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소리, 방애소리, 방애타령, 방개타령, 방아호
받는소리에 ‘방아’라는 가사가 들어가는 논매기소리
〈방아타령〉은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논매기소리이며, 경기 서북부에서는 장례의식의 회다지소리로도 불린다. 전국에 전승되는 〈방아타령〉은 두 가지 계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논매기소리로 불려왔던 〈방아타령〉이며, 다른 하나는 사당패소리에서 영향을 받아 민요로 정착한 〈방아타령〉이다. 논매기소리 〈방아타령〉은 한배와 선율에 의해 몇 가지 음악적 유형으로 나뉘는데 〈긴방아타령〉ㆍ〈자진방아타령〉ㆍ〈꽃방아타령〉, 그리고 〈방아타령〉의 변주형인 〈방개타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방아타령〉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경기의 서북지역에 유독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서 황해도의 연백평야나 경기도의 김포평야에서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퍼져 나간 것으로 보인다. 논매기소리 〈긴방아타령〉은 대체로 한배가 길고 유장하여, 오랜 시간 전승되어 오던 고형의 노래라 짐작된다. 이에 비해 〈자진방아타령〉ㆍ〈꽃방아타령〉 등 한배가 짧은 악곡들은 사당패소리나 통속민요와의 영향을 주고 받았을 가능성이 있어 좀 더 근대의 노래일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사당패에 의해 전국으로 전파된 〈방아타령〉 계열의 악곡에서 경토리와 서도민요와 유사한 시김새의 흔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경기 북부에 뿌리를 둔 〈방아타령〉이 사당패를 통해 전국으로 전파되었고 20세기 초반에는 통속민요로 발전하였다고 보인다.
ㅇ 용도 〈방아타령〉은 주로 논의 잡초를 뽑는 논매기에서 불린다. 한 해에 세 차례 정도 진행되는 논매기 가운데 〈방아타령〉을 언제 부르는 지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박자가 불규칙하고 한배가 〈긴방아타령〉은 가장 힘이 많이 드는 초벌(애벌)에 부르거나 마지막 논매기인 만드리(만도리) 때 부르기도 한다. 또 속도가 빠른 〈자진방아타령〉이나 〈꽃방아타령〉은 논매기 작업이 무르익어 속도가 빨라지는 시점에 노래하기도 한다. 경기의 서북지역에서 〈방아타령〉을 장례의식인 회다지에 부르는 사례들이 발견된다. 〈방아타령〉뿐 아니라 다양한 논매기소리들을 회다지소리로 차용하는 경우들이며 이 역시 회다지 작업이 막바지로 향해갈 무렵에 불러 흥을 돋우고 속도를 재촉한다. ㅇ 음악적 특징 경기의 서북부 지역의 〈방아타령〉은 경토리로 되어 있지만 노래하는 도중에 메나리토리나 반경토리 등으로 바뀌는 사례들이 있다. 강원도와 충청도, 경상도 지역에서는 대체로 메나리토리가 가장 우세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경토리나 어사용토리 등도 섞여 나타나고 있다. 전라도 지역과 경남의 서남부 지역에서는 육자배기토리가 사용되지만 이들 지역의 〈방아타령〉 중 사당패계열 악곡은 경토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방아타령〉의 박자 구조로는 3소박 4박자가 가장 많으며, 〈긴방아타령〉은 불규칙 박자가 활용된다. 또 사당패소리 계열에서는 변박자가 나타나거나 여러 박자 구조가 활용되고 있다. 예천통명농요의 〈방아소리〉는 논매기를 마치고 모를 세우면서 부르는 노래로 메나리토리이며, 3소박 4박자 한 장단씩을 메기고 받는다. 고성농요의 〈방아타령〉은 메나리토리이며 3소박 4박자 한 장단씩 메기고 받는다. 경기도 파주금산리민요 중 〈방아타령〉은 경기도 서북부에 전승되는 논매기소리 계열 〈방아타령〉으로 경토리로 되어 있으며 3소박 4박자에 맞는다. 이에 비해 해남 우수영 〈방애타령〉은 사당패소리 계열로 경토리로 되어 있으며, 3소박 4박자 굿거리장단에 가깝다. 다섯 장단을 받고, 세 장단이나 네 장단을 메겨, 메기는소리의 길이가 불규칙한 점이 특이하다.
예천통명농요 중 방아소리 (받는소리) 오호라 방해야 (메기는소리) 이 방하가 뉘 방아고 강태공의 조작방해 여주 이천 자차방하 개편방하 수수방하 장터골에 첩을 두고 첩의 집에 놀러가세 첩의 집에 놀러가니 첩은 이미 잠이 들어 나 오는 줄 모르는고 쿵덕쿵덕 찧어보세 우리 농군 잘하신다 설날 명절에 흰떡 방아 추석 한가위 송편방아 쿵덕쿵덕 찧어보세 목이 말라 모하는가 졑에 사람 보기 좋게 먼데 사람 듣기 좋게 배고프면 밥을 주네 요번 마디 요래하고 훗번 마디는 또 달리하세 방해소리도이 고만하세
임재해, 『예천통명농요』.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127쪽.
