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들의 고달픈 신세를 자탄하는 내용의 서도잡가
서도 지역에서 발생한 어업노동요로, 민요ㆍ잡가ㆍ대악부(극)로 불렸으며, 일제 강점기를 거쳐 서도잡가의 한 곡으로 정착되었다.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가 풍랑을 겪으면서 고기를 잡는 고달픈 어부의 생활상을 주제로 변형 유절 형식으로 노래한다.
서도잡가 배따라기의 사설은 1914년 『신구잡가』에 처음 수록된 후, 다양한 잡가집에 사설이 수록되어 전해진다. 지금까지 발견된 음원 중 최고본은 1912년 이정화ㆍ문영수가 〈평앙주달타령〉ㆍ〈해상주달타령〉의 곡명으로 취입한 음원이다. 이후 양우석ㆍ표연원ㆍ이진봉ㆍ최순경ㆍ박월정ㆍ김칠성 등 다양한 서도 창부 및 예기들에 의해 꾸준히 음원이 취입되었다. 현재 불리는 배따라기의 사설은 김정연 악보에 근거를 두고 있다.
○ 연행시기 및 장소
배따라기는 1910년대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불리고 있는 악곡으로, 광무대ㆍ장안사ㆍ단성사 등의 극장에서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연행된다.
○ 음악적 특징
레(re)-미(mi)-솔(sol)-라(la)-도(do′)’의 음계로 구성되며, ‘레’ 음에서 종지하고 ‘라’ 음은 요성하여 수심가토리에 해당한다. 3소박 세마치장단을 기본으로 하지만 3소박 2박이 혼용되어 불규칙한 장단으로 구성된다.
○ 형식과 구성
후렴구가 있고, 절이 구분되지만 각 절의 길이 및 선율이 달라지는 형태로 불분명한 유절 형식으로 구성된다.
배따라기의 사설은 크게 세 단락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락은 뱃사람인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장면, 두 번째 단락은 바다에 나갔다 풍랑을 만나 어렵게 살아돌아오는 장면, 세 번째 단락은 가족과 극적 상봉한 후 다시는 배를 타지 않겠다는 장면이다. 윤회윤색은 다지나가고 황국단풍이 다시돌아오누나 에 지화자 좋다...후략
배따라기는 1910년대 음원이 남아있는 악곡으로,1910년~1930년대 서도잡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배따라기는 1910년대 평양날탕패가 서울 중앙무대에서 흥행에 성공할 수 있게 해준 악곡으로서 당시 서도명창들이 서울에서 자리잡을 수 있게 해준 악곡으로 의미가 있다. 내용적으로도 뱃사람들의 어려움을 서사체로 풀어낸 작품으로 높은 문학성을 지니고 있다.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8. 김종진, 「배따라기의 존재 양상과 문학 교육적 의미」, 『우리문학연구』 28, 2009. 이성초, 「서도잡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이성초(李星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