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바타령, 장타령
각설이패들이 장터 등지에서 부르던 소리
각설이타령은 각설이패들이 집집마다 돈을 얻으러 다니거나, 장터 등지에서 부르던 노래이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메나리토리로 된 악곡이 많다. 가사는 의성어와 반복적인 표현이 두드러지며 이를 통해 리듬감이 형성된다. 내용은 대부분 숫자나 말 등을 풀이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2소박 4박자의 동살풀이장단으로 부를 수 있고, 곡의 느낌은 소박하고 구성지며 씩씩하다.
각설이타령에 대한 문헌 기록으로는 『신재효 판소리 사설집』이 있다. 여기서 수록된 〈박타령〉과 〈변강쇠가〉에서는 각설이가 등장하고 각설이타령이라는 노래의 명칭도 확인된다. 각설이타령은 〈장타령〉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각설이패들이 장타령꾼의 연행 악곡을 흡수하였다는 것과 사설 중에 숫자 10까지 헤아리는 ‘열(10)’을 ‘장(10)’이라고 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각설이패들이 노래를 하면서 돈을 얻는 행위는 고사소리패나 걸립패들이 기예를 보여주고 돋을 걷는 방식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 역사적 변천 과정 각설이패는 유랑하며 걸식하는 예인집단으로 재인 광대 출신이나, 몰락한 양반, 소외된 지식인, 민간의 노비, 유랑 농민, 천민 계층의 사람들이 걸행 도중 각설이패에 합류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에는 각설이패들이 사라지면서 각설이타령은 각설이패로 분장한 품바패거리들의 예능 연행물로서 전승되고 있다. ○ 연행 장소 및 용도 각설이타령은 각설이패들이 장터와 거리, 잔칫집과 초상집 등 이 집 저 집을 돌아다니며 음식이나 돈을 얻기 위해 부른 노래이다. 유랑하면서 걸식하는 과정에서 청중들에게 보답하기 위하여 오락적인 흥겨움과 축원의 의미를 담아 불리었다. 요즘은 지역 축제나 전국의 장터, 잔치, 소규모 공연장에서 엿장수를 겸한 품바 패거리들에 의해 이벤트성 공연으로 연행되고 있다. ○ 음악적 특징 선율의 구성음은 상행할 때는 ‘미(mi)-라(la)-도(do′)-레(re′)-미(mi′)’이고, 하행할 때는 ‘미(mi′)-레(re′)-도(do′)-라(la)-솔(sol)-미(mi)’로 되어 있다. 주로 ‘미(mi)-라(la)-도(do′)의 세 음이 주요 음으로 사용되고, ‘미(mi)’나 ‘라(la)’ 음으로 종지한다. 메나리토리로 된 것이 많으나, 경기도 민요의 특징인 경토리나 반경토리를 활용하여 노래하는 지역도 있으며, 토리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장단은 2소박 4박자의 동살풀이장단에 어울린다.
○ 형식과 구성 (악곡 구성, 가창 방식, 반주 악기편성 등) 각설이타령은 도입부-반복구-뒷풀이로 구성되어 있다. ‘얼씨구 씨구 들어간다’와 같이 소속된 사회에서 소외된 각설이패의 자기묘사로 도입부가 시작된다. 각 장이 바뀔 때마다 반복구로 입방구인 ‘품바 품바’를 되풀이하여 악곡의 각 장을 생동감 있게 만들고, 합창을 유도한다. 뒷풀이는 숫자 1부터 10까지 숫자를 은유적으로 비유하며 풀이하는 부분이다. 노랫말에 의성어와 반복적인 표현이 많아서 리듬감을 형성하며, 머리ㆍ허리ㆍ손ㆍ발을 흔들면서 흥겹게 부른다.
노래 가사는 장풀이ㆍ숫자풀이ㆍ국문뒤풀이ㆍ투전풀이ㆍ화투뒤풀이 등이 있으며, 대부분 말풀이로 서정적인 내용이나 서사적인 내용은 드물다. 장타령의 사설은 내용 구성에 따라 2음절, 3음절, 5음절 등 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일자나 한자|들고봐’와 같이 앞에 4~5글자 뒤에 3글자로 된 것이 많다.
