정적인 표현의 노래, 동물 소리 흉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형식과 구성 전래동요는 노래 가사나 선율이나 리듬이 단순하고 반복적으로 구연되는 것이 전반적인 특징이다. 특히 아이들이 무엇인가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노래일수록 반복적으로 구연된다. 전래동요는 대부분 혼자 부르지만, 〈어디까지 왔나〉처럼 둘이서 문답식으로 부르는 노래도 있고, 〈반딧불이노래〉처럼 여럿이 제창하는 경우도 있다. ○ 지역적 분포 전래동요는 음악적 측면에서는 어른들 노래에 비해 지역성이 뚜렷하지 않은 편이지만, 노래 가사에 사투리가 사용되는 경우가 꽤 많다.
전래동요 가운데서 가장 많이 불렀던 노래는 〈잠자리잡기노래〉, 〈다리세기노래〉, 〈앞니 빠진 아이 놀리는 노래〉 등이다. 그밖에도 다양한 종류의 전래동요가 있다.
1) 잠자리잡기노래
잠잘 꼼잘 멀리 가믄 죽구 얕이 오먼 산다
(경기도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 / 박명규, 1924년생)
2) 다리세기노래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진주 맹건 또 맹건
짝바리 이앵근
또루마 줌치 장도칼
머구밭에 떡서리
칠팔월에 무서리
동지 섣달 대서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우산리 외우산 / 조덕남, 1927년생)
3) 앞니 빠진 아이 놀리는 노래
앞니 빠졌는 갈가지
엉덕 밑에 가지 마라
송애 새끼 놀랜다
산지슬에 가지 마라
놀개이(노루) 새끼 놀랜다
마구에 가지 마라
산지 (송아지) 새끼 놀랜다
벤소 갓에 가지마라
굼빙이 새끼 놀랜다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하리 / 조봉희, 1933년생)
4) 말꼬리잇기노래
저 건너 김도령
나무하러 가세
등 굽어 몬 가세
등 굽으먼 질매가지지
질매가지먼 네 구무지
네 구무먼 동시리지
동시리먼 깜지
깜으먼 까마구지
까마구만 높으지
높으먼 무당이지
무당이먼 뛰지
뛰먼 벼룩이지
벼룩이먼 뿕지
뿕으먼 대추지
대추먼 다지
다먼 엿이지
엿이먼 붙지
붙으먼 과거지
과거먼 좋지
(경상북도 경주군 외동읍 녹동리 / 안병학, 1930년생)
5) 숨바꼭질노래
꼭꼭 숨어라
치마짜락 보인다
머리카락 보인다
꼭꼭 숨어라
치마짜락 보인다
머리카락 보인다
꼭꼭 숨어라
치마짜락 보인다
머리카락 보인다
(경상북도 영일군 구룡포읍 석병2리 / 양분연, 1925년생)
6) 새는 새는
새는 새는 남게 자고 쥐는 쥐는 궁게 자고
납딱납딱 붕어새끼 바위 틈에 잠을 자고
매끌매끌 미꾸라지 구케 속에 잠을 자고
어제 왔던 할마씨는 영감 품에 잠을 자고
오늘 왔는 새악씨는 신랑 품에 잠을 자고
우리겉은 아이들은 엄마 품에 잠을 자고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 중성지 / 정말순, 1928년생)
7) 별 하나 나 하나
별 하나 내 하나
별 둘이 내 둘이
별 서이 내 서이
별 너이 내 너이
별 다서 내 다서
별 여섯 내 여섯
별 일고 내 일고
별 여덜 내 여덜
별 아호 내 아호
별 열 내 열
하늘에 올라가 별 하나 뚝 따 잿불에 후져져서 망탁에 담아 동문에 걸고
하늘에 올라가 별 하나 뚝 따서 잿불에 후져져서 망탁에 담아 서문에 걸고
하늘에 올라가 별 하나 뚝 따서 잿불에 후져져가 남문에 걸고
하늘에 올라가 별 하나 뚝 따서 잿불에 후져져가 망탁에 담아 북문에 걸고
“다 걸었습니다”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중기리 중성지 / 정말순, 1928년생)
8) 매미소리 흉내
매롱 매롱 맴매롱
순달레 모실레
니가 어데서 자랐노
저 산중에 자고 났네
산중에는 골도 기다
바다에는 물도 많다
산중에는 나무도 많다
갱빈에는 돌도 많다
매롱 매롱 맴매롱
매롱 매롱 맴매롱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하리 / 김팔례, 1931년생)
9) 소꿉놀이노래
도랑 건니 사돈은
우에 우에 사는게
말 매고 소 매고
아들 놓고 딸 놓고
광지리도 저리고
산대미도 저리고
박쪼가리 대문 달고
새금파리 구들 놓고
그대로 저대로 사니더
(대구직할시 달서구 갈산동 / 이도리, 1918년생)
10) 비야 비야
비야 비야 오지마라 우리 성님 시집간데 분홍치마 얼룩진다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화곡리 버드내 / 심영란, 1937년생)
11) 반딧불이노래
테테 불 써라
테테 벌갱이 온나
테테 불 써라
내 눈에 온나
테테 불 써라
테테 벌갱이 온나
내 눈에 불 써라
테테 불 써라
내 눈에 온나
테테 불 써라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하리 / 김팔례, 1931년생 외)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강원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기도편』, 문화방송, 199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남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편』, 문화방송, 1995. 최상일,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도서출판 돌베개, 2002.
최상일(崔相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