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선소리 산타령의 구성곡 네 곡 중 첫 번째로 부르는 곡
경기 선소리산타령은 놀량ㆍ〈앞산타령〉ㆍ〈뒷산타령〉ㆍ〈자진산타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첫 곡이 놀량이다. ‘놀량’이란 뜻은 놀 작정, 놀 의향, 노는 모습 등을 뜻한다고 한다. 즉, ‘놀량’이란 악곡은 산천경개를 즐기면서 노는 모습을 묘사한 노래라고 말할 수 있다. ‘선소리산타령’하면 놀량을 가리키고 놀량 하면 ‘선소리산타령’을 연상할 만큼 놀량은 선소리산타령의 머리곡인 동시에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통절형식의 악곡이다.
산타령이 수록되어 있는 20세기 초의 잡가집들을 살펴보면 산타령은 잡가의 하위 갈래 악곡으로 이루어진 <판염불>·<앞산타령>·<뒷산타령>·<자진산타령>의 구성과 <놀량>·<사거리>·<중거리>·<경발림>의 구성이 구분되어 전해진다. 이러한 사실은 이때부터 두 가지 계통의 산타령이 각각 네 곡으로 레퍼토리화되어 연창형식으로 불려졌던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는 각기 머릿곡의 이름을 따서 판염불계 산타령과 놀량계 산타령으로 분류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판염불계 산타령은 현행 경기 산타령으로, 놀량계 산타령은 현행 서도 산타령으로 전승되었으며, 그중 경기 <놀량>은 판염불계 산타령의 첫 곡 <판염불>이 전승되어진 악곡임을 알 수 있다.
<놀량>의 사설은 20세기 초 <판염불>의 사설 초반에 나타나는 불가어 부분은 모두 사라지고 ‘산천초목이..’ 로 시작한다. 이는 사당패의 흔적을 없애고 붙박이 예인인 선소리패로 담당층이 전이된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놀량은 통절 형식의 악곡이므로 유절 형식의 악곡보다 악구의 구분이 어렵다. 선율의 단락과 사설의 단락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매우 다양한 변화 선율을 사용하여 화려함을 더하였다. 구성음이 ‘솔(sol)-라(la)-도(do′)-레(re′)-미(mi′)’인 경토리라고 볼 수 있고, 악구에 따라 도(do′)나 라(la)로 종지한다. 리듬형은 3소박 2박과 같은 소박과 3소박 3박ㆍ4박과 같은 평박, 그리고 3소박 5박ㆍ6박ㆍ8박과 같은 과박이 골고루 출현하는 편이어서 매우 복잡한 리듬 구조를 가진 악곡이다.
산천초목(山川草木)이 다 무성(茂盛)한데 구경 가기도 제일 좋다 아무리 네로구나 어얼 네로구나 네디어얼 네로구나 어얼 네로구나 얼시구나 절시구나 아무려도 네로구나 에에 에에에~이어 이얼네로구나 에 말들어도 봐라 녹양(綠楊)벋은 길로 평양감영(平壤監營) 쑥 들어간다. 에헤에얼 네로구나 춘수(春樹)는 낙락(落落) 기러기는 훨훨 낙락장송(落落長松)이 와직끈도 다 부러져 마른 가지 남아 지화자자 좋을시구 지화자자 좋을시구 얼씨구나 좋다 말 들어도 보아라 어얼 네로구나 종일 가도 안성(安城)은 청룡(靑龍)이로구나 몽림 일월이 송사리나 삼월이며 육구함도(六衢咸道) 대사중로 얼씨구나 절씨구나 녹양방초(綠楊芳草) 사랑초 다 저문 날이로구나 에 어얼 네로구나 이창배 창 경기 놀량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83쪽.)
경기 놀량은 경기 산타령의 대표곡으로, 사설에서 사랑과 관련한 내용을 덜어낸 것은 악곡의 격조를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여겨진다. 다양한 변화선율과 다채롭고 화려한 리듬구조를 통해 기교의 난이도와 예술적 완성도를 높인 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창배,『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김영운, 「가곡 연창형식의 전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신현남, 「산타령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이보형,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 연구」, 『민족음악학』 16, 1994. 황준연, 「전태용 창부타령의 선율구성」, 『한국음반학』 10, 2000.
신현남(申鉉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