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타령(거미打令), 거미노래
거미줄을 치는 모습을 묘사하여 부르는 소리
거무타령은 거미가 줄을 치고 있는 모습이나 거미줄의 모양을 연관된 가사로 빗대어 표현한 노래이다. 각 지역 토리에 해당하는 선율로 부르지만, 대체로 2~3개의 음을 사용하여 노래하거나 말하듯 읊조리면서 부르는 전래동요의 형태이다. 주로 어린아이들이나 부녀자들에게 널리 불렸다.
거미는 그물 같은 거미줄을 쳐서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절지동물로 신기하면서도 음험한 동물로 여겨졌다. 거미의 생태와 관련된 내용은 속담ㆍ설화ㆍ민요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왔다.
○ 역사적 변천 과정
거무타령은 어린아이들이나 부녀자들이 불렀으나 현재는 언어유희요로 전승되고 있다.
○ 연행시기 및 장소/ 용도(기능)
거무타령이 불린 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여러 지역에서 거미에 관한 민요가 전승되고 있다. 거미를 쫓아 보내기 위해 부르기도 했으며 원하지 않는 상황을 전환시키기 위해 읊었던 노래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거무타령은 주로 어린아이들이 부르지만, 경남 합천에서는 부녀자들이 물레질하면서 신세한탄을 하면서 부르는 모습도 확인된다. 또한, 모심는 소리에서도 거미 노래와 유사한 가사가 나타나며, 전라도에서는 〈둥당애타령〉의 메기는 소리로 거무타령을 부르는 경우도 있다.
○ 음악적 특징
거무타령은 각 지역 토리에 해당하는 선율로 부르지만 주로 2~3개의 음을 사용하는 전래동요 형태이다. 전라도 완도 거무타령의 경우에 상행할 때는 ‘미(mi)-라(la)-도(do′)’의 음으로, 하행할 때는 ‘미(mi)-라(la)-도(do′)-시(si)’의 음으로 구성되며 도(do′)-시(si)를 꺾어서 표현하는 육자배기토리이다. 3소박 4박자로 자진모리장단에 어울린다.
○ 형식과 구성 (악곡 구성, 가창 방식, 반주 악기편성 등) ‘거무야 거무야 왕거무야’와 같이 거미를 부르는 가사로 시작한다. 지역마다 노랫말이 조금씩 다르지만, 거미가 줄을 치고 있는 모습이나 거미줄의 모양을 연관된 대상에 빗대어 표현한다.
말하듯 빠르게 읊조리면서 부르거나 제창의 형식을 취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독창으로 부른다.
〈완도 거무타령2〉 거무야 거무야 왕거무야 / 네야 줄은 어따 쳤냐 천장에 난장에1 동백꽃 동산에 / 서산에 나산에 걸렸네 백작2 거무는 들랑수 / 천장의 거무는 오동수 천국산 백국산 해남산 금강산 / 꽃과 같은 저 나부야 법당문을 열고보니 / 짐선분가 박선분가 댐배 한 대 태고 가소 / 말씀이사 좋네마는 / 질때3 바뻐 못 태겄네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CD 13-20, 문화방송, 1993, 491쪽. (1990. 3. 27 / 노화읍 충도리 / 허모금, 여, 1926)
경북 김천 〈거미타령〉 거무야 거무야 큰 거무야 / 니 줄로 내 줄로 니리서 작은 덕굴 큰 덕굴 덩덕굴 새 덕굴 / 울궁에 동청에 저그매 내 노래야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편』 CD 15-16, 문화방송, 1995, 725쪽. (1993. 9. 16 / 김천시 부항면 월곡리 / 김옥남,여,1934)
1) 난장 : 처마밑에을 뜻한다 하나 분명치 않음.
2) 백작 : 벽.
3) 질 때 : 길때.
〈거미타령〉은 거미가 허공에 줄을 치는 모양을 다양하게 빗대어 묘사하는 언어유희요이다. 거미줄을 뽑아 자유롭게 다니는 내용 또는 나비ㆍ벌 등 곤충의 특성을 연결 짓는 내용을 노래하며, 거미줄이 늘려가는 모습을 잔칫상 위에 산해진미가 차려지는 것처럼 묘사하여 부르기도 한다. 거미의 생태적 특성을 소재로 하여 생활 속에서 부르는 노래로 전래동요와 부녀요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국립국악원, 『전래동요 이렇게 가르쳐 보세요』, 국립국악원, 2016. 김혜정, 『여성민요의 음악적 존재양상과 전승원리』, 민속원, 200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남도편』, 문화방송, 1994.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문화방송, 199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편』, 문화방송, 1995. 모형오, 「한국전래동의 전승양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우리소리박물관(https://gomuseum.seoul.go.kr/sekm).
이정민(李貞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