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거리
서도 선소리산타령의 구성곡 네 곡 중 네 번째로 부르는 곡
서도 선소리산타령은 〈놀량〉ㆍ〈앞산타령(사거리)〉ㆍ〈뒷산타령(중거리)〉ㆍ경발림(경사거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네 번째 곡이 경발림(경사거리)이다. 사설 내용은 평양을 중심으로 한 여러 고장이 나오며, 영변의 약산동대, 북향산 등의 지명이 보인다. 이렇게 경발림은 관동팔경(關東八景)ㆍ서도팔경(西道八景) 등을 포함한 산천경개를 사설 내용으로 하고 있는 유절 형식의 악곡이다.
서도 경발림은 20세기 초에 불리던 놀량계 경발림을 계승한 곡이다. 현행 서도 선소리산타령의 구성곡 네 곡을 경기 산타령의 대가 되는 악곡명인 서도 〈놀량〉ㆍ〈앞산타령〉ㆍ〈뒷산타령〉으로 부르는데 네 번째 곡만은 서도 〈자진 산타령〉이라고 하지 않고 20세기 초 잡가집 시대의 명칭과 같이 경발림 혹은 〈경사거리〉로 부르고 있다. 이백의 시 ‘중원지변방이요...’에서 따온 부분을 제외하면, 다른 장르와의 사설 교섭 현상이 적으며, 소위 사랑 관련 사설이 거의 없는 악곡이기도 하다.
20세기 초 잡가집에 놀량계 산타령의 경발림 사설에는 아주 작은 동그라미(◦)로 구점(句點)이 찍혀있는 것이 특이하다. 동그라미 구점이 찍힌 부분이 사설 단락의 구분이고, 두 단락이 서로 대구(對句)가 되어 한 절을 이루고 있다. 현행 서도 <경발림>이 비교적 규칙적인 장단을 가진 것은 구점의 영향으로 보인다. 서도 경발림은 입타령 없이 시작하는 유절 형식의 악곡이며, 그 구성음이 ‘솔(sol)-라(la)-도(do′)-레(re′)-미(mi′)’인 경토리에 속하는 악곡이다. 선율형을 보면, 각 절마다 메기는 소리에서는 고음으로 높이 질러서 조르는 목을 쓰는 것이 특징이며, 길게 뻗는 곧은 소리를 많이 구사한다. 3소박 6ㆍ8ㆍ12 박 등, 과박 마디가 많이 출현하고 대체로 빠른 템포로 노래한다. 노래의 한 절은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기 ‘다는 선율형과 리듬형’, 그리고 ‘맺는 선율형과 리듬형’으로 되어있다. ‘다는 선율형과 리듬형’이란 두 개의 악구 중에 선행하는 것으로 내드름의 성격이 강하고, ‘맺는 선율형과 리듬형’은 뒤따르는 악구로서 그 단락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한 악절이 달고, 맺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20세기 초 잡가집의 놀량계 경발림에는 받는 소리의 시작에 ‘에–’라는 입타령이 붙어 있는데, 현행 경발림에는 메기는 소리의 끝과 받는 소리의 끝에 ‘에–’라는 입타령이 붙어 있어서, 입타령의 빈도와 위치가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종지형을 살펴보면, ‘다는 선율형’은 솔(sol)로 종지하면서 변화 선율형이 많은데, 이는 사설이 확대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맺는 선율형’은 도(do′)로 종지하면서 맺는 선율형으로, 두 가지 종류가 출현한다. 그리고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의 ‘다는 리듬형’은 매우 변화가 많은 편이고, ‘맺는 리듬형’은 4마디(3소박 12ㆍ6ㆍ6ㆍ8박)로 규칙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1) (메)중원지변방(中原之邊方)이요 일세(日勢)는 요란한데 삼산반락(三山半落) 청천외(靑天外)요 이수중분(二水中分)에 백로주(白鷺洲)란다 (에) (받)어디로 가자고 날만 졸라 어디로 가자고 찌그렁직신 날만 조리조리 졸졸이 따라 안성(安城)에 청룡(靑龍) 가잔다 (에) (2) (메)수락산 폭포수요 둥구(圓峴)재며 만리(萬里)재라 약잠(藥蠶)재 누에머리 용산(龍山) 삼개[麻浦]로 에라 다 둘렀단다 (에) (받)연산(連山)의 김덕선(金德善)이 수원의 북문 지어 나라의 공신되어 수성옥이 와류 감투 꽉 눌러 쓰고 어주 삼배(御酒三盃) 마신 후에 앞에는 모홍갑(牟興甲)이 뒤에는 권삼득(權三得)이 송홍록(宋興祿)에 신만엽(申萬葉)으로 쌍화동(雙花童) 세워 어전 풍악(御前風樂)을 광꽝 치면서 장안 대로상(長安大路上)으로 가진 신래만 청한다 (에) (3) (메)바람이 불려는지 나무 중둥이 거드러 반춤추고 억수장마 지려는지 만수백수 무산(萬壽百壽 巫山)에 매지 구름이 펑퍼졌단다 (에) (받)서도팔경(西道八景) 구경을 가자 삼등(三登)의 황학루(黃鶴樓) 성천(成川)의 강선루(降仙樓) 개천(价川)의 무진대(無盡臺) 영변(寧邊)의 약산대(藥山臺) 강계(江界)의인풍루(仁風樓)의주(義州)의통군정(統軍亭) 안주(安州)의 백상루(百祥樓) 평양(平壤)의 연광정(練光亭)이란다 놀기 좋기는 부벽루(浮碧樓) 대동강(大同江)이라 (에) (4) (메))강원도(江原道)금강산(金剛山)에 유점사(楡岾寺) 법당뒤에 느릅나무 뿌리마다 서천서역국(西天西域國)서 나온 부처 오십삼불(五十三佛)이 분명하다 (에) (받)관동팔경(關東八景) 구경을 가자 강릉(江陵)의 경포대(鏡浦臺) 양양(襄陽)의 낙산사(洛山寺) 울진(蔚珍)의 망양정(望洋亭) 삼척(三陟)의 죽서루(竹西樓) 고성(高城)의삼일포(三日浦)통천(通川)의 총석정(叢石亭) 평해(平海)에월송정(越松亭)간성(干城)의 청간정(淸澗亭)이란다 놀기 좋기는 설악산(雪嶽山) 신흥사(神興寺)란다 (에)
이창배 창 서도 경발림(경사거리)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97쪽.)
서도 <경발림(경사거리)>은 놀량계 <경발림>의 사설을 거의 그대로 계승한 악곡으로, 한시(漢詩)에서 차용한 가사 외에 산천경개와 관동팔경, 서도팔경 등을 노래하는 가사로 구성된다. 이는 다른 장르와의 사설 교섭 현상이 적은 악곡이다.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전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 16, 1994. 황준연, 「전태용 창부타령의 선율구성」, 『한국음반학』 10, 2000.
신현남(申鉉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