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당에타령, 둥당기타령, 둥당개타령
전라도 서남부지역과 섬지역에서 많이 부르는 유희요
둥당애타령은 악기의 구음 소리를 흉내 낸 후렴구가 포함된 향토민요이다. ‘둥’, ‘당’, ‘둥당기’는 거문고와 가야금 같은 현악기의 구음을 노래로 부르는데 물방구나 활방구와 같은 민속악기의 반주가 곁들여진다. 때에 따라서는 어린아이들의 동요로, 남성들의 일노래와 유희요로 부르기도 한다. 중중모리장단으로 부를 수 있으며, ‘미(mi)-솔(sol)-라(la)-시(si)-도(do′)-레(re′)’의 육자배기 토리 되어있다.
둥당애타령의 유래를 알 수 없다. 채집된 지역은 전라도 서부지역이 많지만, 유사한 후렴구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된 비슷한 류의 노래들이 내륙지역에서 불리는 모습도 확인된다.
여성들의 방안 놀이 기능으로 불리는 둥당애타령의 연행공간은 여성들이 모여 일하는 ‘물레방’이나 여성들이 함께 이야기하거나 놀 수 있는 공간이면 가능하였다. 다른 노래와 다르게 둥당애타령은 후렴구의 구음과 어울리는 토속적인 생활악기를 사용한다. 큰 항아리 뚜껑이나 함지박, 또는 대야에 물을 담고 박바가지를 엎어 놓고 두드리는 물방구(물장구, 물박)나, 박바가지 위에 미영 타는 활(해금과 비슷한 모습)을 얹어 줄을 튕기는 ‘활방구’를 연주한다. 이러한 악기가 없을 때는 다른 도구를 응용하거나 구음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둥당애타령은 여성들의 시름을 노래하는 밭 매는 노래와 길쌈노래로도 부르고, 어린이들이 몸짓과 함께 부르는 동요로, 남성들이 흥겨운 몸동작과 함께 일노래로 부르기도 한다. 둥당애타령은 연행여건에 따라 속도와 장단수의 변화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공통적인 특징은 ‘미(mi)-솔(sol)-라(la)-시(si)-도(do′)-레(re′)’ 여섯음을 사용하는 육자배기토리의 선율과 3소박 4박 장단으로 되었다는 것이다. 서사적인 내용이나 신세 한탄의 내용을 노래할 때는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의 가사가 길게 늘어나기도 하고, 느린 장단에 맞추어 부르기도 하며, 한배가 느려지기도 한다. 여럿이 유희요로 흥겹게 부를 때는 가사도 줄고 빠른 장단으로도 불리는 유동적인 노래이다. 받는 소리 부분은 한 장단, 두 장단, 네 장단, 여섯 장단 등으로 그 단위가 다양하며, 중모리장단과 중중모리장단, 자진모리장단으로 부를 수 있다. 연행 방식은 가창자들이 모두 돌아가면서 메기는 소리를 부르는 ‘윤창’ 방식이지만, 공연예술의 형태로 연행할 때는 한두 명이 메기는 소리를 담당한다.
1. 신안군 장산면에서 채록한 노랫말 <둥당애타령> 성제성제 말을 타고 성제골을 들어가니 옥사장아 문열어라 반달각시 만내보자 내가 무슨 반달이냐 초생달이 반달이다 둥당애 당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년아년아 진두년아 진두하고 모진년아 석자세치 모시수건 오른손에 감아쥐고 넉지나 난리를 녹진 나루. 건너를 가니 어떤 친구가 날맞아 갈그나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당기 둥당애 둥당애당 2. 신안군 장산면에서 채록한 다른 버전의 노랫말 한국민요대전(http://www.urisori.co.kr/dokuwiki-home)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인사야 먹갈아라 우편으로 편지하자 거멍 먹과 흔종우는 우리 부모를 만나련만 낼온다 낼온다 유 윤선이 낼온다 검고도 붉은 놈이 거덜기리고 낼온다 무 문밖에 섰는 이 파 파급을 못해서 문고리 잡고서 아리발발 떤단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어째 와 어쨰 와 캄캄한데 어째 와 캄캄할수록 내 사랑 좋단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감자순 감자순 가 가리가 감자순 할목대 큰애기 까리잘잘 맨단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앞뜰에도 보리밭 뒷뜰에도 보리밭 어따야 저 보리 다 시들어져 간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3. [한국민요대전]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에서 채록한 <둥당애타령> 둥당애당 둥당애당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저 건네라 메메밭에 메메 따는 저 처녀야 느그 어메 어디 가고 느그 성제 메메 따냐 글 안 해도 슬픈 디다 울어매 말을 하고 하네 당기둥당애 둥당애당
민요 둥당애타령은 전라남도 서부지역 여성들의 방안놀이요인 유희요로 국한된 노래라기보다는 다양한 계층 및 연령에 전파된 노래로서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에서 다양한 음악적 양상이 확인되는 노래이다.
지춘상, 『전남의 민요』, 전라남도, 1987. 최상일, 『한국민요대전해설집 –전남편-』, 문화방송, 1993. 김혜정, 「〈둥당애타령〉의 음악적 구조와 기능」, 『한국민요학』 6, 1999. 이옥희, 「〈둥당애타령〉의 존재양상과 문화적 위상」, 『한국민요학』 15, 2004.
김삼진(金三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