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고(立鼓)
궁중의 조회와 연향 등에서 전정헌가(殿庭軒架)에 편성해 연주한 아악기로, 호랑이 모양의 받침대와 기둥에 올려놓은 크고 화려한 북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宋)으로부터 대성아악(大晟雅樂)을 연주하는 아악기의 하나로 유입되어 아악 연주에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전정헌가(殿庭軒架)에 편성되어 조회(朝會) 연향(宴享) 등에 사용되었다. 보통 전정헌가의 북쪽 중앙에 남향 또는 북향으로 설치하였는데 북쪽을 바라보았을 때 건고를 가운데 두고 왼쪽(서쪽)에 삭고(朔鼓), 오른쪽(동쪽)에 응고(應鼓)를 함께 배치하였다. 호랑이 모양의 받침대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큰 북을 얹은 형태로, 북 위에는 두 층으로 올린 방개, 용머리 형태의 용간, 백로 등을 장식하였다. 북면을 북채로 쳐서 연주한다.
북송(北宋)의 진양(陳暘, 1068~1128)은 『악서(樂書)』에서 『예기(禮記)』 「명당위(明堂位)」를 인용하여 건고를 설명하였다. 즉 “은나라의 북은 영고(楹鼓)”이며, “세운다는 것은 기둥[楹: 영]이 있다는 뜻으로, 영고는 한 개의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네모난 틀을 만들고 북을 기둥의 끝에 꿴 것이다. 위ㆍ진 이후 상(商: 은)나라 제도를 복구하여 북을 세워두고 건고라고 불렀다. 또 수ㆍ당에서는 날갯짓하는 백로를 그 위에 얹어 놓았는데 기둥을 꽂고, 두(斗: 기둥 위의 네모진 나무)와 방개(方盖: 네모진 뚜껑)를 포개 놓고, 거기에 구슬발을 씌우고 붉은빛과 자줏빛의 수놓은 엷은 비단의 휘장을 쳤다. 네 귀에 용머리를 장식한 네 개의 장대가 있는데, 모두 유소(流蘇)와 구슬을 드리웠고, 오색 깃으로 장식했으며, 중앙의 장대 꼭대기는 날갯짓하는 백로로 장식했다. 건고의 좌우에는 비고(鼙鼓)와 응고라는 두 개의 작은 북을 놓는다.”라고 하였다.
즉 “은나라의 북은 영고(楹鼓)”이며, “세운다는 것은 기둥[楹: 영]이 있다는 뜻으로, 영고는 한 개의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네모난 틀을 만들고 북을 기둥의 끝에 꿴 것이다. 위ㆍ진 이후 상(商: 은)나라 제도를 복구하여 북을 세워두고 건고라고 불렀다. 또 수ㆍ당에서는 날갯짓하는 백로를 그 위에 얹어 놓았는데 기둥을 꽂고, 두(斗: 기둥 위의 네모진 나무)와 방개(方盖: 네모진 뚜껑)를 포개 놓고, 거기에 구슬발을 씌우고 붉은빛과 자줏빛의 수놓은 엷은 비단의 휘장을 쳤다. 네 귀에 용머리를 장식한 네 개의 장대가 있는데, 모두 유소(流蘇)와 구슬을 드리웠고, 오색 깃으로 장식했으며, 중앙의 장대 꼭대기는 날갯짓하는 백로로 장식했다. 건고의 좌우에는 비고(鼙鼓)와 응고라는 두 개의 작은 북을 놓는다.”라고 하였다. 또한 『시경』에 “응고ㆍ전고(田鼓)ㆍ현고(縣鼓)를 연주한다고 했으니 주나라에서는 건고가 아니라 현고 옆에 응고와 전고를 놓았다.”라는 설명에 의하여, 은나라의 영고에서 비롯된 세워서 연주하는 북을 위ㆍ진 이후 건고라 불렀으며, 건고의 장식과 좌우에 작은 북을 두는 전통은 수ㆍ당 이후라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예종 11년에 입고(立鼓)라는 이름으로 송으로부터 대성아악을 연주하는 아악기의 하나로 유입되어 아악의 헌가에 편성되었다. 『세종실록』(1454) 「오례」 에 도설이 처음 보이고 『악학궤범』(1493)에서는 아악기의 하나로 상세하게 묘사되었다.
