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둥둥 내딸이야
어린 딸을 어르며 부르는 노래
딸타령은 아기 어르는 소리의 하나로 어린 딸을 안거나 업고 어르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아기 어르는 소리에서 자주 나오는 ‘어화 둥둥 내사랑’, ‘둥 둥 내 사랑’과 같이 ‘둥 둥’이라는 노랫말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노랫말을 통해 아이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였으며, 특히 ‘딸’을 소재로 한 노래이다. 판소리 《심청가》에서 심봉사가 어린 심청을 안고 부르는 대목에 딸타령이 나오기도 한다.
○ 연행시기 및 장소 딸타령의 연행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으나, 어린 딸을 안거나 업고 부르는 행위로 미루어봤을 때 영ㆍ유아기의 아이를 대상으로 부르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경남 함양 지방의 〈둥둥둥 내 딸이야〉에는 딸 아이에 대한 사랑의 마음과 함께 시집살이의 힘겨움과 시집 식구들을 원망하는 내용이 담겨 있기도 한데, 이를 통해 딸타령이 부녀자의 시집살이요의 하나로도 불렸음을 알 수 있다. ○ 형식과 구성 ‘둥둥둥 내딸이야’의 가사로 노래를 시작한다. 두 장단이 서로 대구를 이루고 귀한 딸을 여러 사물에 빗댄 내용을 노래한다. ‘둥둥둥 내딸이야’가 여음구로 나타나기도 하며, 대개 ‘둥둥둥 내딸이야’로 노래를 마무리한다. ○ 음악적 특징 딸타령의 박자는 3소박 4박자이며, 중중모리 또는 느린 자진모리 장단 정도의 빠르기로 불린다. 딸타령으로 칭해지는 아기 어르는 소리의 음원자료는 매우 소략하여 음계와 선법과 관련하여 전국적 양상을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다른 아기 어르는 소리와 마찬가지로 그 지역 민요의 토리를 반영하고 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딸타령의 노랫말은 ‘둥둥둥 내딸이야’로 시작된다. 귀한 딸을 ‘수지딸(항상 잊지 않고 기억하는 딸)’, ‘꼭지딸(시집가지 않은 딸)’ 등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곶감, 대추, 두부’ 등으로 딸아이의 예쁜 모습을 묘사하기도 한다. 둥둥둥 내딸이야 어디를 갔다가 인자왔느냐 만경갔다가 인자와 순단네 콩밭에서 매화를따다가 인자와 둥둥둥 내딸이야 둥게맞지 곶감인가 당해일심 대추씬가 공탄강 숭엔가 몽실몽실도 잘생겼네 풍덕굴 두부몬가 올라가서 올꺼사리 내리옴선 늦괴사리 다불다불 꺽어나지고 우리집에 어서나오세 아이답답 깜장수야 외지말고 깜파라라 원수놈의 시아바니 문턱조차 베고자네 원수년의 시어마니 열대야조창 차고가네 원수년의 시누애기 감돌라고 날조르네 꽃을꺾어 머리에 꽂고 잎은 따서 입에다물고 산으로 올라 들귀경 가세 얼시고 가세
경남 함양 〈딸타령〉(임동권, 『한국민요집5』, 집문당, 1980, 323쪽.)
둥둥둥 내딸이야 어허 둥둥 내딸이야 값진 은혜 수지딸 유황기미 꼭지딸 둥 둥 둥 둥둥 어허 둥둥 내 딸이야 여름에는 냉수 딸 겨울에는 숭늉 딸 둥 둥 둥 둥 둥 어허 둥둥 내 딸이야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꿩꿩 장서방』, 국립국악원, 2000, 117쪽.
딸타령은 갓 태어난 딸아이에 대한 사랑과 기대의 마음을 담고 있는 아기 어르는 소리의 하나이다. 아기 어르는 소리가 성별의 구분 없이 전승되기도 하지만 〈아들타령〉과 더불어 ‘딸’을 특정하여 노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민요나 판소리에도 딸타령과 유사한 노랫말이 발견되는데 ‘딸아 딸아 막내딸아 오동나무 밀장농에 갖은 장석을 다해 주마’라든가, ‘값진 은혜 수지딸 유황기미 꼭지딸’과 같이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한 존재임을 묘사함과 아울러 시집을 보낼 시기를 예견하며 귀한 선물을 해 줄 것을 담고 있기도 하다. 딸타령은 영아기의 신체ㆍ운동 기능 발달을 위해 불리는 다른 아기 어르는 소리와 마찬가지로 어른과 아기의 밀접한 신체접촉과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사회성을 길러주던 노래이다.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꿩꿩 장서방』, 국립국악원, 2000. 임동권, 『한국민요집5』, 집문당, 1980.
모형오(牟炯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