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색을 칠한 작은 북통 셋을 십자 모양으로 엇갈려 나무 자루에 꿰어 매달고 좌우로 돌려 북에 매단 가죽끈이 북면을 쳐 소리 나게 하는 타악기
북송(北宋)의 진양(陳暘, 1068~1128)은 『악서(樂書)』에서 『주례(周禮)』「고인(鼓人)」을 인용하며 “고인은 육고(뇌고ㆍ영고ㆍ노고ㆍ분고ㆍ고고ㆍ진고)와 사금(금순ㆍ금탁ㆍ금요ㆍ금탁)의 소리를 가르쳐서 성악을 절도 있게 하는 일을 관장한다. 북 치는 법을 가르치고 그 소리의 용도를 분별하여 뇌고(雷鼓)는 천신(天神)에 제사 지낼 때 치고, 영고(靈鼓)는 지기(地祇)에 제사 지낼 때 치고, 노고는 인귀에 제사 지낼 때 친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뇌(雷)는 하늘의 소리, 영(靈)은 땅의 덕, 노(路)는 사람이 다니는 길을 뜻한다. 천신의 악은 6변(變)을 하므로 뇌고ㆍ뇌도(雷鼗)의 북면 수는 여섯이고, 지기의 악은 8변을 하므로 영고ㆍ영도(靈鼗)의 북면 수는 여덟이다. 인귀의 악은 9변을 하는데 노고ㆍ노도(路鼗)의 북면 수는 넷이다. 금(金)의 속성이 화(化)할 수는 있어도 변할 수는 없는데 인귀가 그러하므로 금의 수 4를 쓰며, 금은 흙이 아니면 산출되지 않으므로 토(土)의 수 5를 더해 인귀의 악을 9변 하게 된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뇌고와 뇌도의 ‘뇌(雷)’는 하늘의 소리를 뜻하므로 천신 제사에 이들 악기를 쓰며, 천신의 악은 6변하기 때문에 북면이 6면이라는 것이다.
고려 시대에는 뇌도에 관한 기록이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세종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데, 풍운뇌우(風雲雷雨) 제례의 헌가에 편성되었고, 대한제국기에는 환구(圜丘) 제례의 궁가에 편성되었다. 천신의 제향이 폐지됨에 따라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구조와 형태 ㆍ나무자루[柄]: 음악을 시작할 때 양손으로 잡고 좌우로 돌려 연주한다. ㆍ용두(龍頭): 나무 자루의 위에는 용머리 모양을 얹는다. ㆍ북통과 원통형의 검은색을 칠한 북통 세 개가 서로 엇갈려 나무 자루[柄]에 꿰어져 있다. 북면은 모두 여섯이다. ㆍ양귀[兩耳]: 북통의 양쪽 옆면에 가죽으로 된 줄을 달며, 줄의 끝부분은 매듭이 지어져 있거나 추가 달려 있다. ㆍ호랑이[四虎]: 호랑이 네 마리가 사방으로 엎드려 있는 형상을 한 받침대. 나무호랑이 받침대의 중앙을 뚫어 나무 자루를 꽂아 세운다.
뇌도의 주요 몸체인 나무 자루[柄] 윗 부분에는 용머리 모양을 얹는다. 그 아래쪽으로 검은색 칠을 한 원통형 북통 셋을 서로 엇갈리게 달며 북면은 모두 여섯이다. 나무 자루 아랫부분에는 네 마리의 호랑이가 사방으로 엎드려 있는 형상의 받침대를 갖추고 받침대 중앙을 뚫어 나무 자루를 꽂아 세운다. 북통의 양 옆면에는 쇠고리를 하나씩 달아 양귀[兩耳]라는 가죽줄을 건다. 줄의 끝부분은 매듭이 지어져 있거나 추가 달려 있어 자루를 좌우로 빠르게 들리면 끝부분이 북면을 쳐서 소리를 낸다. 음악을 시작할 때 양손으로 잡고 좌우로 돌려 연주한다.
『세종실록』「오례」에 그려진 뇌도는 정현(鄭玄, 127~200)의 설을 따라 북통 넷을 꿰어 매달아 북면이 여덟이다. 이는 『악학궤범』 및 현행 뇌도가 세 개의 북통을 꿰어 매달아 북면이 여섯인 것과 다르다. 『악학궤범』에서 뇌도는 검은색으로 칠한다고 하였다.
○연주방법과 기법 헌가 또는 궁가에서 박(拍)ㆍ축(柷) 등의 악기와 함께 음악을 시작할 때 악작(樂作)에서 연주한다. 받침대에서 자루를 뽑아 양손으로 잡고 좌우로 돌려 소리 낸다. 이때 북이 회전하며 북통에 달린 가죽끈의 끝부분이 북면을 때려 소리가 난다. 헌가 또는 궁가에서 음악을 시작하하고 마치기 위해 악작(樂作)ㆍ악지(樂止)를 연주할 때 박(拍)ㆍ축(柷) 등의 악기와 함께 친다. 받침대에서 자루를 뽑아 양손으로 잡고 좌우로 빠르게 돌린다. 그러면 북통에 달린 가죽끈의 끝부분이 북면을 때려 소리를 낸다.
○제작 및 관리 방법 북통의 재료가 되는 나무를 고르고, 북통을 만들고, 가죽을 다루어 북을 메우고, 색을 칠하고, 북 틀과 장식을 만드는 일반적인 북 제작 순서에 따른다. 뇌도의 북통에는 검은색을 칠하고, 나무 자루에 북통 세 개를 서로 엇갈리게 매달아 만든다.
제례에 편성하는 뇌도, 영도, 노도는 각각 북통에 검은색, 노란색, 붉은색을 칠하고 북면 수를 6ㆍ8ㆍ4로 하여 하늘ㆍ땅ㆍ사람 제사에서 울린다. 이들 북통의 색이나 북면의 개수는 모두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이 외에 용이나 백로로 장식한 북 틀을 호랑이 모양의 받침대에 세운 것 등 동물 형상과 다양한 문양 장식에도 종교ㆍ주술적 의미를 부여했다. 악기 그 자체로서도 박ㆍ축과 함께 헌가 또는 궁가 음악의 시작을 신호하는 역할을 했다.
국립고궁박물관 편, 『왕실문화도감 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국립국악원 편,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11. 송혜진 글 강원구 사진, 『한국 악기』, 열화당, 2001. 송혜진ㆍ박원모 글, 현관욱 사진, 『악기장ㆍ중요무형문화재 제42호』, 민속원, 2006. 이지선 해제ㆍ역주,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10집: 조선아악기사진첩 건乾, 조선아악기해설ㆍ사진첩, 이왕가악기』, 국립국악원, 2014. 이혜구 역주,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진양 지음, 조남권ㆍ김종수 옮김, 『역주 악서 4』 , 소명출판, 2014.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