○구조와 형태
ㆍ방개(方蓋): 북통 위에 두 층으로 올린 입방형의 장식 덮개. 아래쪽에는 붉은색, 푸른색의 비단 휘장을 늘어뜨리고, 방개의 사면에는 구름ㆍ꽃ㆍ연꽃무늬 등으로 장식한다. ㆍ용간(龍竿): 방개의 아래층 네 귀퉁이에 꽂아 놓은 용의 머리가 조각된 긴 대 ㆍ연좌(蓮座): 방개 위층에 올린 연꽃 모양의 받침대 ㆍ백로(白鷺): 연좌 위에 올린 비상하는 백로 조각품 ㆍ주주(珠柱): 구슬모양을 새겨놓은 나무 기둥 ㆍ북통과 북면: 북통 양쪽 북면에는 쇠고리가 달려 있다. 북통 색깔은 검붉은 자주색이고 양쪽 북면의 중앙에는 삼태극 문양을 그려 넣었다. 북면의 가장자리에는 청ㆍ홍ㆍ흑ㆍ녹ㆍ황의 오색 무늬가 있다. ㆍ호랑이[四虎]: 네 마리의 호랑이가 사방으로 엎드려 있는 형상을 한 받침대. 나무호랑이 받침대의 중앙을 뚫어 주주를 꽂아 세운다. ㆍ목퇴(木槌): 나무로 만든 채 ㆍ색사유소(色絲流蘇): 색실의 장식으로 다는 여러 가닥의 실. 용의 입에 색사유소를 늘어뜨린다. ㆍ채주(彩珠): 채색 구슬 ㆍ장경(長鏡): 채주(採珠)의 끝부분에 달린 긴 거울모양의 장식품 건고는 세워 놓은 북이라는 뜻에서 입고라고도 한다. 호랑이 모양의 받침대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큰 북을 얹은 형상이다. 북 위에는 네모 상자 모양의 방개를 두 층으로 쌓아 올리고, 여기에 연꽃 조각품을 얹은 다음에 비상하는 백로 한 마리를 올려놓는다. 방개의 네 귀퉁이에는 용머리 형태의 용간을 꽂는다. 용의 입에 색사유소를 늘어뜨리는데, 고운 빛깔의 구슬 등으로 장식한다. 네 마리의 호랑이가 사방으로 엎드려 있는 형상을 한 받침대에 중앙을 뚫어 주주를 꽂아 세운다. 북통 양쪽 북면에는 쇠고리가 달려 있다. 북통 색깔은 모두 검붉은 자주색이고 양쪽 북면의 중앙에는 삼태극 문양을 그려 넣는다. 북면의 가장자리에는 청ㆍ홍ㆍ흑ㆍ녹ㆍ황의 오색 무늬가 있다. 나무로 만든 북채로 한쪽 북면을 친다. ○연주방법과 기법 건고는 항상 삭고ㆍ응고와 함께 한 짝을 이루어 배치된다. 북쪽을 바라보았을 때 건고를 가운데 놓고 왼쪽(서쪽)에 삭고를, 오른쪽(동쪽)에 응고를 진설(陳設)한다. 음악이 시작되면 삭고를 먼저치고 응고를 치고 축을 두드린 후에 건고를 쳐서 마치 작은 북이 큰 북을 인도하는 것처럼 연주한다. ○제작 및 관리 방법 북통의 재료가 되는 나무를 고르고, 북통을 만들고, 가죽을 다루어 북을 메우고, 색을 칠하고, 북 틀과 장식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북 제작 순서이며, 건고도 이에 따른다.
건고는 궁중의 영화를 상징하는 가장 화려하고 볼품 있는 북이다. 건고는 조회와 연향에서 항상 삭고ㆍ응고와 함께 한 짝을 이루어 전정헌가에 편성되었다. 삭고나 응고는 건고에 수반되는 부수적인 북이며 세 개의 북이 한데 모여 있을 때 비로소 의례음악의 의미가 완성되었다. 북통 위에 두 층으로 쌓아 올린 상자 모양의 방개, 그 위에 연꽃 좌대에서 비상하는 백로, 용간과 네 마리의 호랑이ㆍ모란꽃ㆍ연꽃ㆍ구름 등의 화려한 문양으로 장식한 건고는 종교적ㆍ주술적 의미와 상징성을 지닌 채 오랜 세월 동안 궁중 아악기로 사용되었다.
국립고궁박물관 편, 『왕실문화도감 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2014. 국립국악원 편,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11. 서한석 역주ㆍ김종수 감수,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11집: 역주 기사진표리진찬의궤』, 국립국악원, 2018. 송혜진 글 강원구 사진, 『한국 악기』, 열화당, 2001. 송혜진ㆍ박원모 글, 현관욱 사진, 『악기장ㆍ중요무형문화재 제42호』, 민속원, 2006. 이지선 해제ㆍ역주, 『한국음악학 학술총서 제10집: 조선아악기사진첩 건乾, 조선아악기해설ㆍ사진첩, 이왕가악기』, 국립국악원, 2014. 이혜구 역주,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진양 지음, 조남권ㆍ김종수 옮김, 『역주 악서 4』, 소명출판, 2014.
최선아(崔仙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