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자박이(六字拍이)〉, 〈육자백이〉
전라도 대표적인 민요와 남도잡가의 하나이며 향토민요로 불리기도 하는 곡
육자배기는 남도 지역에서 일노래와 유희요로 불렀던 향토민요인데 잡가로 불리게 되면서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향토민요 육자배기가 가사에 따라 선율이 변하며 이에 따라 다른 노래들에 비하여 다양한 선율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전문소리꾼들이 남도잡가의 한 곡으로 무대에서 선보이게 되면서 널리 유행하게 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향토민요 육자배기가 가사에 따라 선율이 변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노래들에 비하여 다양한 선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요소로 인해 1900년대 초 서양식 무대공연의 활성화에 따라 전문 소리꾼의 노래로 흡수되고 남도잡가의 세 번째 곡으로 삽입되어 오늘날까지 불려지고 있다.
육자배기(긴 육자배기)는 좁은 음역을 사용하는 향토민요 육자배기와 넓은 음역과 세련된 음계를 사용하는 잡가 육자배기로 나누어진다. 향토민요 육자배기는 불규칙한 6박 장단이 많고, 잡가 육자배기는 규칙적인 6박 장단인 진양조장단을 사용한다. 육자배기는 남도민요의 특징과 음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곡으로 구성음은 상행 선율은 ‘미(mi)-라(la)-도(do′)-레(re′)-미(mi′)’의 4음 음계이고, 하행 선율은 ‘미(mi′)-레(re′)-도(do′)-시(si)-라(la)-미(mi)’의 구성음을 가지며 도(do′)-시(si)의 반음을 가진 5음음계이다. 육자배기가 남도민요를 대표하는 곡이어서 남도민요의 토리를 육자배기토리라 부른다. 자진육자배기는 보통 속도의 3박(9/8박자)으로 부른다. 향토민요로 부르는 예는 거의 없고 남도잡가 육자배기와 짝을 이루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의 자진육자배기를 만든 것으로 해석한다.
잡가 육자배기의 대표적인 노랫말 육자배기(진양)
1. 산 이로구나 헤 사람이~ 살면은 몇백년이나 살더란 말이~냐 죽엄으(죽어메) 들어~서 남녀노소 있느냐~ 살어~~서 생전 시절이라도 각기~ 맘대~로~ 놀~ 2. 고나 아아~ 헤 ~~ 추야장 밤도 길드라 님도 이리~ 밤이~이이~ 긴가~아 밤이~ 야 길까~~ 마는 님이 없는 탓이로~ 오호 구나~ 언제~~ 나 알뜰헌 님을 만나서 긴 밤~ 짜룹게 샐~ 3. 거나 헤- 내정~~은 청산이요 임의 정은 녹수로~ 오호 구나~ 녹수야~~ 흐르~ 건만 청산이야~ 변할~소~냐~ 아마~~도 녹수가~ 청산을 못잊어 휘휘 감고만 돌~ 4. 거나 헤- 새야 새야 청조 오오~ 새야 가~ 지 가~ 지 않지를 말어라 그 나~ 아아 ~ 무 병들어 고목이 되면은 날과 ~ 일반~ 이로 ~오오~ 5. 거나 헤~ 꿈아 꿈아 무정한 꿈아 오시는 님을 보내는 꿈아 오시는 님은 보내지를 말고 잠든 나를 깨워를 주니 언제나 알뜰한 님을 만나서 이별없이 ~
자진육자배기(세마치)
고나 에헤야~ 어~~ 허 야하아 어허 어허~ 야아하아~ 이이 이히히히 이히히히 네~헤로 구운나 에~ 어허~ 어어허허 어허 여허루 산~이로~ 고나 에헤야 1. 낮이나 밤이나 낫을 쓱쓱 갈어서 짊어지고 저 건너 큰 얘기 무덤으로 벌초하러 갈~ 고나 에헤야~ 2. 잠이 들면 꿈꾸이고 꿈을 꾸며~는 님이 와서 나의 손을 부여잡고 내 사랑아~ 잘 있드냐 그 말이 귀에가 쟁쟁허여 나는 못잊(살)겄~ 고나 에헤야 3. 나는 그대를 생각~허기를 하루도 열백번이나 생(새은)각 허는디 그대는 나를 생각헌 줄을 알 수가 없네~ 고나 에헤야 4. 세상 천하를 다 믿어도 못믿을 것 님이로다 나의 정을 옮겨다가 다른 임께 꼬여줍나 아서~라 못잊고 못믿을게 내가 바보였네 고나 에헤야 5. 새야 너무~ 우지 지지를 말어라 나도 지척에다가 정든님 두고 마음이 심숭 삼숭 산란헌디 너마저 내 창천에 와서 설리 울고 갈~ 고나 에헤야
육자배기는 남도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남도 특유의 음조직과 시김새를 가장 잘 드러내는 노래로 남도잡가가 형성될 무렵 향토민요에서 예술음악으로 변모되었으며, 자진육자배기는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느림과 빠름의 대비로 창작된 육자배기로 3소박 3박자의 특별한 장단으로 연주된다.
하응백, 『창악집성』, 휴먼앤북스, 2011.
김삼진(金三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