전북 장수 각설이타령 “아, 마님. 이 댁에 동냥왔습니다. 안 인심이 좋으며는 배깥1 출입이 좋답니다” 얼씨구씨구 / 들어간다 / 절씨구씨구 / 들어간다 일 자나 한 자 / 들고 봐 / 일월이 송송 / 해송송 밤중 새별이 / 완연하다 / 품바품바 / 잘 헌다 두 이 자 / 들고 봐 / 이 둑에 저 둑에 / 북을 치니 행두기생2이 / 춤을 춘다 / 얼씨구씨구 / 들어간다 석 삼 자 / 들고 봐 / 서관에 신령 / 도신령 신부 신랭이 / 날아든다 / 품바품바 / 잘이 헌다 “아, 마님! 쉽게 갑시다” -하략-
1) 배깥: 바깥 양반의.
2) 행두기생: 행수기생(行首妓生). 기생의 우두머리.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편』 CD 2-3, 문화방송, 1995, 105쪽. (1990. 11. 22 / 장수군 산서면 동화리 시장 / 윤병길, 남, 67)
충북 제천 각설이타령 얼씨구씨구 / 들어간다 / 절씨구시구 / 들어간다 작년에 왔더네 / 각설이 / 죽지도 아니 하구 / 또 왔네 이 각설이가 / 이래도 / 정승판서를 / 마다고 동전 한 푼에 / 팔려서 / 각설이루만 / 나섰네 / 지리구 지리구 / 잘한다 일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일이나 송송 / 야송송 / 밤중에 샛별이 / 완연하다 이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이행금에나 / 북소리 / 팔도에 기생이 / 춤을 춘다 삼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삼친거리나 / 놋촛대 은소반에다 / 불을 밝혀 / 우리 님 오시기만 / 고대한다 사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사시나 상천에 / 바쁜길 / 중간참이나 / 늦어간다 오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오동벌판 / 넓은 들에 오곡백화가 / 무르익어 / 풍년 가을이나 / 재촉한다 육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육이오 사변에 / 집을 잃고 / 방랑생활이 / 웬 말이냐 칠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칠칠이 못난 / 이내 몸이 / 출세길이나 / 웬 말이냐 팔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팔도나 강산 / 구경하니 / 경치 좋고도 / 인심 좋아 구자나 한자나 / 들구나 봐 / 구시월 / 시단풍에 / 낙엽이 우수수 / 얼어지니 동지나 섣달 / 긴긴 밤에 / 임 그리다가 / 날이 샌다 품바나 하고도 / 잘한다 / 지리구 지리구 / 잘한다 -하략-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편』 CD 4-9, 문화방송, 1995, 190쪽. (1992. 8. 21 / 청풍면 도신리 실리곡 / 권용언 남,1939)
각설이 타령은 숫자나 말 등을 풍자적으로 풀이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언어유희요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 각설이 패들이 전국의 장을 옮겨 다니면서 연행했던 유흥적 공연은 자연스럽게 노래를 전국에 퍼트리는 역할도 하였다. 사회 문화구조의 변화에 따라 구걸을 위한 기능요 보다는 점차 소규모 예술 공연 형태의 언어유희요로 변모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지역 축제나 전국의 장터 등지에서 각설이패로 분장한 품바패거리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김영운ㆍ김혜정ㆍ이진원, 『북녘땅 우리소리』, 민속원, 2007.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임동권,『한국의 민요』, 일지사, 1980.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강원도편』, 문화방송, 1996.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남도편』, 문화방송, 1994.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문화방송, 199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남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편』, 문화방송, 1995. 강은해,「각설이타령 원형과 장타령에 대한 추론」,『국어국문학』85, 1981. 이창식,「한국유희민요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장성수,「각설이타령의 담당층과 구조연구」,『문학과 언어』16, 1995.
이정민(李貞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