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겹게 놀 때 부르는 유흥요로 형성된 경기잡가
장기타령은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경기잡가이다. 한 사람이 소리를 메기면 여러 사람이 후렴구를 받으며 노래를 하여, 다른 경기잡가와 성격이 다르다. 음악적 성격이나 가창 방식으로 볼 때, <산타령> 계통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금강산타령, 변강쇠타령 등과 함께 근세기에 형성된 잡가 중 하나로 추정된다. 그리고 노래 제목이 장기(將棋)타령이라 하지만, 오락기구인 장기에 관한 사설뿐만 아니라 중국 고사나 인물을 다루기도 하고, 덕담 및 서정시 등이 들어가는 것으로 보아 신나고 흥겹게 놀 때 부르는 유흥 잡가로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는 경기잡가로 전승되고 있다.
○ 용도
예전에는 소리꾼들이 노래를 즐길 때 처음에는 가곡이나 가사를 부르다가 잡가로 넘어갔으며, 잡가에서 신명이 오르면 항상 장기타령을 불렀다고 한다. <산타령>계통의 음악적 영향으로, 잡가 중에서도 신명과 유흥의 기능을 톡톡히 했던 것으로 보인다.
○ 음악적 특징
장기타령은 전반적으로 자진모리장단 또는 자진타령장단에 맞춰 흥겹게 부르지만, 때에 따라 2박자 또는 4박자 계통(헤미올라 리듬 사용)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음계는 경기 음악어법인 경토리(솔(sol)-라(la)-도(do')-레( re')-미(mi'))로 되어있다. 가창 방식은 선창자가 메기면 후렴을 여럿이 제창하는데, 후렴의 가사와 선율이 일정하지는 않다. 그런데 전반적으로 선소리 <산타령>의 음악적 성격(후렴 사설·박자와 헤미올라 리듬·선율·노래 방식)이 강하고 반주악기로 소고를 사용하기도 하여, 근세기 경·서도 <산타령>계통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잡가로 보인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중국 고사나 인물을 다루기도 하고, 덕담 및 서경시(敍景詩), 서정시(抒情詩) 등이 들어가는가 하면 제주도 풍속도 들어가서 엮어 나가다가 맨 끝 소절에 장기에 대한 사설이 나온다. 1. 날아든다 떠든다 오호로 날아든다 범려는 간 곳 없고 백빈주 갈매기는 홍요안으로 날아들고 한산사 찬바람에 객선이 두둥둥 후렴: 에화 날아 지화자 에헤에 아하 에헤에 에헤에요 아하하 어야 얼싸함마 두둥둥 내 사랑이로다 에헤에 2. 계명산 내린 줄기 학에 등에 터를 닦아 앞으로 열두 간 뒤로 열두 간 이십사 간을 지어놓고 이 집 진지 삼년만에 고사 한번을 잘 지냈더니 아들을 낳면 효자 낳고 딸을 낳면 효녀로다 며느리 얻으면 열녀 얻고 말을 놓면 용마되고 소를 놓면 약대로다 닭을 놓면 봉이 되고 개를 놓면 청삽살이 네눈백이 안마당에 곤드러졌다 낯선 사람 오게되면 커거컹 짓는 소리 지전 깔죽이 물밀 듯 하노라 후렴: 에헤 니나나 에헤에 에에 니나나 니나나 니나나 니나나 널 너리고 나리소사 에~ 3. 수로로도 천리로다 육로로도 천리로다 이천리 들어가서 양태 겯는 저 처자야 저 산 이름이 무었이냐 이내몸이 사주팔자 기박하여 양태결어 한달이면 육장보아 부모봉양하느라고 그산 이름을 몰랐더니 옛 노인이 하시기를 제주 한라산이라고 합디다 후렴: 예헤 지화자 에에에 지화자 지화자 지화자 지화자 널 너리고 나리소사 에~(후략)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상권, 홍인문화사, 1976, 413쪽.
근세기 창작된 다양한 잡가들을 통해 당시 민중들이 선호했던 노래 문화와 잡가 및 민요의 음악적 성격을 알 수 있다. 특히 <산타령> 계통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잡가로, 당시 경·서도<산타령>의 인기를 짐작케 한다.
장사훈, 『국악개요』, 정연사, 1961.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손인애, 『향토민요에 수용된 사당패소리』, 민속원, 2007.
손인애(孫仁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