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들소리, 무언디소리, 무한들소리, 먼디소리, 먼뒤소리, 몬뒤요소리
후렴구에 ‘먼데’·‘먼들’·‘무언디’·‘먼디’ 등의 말이 들어가는 민요를 통칭하는 악곡명
먼데소리는 메기고 받는 형식의 민요에서 후렴구에 ‘먼데’ 또는 그와 비슷한 구절이 나오는 민요의 악곡명으로서, 전라남도 서남부 지역에서 모를 찔 때 많이 부르는 농요다.
먼데소리는 일반적인 노동요와 마찬가지로 여러 명의 농민들이 들판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지루함을 달래고 능률을 높이기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 널리 퍼져 하나의 악곡 유형이 된 민요 후렴구로 추정된다. ‘먼데’의 뜻은 알 수 없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모내기를 하는 날 이른 아침에 논 한 켠에 마련된 모판에서 모를 쪄내면서(뽑아 묶어내면서) 먼데소리를 한다. ○ 악곡의 유형과 지역적 분포 먼데소리로 분류되는 후렴구는 지역에 따라 노랫말이 ‘에헤라 먼들’(전남 나주/무안/함평군), ‘아하라 먼디요’(전남 신안군 장산면), ‘에헤여라 무언디요’(전남 신안군 장산면), ‘어기여라 무한들아’(전남 신안군 임자면), ‘어기야 여어라 먼뒤요’(전남 신안군 비금면), ‘에히여라 몬뒤요’(전남 장흥군), ‘아하라 허라 머언뒤여요’(전남 해남군) 등으로 조금씩 다르고, 리듬도 장단 없이 느리게 부르는 것부터 일정한 장단에 맞는 것까지 다양하다. ○ 형식과 구성 먼데소리는 대부분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부른다.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의 먼데소리는 긴소리와 자진소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남군 화원면 청룡리의 먼데소리는 ‘하하하하 헤이여라 머언뒤여요’와 ‘어기혀 여 여이여라 머언뒤여요’라는 두 가지 후렴구를 번갈아 부른다.
먼데소리를 후렴구로 부르는 민요의 메기는 소리의 노랫말은 대부분 모찌는소리로 불리는 만큼 모내기 하는 날의 정경을 묘사하는 내용이 많다. 1) 먼데소리
하하하하 헤이여라 먼뒤어요 (후렴1) 하하하하 헤이여라 머언뒤여요 먼디로세 먼디로고나 오날 여기도 먼데로다 (후렴2) 어기혀 여 여이여라 머언뒤여요 앞산은 점점 가까나지고 뒷산은 점점 멀어진다 (후렴1) 하하하하 헤이여라 머언뒤여요 다 잘 하네 다 잘 허는구나 우리야 농부들 다 잘 한다 (후렴2) 어기혀 여 여이여라 머언뒤여요
2) 먼들소리 (후렴) 에라 먼들 먼들소리 맞춰보세 먼데 사람 듣기 좋게 옆에 사람 보기 좋게 이 모를 무어서 어데다 심을께 저 건너 장구배미다 심어보세
3) 무한들소리
(후렴) 어기여라 무한들아 무한들 소리가 때를 맞어 이 들녘에 찾아를 왔네 이 농사를 지어 나라 봉양을 허자
4) 머난데소리
〈긴소리〉 (후렴) 어기야 허허 여허라 머난뒤요 이 고루 걸고 저 고루 걸어 열두 고루를 다 걸고야 소리 없이 열리길래 임 오는가 내다보니 온다는 님은 아니 오고 동남풍이 날 속이네 〈자진소리〉 (후렴) 에헤야 어기여라 머난데가 사난지라 앞에 산을 가까오고 뒤에 산은 멀어진다 먼데 사람 듣기좋고 곁에 사람 보기좋게 다 되였네 다 되였어 이 모판이 다 되었네
먼데소리는 전남지역의 모찌는소리로 불리는 사례가 대부분으로, 다른 여러 향토민요 악곡에 비해 분포지역과 기능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남도들노래: 국가무형문화재(1973)
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편』, 문화방송, 1993.
최상일(崔相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