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거리
서도 선소리 산타령의 구성곡 네 곡 중 세 번째로 부르는 곡
서도 선소리산타령은 〈놀량〉ㆍ〈앞산타령(사거리)〉ㆍ뒷산타령(중거리)ㆍ〈경발림(경사거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세 번째 곡이 뒷산타령(중거리)이다. 곡명은 뒷산타령이긴 하나 산에 대한 사설은 거의 없고 대부분 판소리 《춘향가》를 주제로 하거나 그 사설을 차용한 것으로서 사랑과 그리움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는 유절 형식의 악곡이다.
서도 뒷산타령은 20세기 초에 불리던 놀량계 〈중거리〉를 계승한 곡으로 다른 장르의 사설을 빌어다 쓴 부분이 많다. 12잡가 중 〈소춘향가(小春香歌)〉의 ‘너는 어떠한 계집이관대 ...’, 판소리 《춘향가》, 12잡가 중 〈평양가〉와 신재효본 〈박흥보가〉의 ‘갈까부다 말까부다...’ 그리고 판소리 《춘향가》의 ‘여운간지 명월이며...’ 등의 사설 차용이 그것인데 사랑과 그리움을 그 주제로 하고 있다. 산타령이라기보다 사랑타령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곡이다.
20세기 초 잡가집에 수록된 놀량계 산타령 중 〈중거리〉 사설에는 아주 작은 동그라미(◦)로 구점(句點)이 찍혀있는 것이 특이하다. 동그라미 구점이 찍힌 부분이 사설 단락의 구분이고, 두 단락이 서로 대구가 되어 한 절을 이루고 있다. 현행 서도 뒷산타령이 비교적 규칙적인 장단을 가진 것은 구점의 영향으로 보인다. 서도 뒷산타령은 입타령으로 시작하는 유절 형식의 악곡이며, 그 구성음이 ‘솔(sol)-라(la)-도(do′)-레(re′)-미(mi′)’인 경토리에 속하는 악곡이다. 비교적 높지 않은 음역대에서 흥청거리는 선율형을 가지고 있고 3소박 3박이 많이 출현하여서 거뜬거뜬히 장단을 몰아나간다. 노래의 한 절은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로 이루어져있는데 각기 ‘다는 선율형과 리듬형’, 그리고 ‘맺는 선율형과 리듬형’으로 되어있다. ‘다는 선율형과 리듬형’이란 두 개의 악구 중에 선행하는 것으로 내드름의 성격이 강하고, ‘맺는 선율형과 리듬형’은 뒤따르는 악구로서 그 단락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한 악절이 달고, 맺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20세기 초 잡가집의 놀량계 〈중거리〉에는 받는 소리의 시작에 ‘에–’라는 입타령이 붙어 있어 있는데 현행 서도 뒷산타령에는 메기는 소리의 끝과 받는 소리의 끝에 ‘에–’라는 입타령이 붙어 있는 것으로 보아, 빈도와 위치가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종지음을 살펴보면, ‘다는 선율형’과 ‘맺는 선율형’ 둘 다 도(do′)로 종지한다. 악곡의 구조는 다양한 변화형을 가진 ‘다는 선율형’과 ‘다는 리듬형’ 그리고 두 가지 정도로 압축되는 ‘맺는 선율형’과 ‘맺는 리듬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채롭고 화려하면서도 일정 정도로 통일성이 있는 종지를 가지고 있는 비교적 규칙적인 악곡이라고 할 수 있다.
(받)나지나 산이로구나 에- 두견아 에- 어허야 지루에- 에도 산이로구나 (에) (1) (메)여초목(與草木)이동남풍에거리숭벅궁 우는소리 장부요내 열촌의 간장을 다 녹여 낸다 (에) (받)나뭇잎만똑똑똑 떨어져도한병(漢兵)인가의심하고 새만좌르르르 날아 들어도자룡의 삼지창만 여겨 의심한다 (에) (2) (메)갈까부다 말까부다 임을따라 갈까 부다 자룡이 월강 하던 청총마(靑驄馬) 비껴타고 이내 일신이라도 한양을 따라 갈까나 (에) (받)에라 놓아라 나 못 놓겠구나 에라 놓아라 나 못 놓겠네 엄지 장(長) 가락이 다물어 빠지고 새끼손가락이 삼동에 나는데 어머니 아시면 매맞겠네 짜장 깊은 정을 생각하면 죽으면 죽었지 나는 못 놓겠다 (에) (3) (메)열려거든 열려무나 말려겨든 말려무나 남의 딸이 너뿐이며 남의집 귀동자가 세상에 너뿐인가 (에) (받)아하 요것이 맹랑하구나 아하 교것이 맹랑하구나 여봐라 이애야 네 내말 듣거라 너는 어떠한 계집이관대 장부 장딴지를 새장구통만 여겨 아삭바삭에 다녹여내고 너는 어떠한 귀동자관대 사람의 요내 열촌 간장을 다 녹여 낸다 (에) (4) (메)데려가면 연분(緣分)이요 두고 가면 상사(相思로)다 상사불견(相思不見) 이내 몸이 죽어서 나비되어 임의 집 화초밭으로 오락가락할까나 (에) (받)널로 연하여 얻은 병을 무삼 약을 다 쓰잔말가, 형방패독산(荊方敗毒散)도 저바리고 곽향 정기산(藿香 正氣散)도 저바리고 님의나 알뜰한 말씀으로 날 살려라 (에) (5) (메)여운간지 명월(如雲間之明月)이요 약수중지 연화(若水中之蓮花)로다 운간명월(雲間明月)이 너뿐이며 수중지연화(水中之蓮花)가 세상에 너뿐인가 (에) (받)홍순을 재현(紅脣纔見)하니 운리월(雲裏月)이요 옥안(玉顔)을 대상(對象)하니 수중연(水中蓮)이라 명모호치(明眸皓齒)가 너뿐이며 월태화용(月態花容)이 세상에 너뿐인가 (에) (후략)
이창배 창 서도 뒷산타령(중거리)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95쪽.)
서도 뒷산타령(중거리)은 사랑과 그리움 관련 사설이나 육담 등을 그대로 묘사하는 등 산을 열거하거나 소개하려는 의도는 없는 듯한 산타령이라기보다 사랑타령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곡으로, 놀량계 〈중거리〉의 사설을 거의 그대로 계승한 악곡이다. 3소박 3박이 많이 출현하는 비교적 규칙적인 장단을 가지고 있는 악곡이다.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전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 16, 1994. 황준연, 「전태용 창부타령의 선율구성」, 『한국음반학』 10, 2000.
신현남(申鉉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