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잡가(좌창)에 한글의 글자들을 가지고 인생을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경기잡가(좌창)로 경상남도 진주지방에 전승되기도 하는 노래.
국문뒷풀이는 남도 소리의 <천자뒷풀이>와 같이 한글의 글자들을 가지고 인생을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잡가이다. 이 노래는 일명 ‘언문뒤풀이’ 또는 ‘한글뒤풀이’라고도 한다. 경기 노래는 경기지역 음악어법인 경토리, 진주지방의 노래는 경상도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를 근간으로 하지만, 모두 유흥요에 가까운 성격으로 되어있다.
처음 형성된 시기는 분명하지 않지만, 가사 내용으로 보아 오래된 노래로 보인다. 다만 지금과 같은 형태는 1900년대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전통 시대 서당에서 아이들에게 한글을 재미있고 유익하게 잘 전달하기 위해 형성된 노래이나, 전승 과정에서 부녀자들이 많이 부르며 소위 <신세타령> 분위기로 변했다고 한다.
○ 용도 한글의 글자들로 말을 만들어가며 풀어나가는 노래로, 본래 서당에서 아이들에게 한글을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과거 한글을 가르치고 전수하던 방식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현재는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전문 창자들에 의해 소위 ‘유흥 잡가’로 전승되고 있다. ○ 음악적 특징 경기지방의 노래는 전체적으로 애조를 띤 처량한 분위기가 있다. 그러나 <창부타령> 선율을 중간중간 삽입하여 흥겹고 경쾌한 면도 있으며, 이를 통해 한글의 뜻과 재미를 전달하려는 의도를 느낄 수 있다. 진주지방의 노래도 경쾌하면서 애조를 띠고 있으며, 노래 속에서 인생의 애환과 고뇌를 느낄 수 있다. 이에 전자는 경기 음악어법인 경토리(솔(sol)-라(la)-도(do')-레( re')-미(mi')), 후자는 경상도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미(mi)-솔(sol)-라(la)-도(do')-레(re'))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로 시작되는 노랫말이 모두 비슷한 선율로 진행되며, 약간 느린 굿거리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노래하는 분위기에 따라 조금씩 빨라지기도 한다.
국문뒷풀이는 창자에 따라 가사가 조금씩 차이 나는데, 전승 과정에서 부녀자들이 많이 불러서인지 노래 내용이 과부 <신세타령>처럼 된 경향이 있다. 경기 잡가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 잊었구나 기역(ㄱ) 니은(ㄴ) 디귿(ㄷ) 리을(ㄹ) 기역자로 집을 짓고 지긋 지긋이 살잿더니 가갸거겨 가이없는 이내 몸이 거지없이 되었구나 고교구규 고생하던 우리 낭군 구간하기가 짝이 없구나 나냐너녀 나귀 등에 솔질하여 송금안장을 지어놓고 팔도강산을 유람을 할까 노뇨누뉴 노세노세 젊어서 놀아 늙어지면 못노나니 다댜더뎌 다닥다닥 붙였던 정이 그지 없이도 떨어를 졌네 도됴두듀 도중에 늙은 몸이 다시 갱소년 어려워라 라랴러려 날아가는 원앙새야 널과 날과 짝을 짓잔다 로료루류 노류장화는 인개유지(人皆有志)인데 처처에 있건마는 마먀머며 마자 마자 마쟀더니 님의생각을 또 하는구나 모묘무뮤 모지도다 모지도다 한양낭군이 모지도다 바뱌버벼 밥을먹다 돌아다보니 임이 없어서 못 먹겠구나 보뵤부뷰 보고지고 보고지고 님의 화용을 보고지고 사샤서셔 사자고 굳은 언약 언약이 지중(至重)치 못하였구나(하략)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403쪽.
진주지방의 <국문뒷풀이> 가사는 다음과 같다. 가이가 거이거 거기가는 가련하다 그대 죽음 어이그리 불쌍하노 나이나 너이너 너니나는 나와 너의 백년가약 인제는 허사로다 다이다 더이더 더디다는 달 몬 찬 아해 두고 죽음이 박절하다 라이라 러이러 러리라는 나부(나비)는 꼴을 잃고 불칙한 이내 사정 낭자로 잃었도다 마이마 머이머 머미마는 말문 닫고 눈 감으니 사람 한번 못 보더라 바이바 버이버 버비바는 바래던 일 허사되고 영결종천 가련하다 사이사 서이서 서시사는 사시로 바래기는 명 질고 복 많기 바랬더니 인제는 허사로다 아이아 어이어 어이아는 아야하고 죽는 병을 그 뉘라서 살려낼꼬 자이자 저이저 저지자는 좌우에 보는 사람 뉘 아니 싫어하리 차이차 처이처 처치차는 차군말이 행하니 홍구불수차 멀고먼 황천길에 편안히 가십시오 카이카 커이커 커키카는 칼날같이 먹은 마음 인제는 허사로다 타이타 터이터 터티타는 타인은 복 많하야 백년해로 하건마는 날같이 박복해라 파이파 퍼이퍼 퍼피파는 팔십 칠십 되는 노인이 세상 많건마는 우리 부부는 전생차생 무슨 죄로 이 지경이 되었는고 하이하 허이허 허히하는 하월 하시에라도 다시 만내 전일겉이(같이) 살아보자
디지털진주문화대전-「국문뒷풀이」
국문뒷풀이는 한글 교육과 삶의 애환을 노래로 연결 승화시킨 경우로, 우리 민족의 뛰어난 지혜와 감수성을 느낄 수 있다. 현재는 경기 잡가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지만, 과거에는 이런 형태의 노래가 전국적으로 많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장사훈, 『국악개요』, 精究社, 1961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내 고장의 전통』, 진주시, 1992. 최상일, 『우리 소리를 찾아서』2, 돌베개, 2002.
손인애(孫仁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