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는소리, 물두레소리, 물고리소리, 파래소리
논에 물을 퍼 넣으면서 하는 소리
물푸는소리는 논에 물이 필요할 때 각종 도구로 논 옆에 고인 물을 논으로 퍼 넣으면서 두레박 수를 세는 소리다. 물을 푸는 도구에 따라 일의 동작과 소리가 달라진다.
논에 물을 퍼 넣을 때는 물을 얼마나 펐는지 수량을 헤아리기 위해 물을 푸는 횟수를 세는데, 단순한 숫자세기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재담도 섞고 구성진 곡조를 붙여서 노래처럼 부르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물푸는소리가 언제 어디서 생겨났는지는 알 수 없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물길이 닿지 않아 비가 내리지 않으면 물을 댈 수 없는 천수답(天水畓)에서는 논에 물이 마를 때마다 수시로 논 옆으로 흘러가는 도랑을 막거나 물이 고이는 둠벙에서 논으로 물을 퍼 넣어야 한다. 이럴 때 사용하는 도구가 혼자서 푸는 ‘두레박’, 둘이서 맞잡고 푸는 ‘맞두레’, 삼각대를 세워서 물을 푸는 ‘용두레’, 물레바퀴를 밟아 돌려 물을 푸는 ‘무자위’ 등이다. 이 가운데 무자위를 제외하고는 물을 얼마나 펐나 헤아리기 위해 두레박 수를 세는데, 단순하게 숫자만 세지 않고 일정한 곡조를 붙이고 숫자가 아닌 노랫말을 조금씩 넣어서 지루하지 않게 한다.
○ 악곡의 유형
물푸는소리는 도구의 종류에 따라 맞두레질소리ㆍ용두레질소리ㆍ무자위질소리로 나뉜다. 맞두레질은 둘이서 두레박 줄을 맞잡고 아래 둠벙에서 위 논으로 물을 퍼 올리는 일이다. 물을 퍼 올리는 일은 동작이 단순 반복적이고 물을 퍼 올리는 높이가 한 길이 넘는 경우도 있어서 강도가 매우 센 노동에 속하기 때문에, 구성진 노래를 부를 여유가 없이 단순한 숫자세기 수준에 약간의 가락이 들어간 단순한 노래를 부른다.
용두레는 삼각대를 세우고 꼭짓점에 줄을 매어 한쪽이 트이고 긴 손잡이가 달린 두레박으로 아래쪽의 물을 퍼서 앞쪽으로 밀어 붓는 도구다. 용두레질은 혼자 하지만 이런 용두레를 물길을 따라 여러 대 설치하여 여럿이 함께 물을 푸기도 한다. 하지만, 여럿이 함께 물을 푸더라도 용두레 사이의 거리가 있기 때문에 모심기나 논매기처럼 한데 일사불란하게 집단노동요를 부를 수 있는 환경은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용두레질소리는 독창이 기본이 되는데, 드물게 메기고 받는 (선후창) 방식의 노래도 있다.
○ 형식과 구성
물을 풀 때 숫자를 세는 것은 전체적인 수량을 가늠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일정한 작업량에 도달해 잠시 쉬거나 다른 사람과 교대를 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물 푸는 횟수를 헤아릴 때는 대략 100회 단위로 끊어서 숫자세기를 반복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물푸는소리도 하나에서 백까지 숫자 세기를 반복하게 되는데, 그러는 도중에도 열 번을 풀 때마다 소리를 높여 숫자를 확인하기를 반복한다.
무자위질은 혼자 무자위에 올라가 발로 물레를 밟아 돌리는 일이기 때문에 노래도 두레박질 할 때와는 다르게 마디가 일정하지 않은 노래를 독창으로 심심풀이 삼아 부르는 형태가 된다.
