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둥둥 내아들
어린 아들을 어르며 부르는 노래
아들타령은 아기 어르는 소리의 하나로 어린 아들을 안거나 업고 어르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아기 어르는 소리에서 자주 나오는 ‘어화 둥둥 내사랑’, ‘둥 둥 내사랑’과 같이 ‘둥 둥’이라는 노랫말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노랫말을 통해 아이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였으며, 특히 ‘아들’을 소재로 한 노래이다.
○ 연행시기 및 장소 아들타령의 연행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다. 다만 어린 아들을 안거나 업고 부르는 행위에 미뤄봤을 때 영ㆍ유아기의 아이를 대상으로 부르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대개 가정 안에서 가창 되었지만, 아기를 돌보는 행위가 이뤄진 모든 장소에서 불렸을 것으로 보인다. ○ 형식과 구성 아들타령의 가사는 ‘둥둥둥 내아들’로 시작한다. 전북 무주지방에서는 ‘달랑궁 달랑궁 달린놈아’라고 하며 아들의 신체 부위를 묘사한 말로 시작하기도 한다. 두 장단이 대구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둥둥둥 내아들’이 여음구로 반복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둥둥둥 내아들’로 마무리 한다. ○ 음악적 특징 아들타령의 박자는 3소박 4박자이며 중중모리 또는 느린 자진모리 장단으로 불린다. 국립국악원에서 발행한 『꿩꿩 장서방』에 수록된 아들타령은 느린 자진모리 장단으로 불리며, 육자배기 토리로 이뤄져 있다. 다만 음원자료가 전국적으로 고르게 발견되지 않아 토리를 특정할 수는 없으나 다른 아기 어르는 소리와 마찬가지로 해당 지역의 토리로 이루어졌을 것이라 볼 수 있다. 임동권의 『한국민요집』에 전라북도 무주, 전라남도 곡성, 해남 등지의 아들타령이 소개된 것으로 보아 전라도를 중심으로 전승된 아기 어르는 소리로 보인다.
아들타령의 시작구는 ‘둥둥둥 내아들’이다. 아들이 생긴 모습을 ‘곶감, 알밤, 두부’ 등으로 묘사하기도 하고, 아기의 머리ㆍ어깨ㆍ허리ㆍ손ㆍ발을 차례대로 지칭하며 귀하게 자랄 것이라 기대하기도 한다. 특히, 아들의 생식기를 지칭하며 귀하게 태어난 아들임을 강조하는 예도 있다. 〈자장가〉를 비롯한 아기 어르는 소리에서 자주 보이는 바와 같이 ‘충신동이, 효자동이, 우애동이, 화목동이, 정승 판서를 지낼 놈’ 등 아기에게 기대하는 바를 담은 노랫말도 발견된다. 둥둥둥 내아들 널러가는 학선인가 머리끝에 준준가 산지불공 내아들 둥둥둥 내아들 머리맵시 볼짝시면 사마씰 머릴런가 어깨맵시 볼짝시면 관대입을 어깰란가 허리맵시 볼짝시면 각디띨 허릴런가 손질맵시 볼작시면 붓대잡을 손길인가 발질맵시 볼짝시면 쇠자신을 발질이네 둥둥둥 내아들 아롱다롱 단참인가 둥개마천 꽃감인가 하개연고 알밤인가 둥둥둥 내아들 눈진산에 꽃일런가 설산에 나빌런가 둥둥둥 내아들 밤에는 달애기 낮에는 천애기 둥둥둥 내아들 부모에게는 효자동이 나라에는 충성동이 형자간에 우애동이 일가간에 화목동이 동네방네 인심동이 골골에 이름동이 둥둥둥 내아들
전남 곡성 지방 〈아들타령〉, 임동권, 『한국민요집5』, 집문당, 1980, 707쪽.
둥둥둥 내아들아 둥둥둥 내아들아 둥둥둥 내아들아 어데갔다 이제왔냐 만경갔다 이제왔냐 딸이래도 반가울때 계보붕알 고추자지 대롱대롱 열렸구나 둥둥둥 내아들아 부모벌추 해줄놈아 봉지사를 지낼놈아 굴관지복 해줄놈아 생이뒤에 따를놈아 지청앞에 엎질놈아 둥둥둥 내아들아
전남 해남 지방 〈아들타령〉, 임동권, 『한국민요집5』, 집문당, 1980, 323쪽.
달랑궁 달랑궁 달린놈아 은방울 놋방울 달린놈아 어디를 갔다가 인제 왔냐 산이 높아 더디왔냐 물이깊어 더디왔냐 나라에는 충신동이 부모에는 효자동이 형제간에 우애동이 일가친척 화목동이 하늘같이 높았거라 천하같이 천하같이 넓었거라
전북 무주지방 〈아들타령〉, 임동권, 『한국민요집3』, 집문당, 1974, 707쪽.
어허둥둥 내아들아 둥둥 내아들아 금을 준들 너를사며 옥을 준들 너들사랴 문전옥답을 장만헌들 이 위에서 더 좋으리 참나무 방아인가 단단하게도 잘생겼고 경상도 두부몬가 네모 반듯이 잘생겼고 얼음밑의 수달인가 요감하게도 잘생겼네 정승판서를 지낼 놈 육판서를 지낼놈 어허둥둥 내아들 어허둥둥 내아들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꿩꿩 장서방』, 국립국악원, 2000, 118쪽.
농경사회에서는 아들을 더 귀하고 중요하게 여겼다. 아들은 농경사회에서 노동력을 확보할 수도 있었고 유교적 사회질서에 따라 벼슬에 진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들타령은 기대감 속에서 태어난 아들에 대한 깊은 사랑의 정서를 담고 있으며, 자라난 이후에 농사일, 부모 산소의 벌초, 벼슬에 진출하는 등의 여러 기대감을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노랫말은 〈딸타령〉에서 보이는 딸이 자라난 이후 시집을 보내기 위해 오동나무로 장롱을 만들어 주겠다고 하는 내용과는 다른 양상이다.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꿩꿩 장서방』, 국립국악원, 2000. 임동권, 『한국민요집3』, 집문당, 1974. 임동권, 『한국민요집5』, 집문당, 1980.
모형오(牟炯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