고성농요 중 논매기소리-방애소리 (받는소리) 오 오우 방애 (메기는소리) 오 오우 방애 방애소리 한분하면 신농씨 본을 받아 높은 데는 밭을 지워 낮은 데는 논을 치워1 백과종자 씨를 뿌려 만사풍년을 이뤄보자 논군들 논거동을 언제 올가 수심지고 물길 밑에 송사리는 물 떨어질가 부심지고 주인네 양반 가슴일랑 연이올가 수심지어 이 농사의 풍년들어 장개가고 시집가서 아들 낳고 딸을 낳아 알뜰살뜰 잘 살아 보자 히〜히히호호호호 / 히〜히히 호호호호
1) 만들어
국립문화재연구소, 『고성농요』,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101쪽.
경기도 파주금산리민요 중 회닺는소리- 방아타령 (메) 에헤이 오호야 어라 우겨라 방아로구나 백두산 명물은 들쭉 열매인데 압록강 굽이굽이 이천리 흐르네 (받) 에헤 에헤야 어라 우겨라 방아로구나 나니가 난실 네로구나 네나누 방아가 좋소 (메) 에 헤이오호야 어라 우겨라 방아로구나 구부러진 노송나무 바람에 건들거리고 허공 중천 뜬 달은 사핼 비쳐주네 (받) 에헤헤헤야 어라 우겨라 방아로구나 나니가 난실 네로구나 네나누 방아가 좋소
김영운·김혜정·이윤정, 『경기도의 향토민요』 하, 경기문화재단, 2006, 537쪽.
해남 우수영 방애타령 (받는소리) 에양에양 에헤야 어어 이것이 방아로고나 나지나아 아하 나이나이나이 나나이 나아 노다지 방아로고~나 (메기는소리) 노자강변에 비둘기 한 쌍이 물콩 하나를 물어다가 암놈은 물어 숫놈 주고 숫놈은 물어서 암놈주고 암놈숫놈 어우는 소리 청청 과부가 지둥을 잡고서 논다 또랑 또랑 백새또랑 여자복송에 심었더니 뿌리는 뻗어서 이방이요 가지는 뻗어서 성장이라 머물었다 피는 꽃은 기생에 태도로고~나 못할래라 못할래라 남에 기집을 못할래라 거러 앉어라 저리 앉어라 남에 기집을 못할래라 원수여리 북장고소리에 초매를 잡고서 논다 이 방아가 쌀방아냐 물방아냐 방아로 고나 이 방아가 누 방아냐 전라도 부자 방아로세
김혜정·이경엽, 『해남우수영부녀요』, 해남군, 2019, 43~44쪽.
〈방아타령〉은 전승지역이 전국적이고 논매기소리 계열과 사당패소리 계열이 섞여 있어 그 양상이 복합적이다. 가장 많은 〈방아타령〉이 전승되는 경기도에는 <긴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꽃방아타령〉 등 다양하게 변주된 〈방아타령〉이 있고, ‘방아’라는 가사는 지역에 따라 ‘방애’·‘방개’·‘방호‘ 등으로 바뀌어 있다. 토리나 박자의 사용도 매우 다양하여 지역별 변주 양상과 음악적 다양성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소재라 할 수 있다.
방아타령이 포함된 논농사소리 문화재로는 국가문화재 고성농요(1985), 서울문화재 마들농요(1999), 경기문화재 고양송포호미걸이(1998), 경기문화재 파주금산리민요(2000), 경기문화재 포천메나리(2000), 경기문화재 동두천민요(2013), 경기문화재 화성팔탄민요(2022), 전북문화재 금과들소리(2005), 충남문화재 금산물페기농요(1992)가 있고, 밭농사소리로 전남문화재 우수영부녀농요(1987), 장례의식요로는 서울문화재 바위절마을호상놀이(1996), 경기문화재 양주상여회다지소리(1998), 경기문화재 고양상여회다지소리(2017)가 있다. 또 <방아타령>을 굿놀음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 국가문화재 황해도 평산소놀음굿(1988)이 있으며, 국가문화재 제주민요(1989)에 포함된 용천검 역시 사당패소리 방아타령 계열로 본다.
논농사소리
고성농요: 국가무형문화재(1985) 마들농요: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1999) 금산물페기농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1992) 고양송포호미걸이: 경기도 무형문화재(1998) 파주금산리민요: 경기도 무형문화재(2000) 포천메나리: 경기도 무형문화재(2000) 금과들소리: 전라북도 무형문화재(2005) 동두천민요: 경기도 무형문화재(2013) 화성팔탄민요: 경기도 무형문화재(2022)
밭농사소리
우수영부녀농요: 전라남도 무형문화재(1987)
장례의식요
바위절마을호상놀이: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1996) 양주상여회다지소리: 경기도 무형문화재(1998) 고양상여회다지소리: 경기도 무형문화재(2017)
방아타령을 굿놀음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
황해도 평산소놀음굿: 국가무형문화재(1988)
사당패소리 계열
제주민요: 국가무형문화재(1989) - 용천검
김영운ㆍ김혜정ㆍ이윤정, 『경기도의 향토민요』 상ㆍ하, 경기문화재단, 2006. 강등학, 「모심는 소리와 논매는 소리의 전국적 판도 및 농요의 권역에 관한 연구」, 『한국민속학』 38, 2003. 손인애, 「경기 지역 방아타령계 음악 形成攷」, 『한국음악연구』 36, 2004. 손인애, 「경기도 토속민요 방아소리 연구」, 『한국민요학』 13, 2003. 이윤정, 「경기도 논농사소리의 음악적 정체성」,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7. 이정란, 「방아류 민요의 음조직 유형과 분포」, 『한국민요학』 4, 1996.
김혜정(金惠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