○ 맞두레질소리 @ 어허이 열이로다 / 열이 하나 열이 둘에 / 열이 서니 열이 너니 / 열이 다섯 열이 여섯 / 열이 일곱 열이 야달 / 열이 아홉 (허드레!) 사우가 왔구나1) / 스물 하나 노리나마2) / 계란을 굽고서 검우나마 / 해우를3) 굽고서 보리밥에나마 / 많이 먹고서 스물 아홉 (허드레!) / 오륙졌구나 서른 하나 / 서른 둘에 서른 서이 / 서른 너이 / 서른 다섯 저기 가는 사람 / 코피가 났구나 서른 아홉 (허드레!) / 오팔 사십은 마흔 하나 / 마흔 둘에 마흔 서이 / 마흔 너이 마흔 다섯 / 마흔 여섯 마흔 여섯 / 마흔 일곱 마흔 야달 / 마흔 아홉 (허드레!) 쉬흔은 반백 / 쉬흔 하나
(전라남도 나주군 동강면 옥정리 / 앞소리: 박만배, 1924년생)
○ 용두레질소리 하나 둘이라 허이 둘은 서이 / 둘은 너이 너이 다섯 / 다섯 여섯 여섯 일곱 / 일구 여덜 여덜 아홉 / 아홉 열인데 여라믄 시절에 / 부모님 앞에서 / 놀구 먹었네 열 칠팔세가 / 되구 보니 / 물을 푸눈다 열 다섯은 / 삼오 십오요 열다섯에 / 시집을 갔드니 이구 십팔 / 옐여덜 살에 남편 조차 / 이별했구나 사오 이십에 / 스무 살에 / 시집을 갔드니 남편조차 / 이별허구 스물 하나 / 스물 둘인데 스물 서이 / 스물 너이 스물 다섯 / 다섯 여섯은 / 불혹이요 일구 여덟은 / 조금인데 여덟 아홉은 / 사리로다 하나 둘은 / 넘어 가는데 / 울 너머냐 논배미루다 / 물 넘어 간다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 오상원, 1921년생)
어기영차요 물 넘어간다 하나에 둘이라 둘 서이요 십년 대한에 왕가물일세 일구 여덜 아홉 열 열들이 찼구나 물 너머간다 하나에 둘이라 둘서이요 땅이 석자가 타들어가누나 일구 여덜 여들 아홉 열 스물이로다 물 넘어간다 하나에 둘이라 둘서이요 세넷이요 네다섯이로다 천하지 대본은 농사이라네 일구 여덜 여덜 아홉 삼십이 찼구나 물 넘어간다 하나둘이라 둘서이요 서이너이 네다섯이로다 열길 물이라도 퍼올리세나 일구 여덜 여덜 아홉 사십이 찼구나 물 넘어간다 하나에 둘이라 둘서이요 서이 너이 네다섯이로다 한낮이 되어온다 한 배미 펐구나 일구 여덜 여들 아홉 아홉에 열이면 반백이 찼구나 어기영차요 물 넘어간다 하나에 둘이라 둘서이요 세넷이요 다섯 여섯 일구 여덜 아홉에 열이면 환갑이 찼구나 어기영차여 물 넘어간다 하나에 둘이라 둘 서이요 서이 너이 다섯 여섯 한 섬지기에 열 섬이 나구요 열 섬지기엔 백 섬이 난다네 아호 열 열이면은 칠십이 찼구나 어기영차여 물 넘어간다
(황해북도 인산군 상하리 / 어복경, 1910년생)
물푸는소리는 단순 반복적인 동작의 횟수를 세는 것이 노래가 된 경우로서, 향토민요로서는 그 발생 연원이 비교적 뚜렷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단순 반복적인 행위에서도 민요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민요 생성의 원리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강화용두레질노래: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2003)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강화용두레질소리는 앞소리꾼 조용승이 경연대회 등에 나가기 위해 ‘어야 용두레 물 올라간다’라는 물푸는소리의 후렴구를 만들어 원래는 독창이던 것을 선후창으로 만들어 부른 것이다.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기도편』, 문화방송, 1995.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문화방송, 1993. 최상일,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도서출판 돌베개, 2002.
최상일(崔相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