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루자소리, 쪼루자, 저루자
경상도 지역에서 모를 찌거나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민요
조리자소리는 경상남도 및 경상북도 중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다. 주로 모찌기와 모심기의 마무리 단계에서 빠른 속도로 부른다.
조리자소리가 언제부터 불렸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모찌기소리와 모심기소리의 연원이 이앙법(移秧法)의 확산으로 인한 벼농사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므로 그 유래를 조선 중기 이후로 추정할 수 있다.
조리자소리는 경상도를 중심으로 분포된 일명 <정자소리> 권역에서 채록되는 민요이다. 흔히 모찌는 소리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모심는 소리에서도 자주 불리며, 논매는 소리의 마지막 단계에서도 불리었다. 모찌는 소리로 불리는 조리자소리는 울산을 비롯하여 경남 고성, 밀양, 김해, 거제, 진양, 합천 및 경북 고령·경산·경주·칠곡 등지에서 채록되었으며, 모심는소리로 불리는 조리자소리는 경남 거제, 밀양, 통영, 경북 고령 등지에서 채록되었다. 논매는 소리로는 경남 고성, 경북 고령에서 불린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분포지역을 두고 보았을 때 주로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경북 일부 지역에서만 불렀음을 확인할 수 있고, 같은 정자소리 권역이라 하더라도 경북 북부지역에서는 불리지 않았다. 현재는 국가무형문화유산인 고성농요에서 모찌기소리 중 하나로 조리자소리를 전승하고 있다. 조리자소리는 모찌기나 모심기가 마무리될 무렵 얼마 남지 않은 노동의 속도를 올리고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하여 노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흥겹고 빠르게 불린다. 모찌기나 모심기를 하는 인원이 두 패로 나뉘어서 교환창으로 부르며, ‘조리자 조리자 이 모자리를 조리자’라는 노랫말을 받는소리로 하여 선후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받는소리의 ‘조리자’는 지역과 사람에 따라 ‘조루자’, ‘쪼루자’, ‘저루자’ 등으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조리자소리는 경상도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메나리토리로 부르지만, 경남 고성지역의 경우와 같이 육자배기토리가 섞인 경우도 있다. 보통 3소박 4박의 두 장단씩 주고받으며, 비교적 빠르게 가창되어 선율에 시김새나 꾸밈음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조리자소리의 노랫말은 못자리나 논배미를 조리자고 하는 내용으로 시작하여 점차 영감상투, 시어머니와 며느리, 시누올캐 등으로 조리는 대상을 확대하며 흥미를 더하기도 한다.
(가) 조루자 조루자 요 논빼미를 조루자
(나) 조루자 조루자 요 논빼미를 조루자
(가) 퐁당퐁당 수지비 사우판에 다 올랐네
(나) 조루자 조루자 요 논빼미를 조루자
(가) 요놈의 할마이 어데 가고 딸의 동냥을 시켰는고
(나) 조루자 조루자 요 논빼미를 조루자
(가) 조루자 조루자 요 논빼미를 조루자
(나) 조루자 조루자 요 논빼미를 조루자
(가) 세상 천지 만물 중에 사람밖에 더 있는가
(나) 조루자 조루자 요 논빼미를 조루자
(하략)
조리자소리는 정자소리 권역에서 전승되는 모찌기소리와 모심기소리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
MBC문화방송, 『MBC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편)』, 1995. 강등학, 『한국민요의 존재양상과 판도』, 민속원, 2016. 국립무형유산원, 『고성농요』, 2004. 강등학, 「정자소리의 분포와 장르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민요학』 29, 2010. 최헌, 「정자소리 선율의 구조와 형식」, 『국악원논문집』 8, 1996. 최헌, 「한국 모심기소리의 선율구조」, 『한국민요학』 20, 2007.
정서은(鄭諝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