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기생 월선(月仙)이 집에 놀러 가자는 내용으로 야유랑(冶遊郞)의 열정을 노래하는 잡가
평양가의 곡명은 평양가이지만 평양의 역사나 자연풍광과는 무관한 내용으로 되어있다. 사설은 평양 기생 월선(月仙)이를 주제로 하여, 월선네 집에 놀러 가자는 야유랑(冶遊郞)의 열정을 담고 있다. 누가 지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평양의 기생 월선이는 실존 인물이라고 한다. 적극적인 구애를 펼치는 쪽이 월선이인 것도 ‘평양가’의 재미있는 부분 중 하나이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평양가는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해 애창되었으며 주로 민간의 유희 장소나 겨울철 파움 등에서 불렀다고 한다. ○ 음악적 특징 평양가의 전반부는 혈육이나 섭생보다도 임이 좋아 임을 따라간다는 사랑 예찬가와 후반부의 평양 기생 월선이 집에 놀러 가자는 한량의 노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설 내용과 상관없이 평양가는 같은 선율을 일정한 장단수에 맞춰 반복하여 부른다. 평양가의 음계는 ‘솔(sol)-라(la)-도(do′)-레(re′)-미(mi′)-솔(sol′)’로, 모든 음이 고르게 사용된다. 평양가는 대체로 하행종지로 마무리하며, 종지음은 솔(sol)이다. 각 절 마다 선율과 장단 수에 미세한 변화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같은 선율이 반복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단조로운 구성의 곡이다. 평양가는 곡의 길이에 비해 적은 사설을 노래하여 음을 길게 뻗어주는 선율이 특징적이다. 대체로 장음으로 뻗어주는 선율이 반복되며, 곡의 끝부분인 10절에 새로운 선율이 나타난다. 여기서는 본래 평양가의 첫 소절에 나타나는 도(do′)음이 완전5도 위의 솔(sol′)로 바뀐다. 이 마디는 솔(sol′)음이 돋보이는 마디이며 뒷부분과 마지막 절에서는 도(do′)를 중심으로 노래하는 선율로 마무리한다. 중심음인 도(do′)의 활용이 두드러지는 이 부분은 평양가에서 유일하게 고음역의 선율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평양가에는 음을 느리게 요성하여 지그시 누르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는 시김새와 본래의 음보다 약간 낮은음으로 떨어뜨리는 시김새가 나타난다. 이러한 시김새는 12잡가와 경기민요에 많이 활용되며, 특히 <긴아리랑>과 <이별가> 등 서정적인 노래에 많이 활용된다. ○ 형식과 구성 도입부는 사랑 예찬가, 중반부터 끝까지는 월선이 집에 놀러 가는 정황을 묘사한 노래이다. 평양가는 유절형식이며 11마루 이다. 잡가는 독창자와 장구 반주만으로 단조롭게 부르기도 하지만, 여러 명의 창자가 함께 부르기도 하고 반주 악기를 사용해서 부르기도 한다. 반주 악기로는 피리, 대금, 해금, 가야금, 장고 등이 사용되며 그 외의 악기를 편성하기도 한다.
갈까 보다 가리 갈까 보다 님을 따라 둘이 갈까 보다. 잦은 밥을 다 못 먹고 님을 따라 님과 둘이 갈까 보다. 부모 동생 다 이별하고 님을 따라 님과 둘이 갈까 보다. 불붙는다 불이 불붙는다 평양성내 불이 불붙는다. 평양성내 불이 불붙으면 월선이 집이 행여 불 갈세라. 월선이 집이 불이 불붙으면 육방관속이 제가 제 알리라. 가세 가세 노리 놀러 가세 월선이 집에 놀이 놀러를 가세. 월선이 나와 소매를 잡고 가세 가세 어서 들어를 가세. 놓소 놓소 노리 놓소그려 직령 소매 노리 놓소그려. 떨어진다 떨어진다 떨어진다 떨어진다 직령 소매 동이 동떨어진다. 상침 중침 다 골라 내여 세모시 당사로 가리 감춰줌세.
평양가는 평양의 풍경과 관련된 노래가 아니라 기생 월선(月仙)이를 주제로 월선네 집에 놀러 가자는 야유랑(冶遊郞)의 열정을 노래하는 잡가이다. 여기서 등장하는 평양의 기생 월선이는 실존 인물이라고 한다. ‘평양가’의 전반부는 혈육이나 섭생보다도 임이 좋아 임을 따라간다는 부분으로 사랑을 예찬하고 있다. 후반부는 평양 기생 월선이 집에 놀러 가자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평양가는 내용적 측면에서 두 부분으로 구분되지만, ‘평양가’의 선율은 이와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같은 선율이 반복된다. 일정한 후렴구는 없으나 각 절마다 동일한 선율이 반복되어 후렴의 구실을 하고 있으므로, 유절형식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 보면 종지선율을 중심으로 11마루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형적인 경토리의 음악적 특징을 갖추고 있는 잡가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경기민요』, 민속원, 2008. 김영운, 『한국민요학』, 한국민요학회, 2002. 성경린 외, 『국악의 향연』, 중앙일보사, 1988. 송은주, 『12잡가의 시대적 변화양상 연구』, 민속원, 2016. 송은주, 『십이잡가, 우리의 삶과 자연의 노래』, 민속원, 2020. 이창배, 『가요집성』, 청구고전성악학원, 1954.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흥인문화사, 1974.
송은주(宋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