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서도 및 남도에서 전승되는 긴소리로서 전문 소리꾼에 의해 불리던 좌창과 입창을 모두 아우르는 갈래
잡가의 영역은 〈유산가〉, 〈제비가〉 등으로 구성된 ‘경기 12잡가’와 〈공명가〉, 〈초한가〉, 〈제전〉 등의 ‘서도좌창(坐唱)[앉은소리]’ 외에도 사당패소리에 연원을 둔 경기·서도·남도 산타령 계통의 ‘입창(立唱)[선소리]’까지 포함한다. 발생 배경이 다른 만큼 음악적 특징과 성격, 형식이 구별되지만 모두 본격 성악곡으로서 전문성이 요구되는 공통점이 있다. ‘경기 휘모리잡가’, ‘서도 발림엮음’, 남도의 〈육자배기〉와 〈흥타령〉 등도 넓은 의미의 잡가에 포함한다.
잡가는 정가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시대마다 지칭하는 대상이 달랐으나 오늘날에는 19세기 말 전문 성악인들이 담당해 온 좌창(坐唱)과 입창(立唱)을 함께 가리킨다. 좌창 중에 ‘경기잡가’는 서울 청파동 일대 사계축의 평민 가객들이 즐겨온 소리로서 특히 판소리와 가사, 민요 등과 교섭을 엿볼 수 있다. 서도 좌창은 조선 후기 관서지역 교방의 전문 예기들이 담당해 온 소리로서 음악적으로 〈엮음수심가〉에 크게 기대고 있으며 한문적 교양이 많이 반영된 특징이 있다. 서서 하는 ‘입창(立唱)’은 야외의 떠돌이 예인들이 담당했던 성악 종목에서 비롯되었다. 오늘날 입창은 사당패의 판놀음에서 불렀던 〈산타령〉을 중심으로 일련의 노래들이 모음곡을 이룬 것이다. ‘남도입창’은 경서도 입창의 영향으로 뒤늦게 불리게 되었다고 하며 20세기 전후 신방초(申芳草)가 〈화초사거리〉를 만들었다고 전한다.
○ 연행시기 및 장소 관서지방의 교방에서 발달한 서도좌창은 관아의 행사나 사사 놀음과 같은 연향에서 전문 예기들에 의해 불렸다. 중국을 오가는 사행로로 인하여 연희 문화가 발달했던 이 지역에서 좌창은 가곡, 가사, 시조, 춤 등 다양한 종목과 더불어 연행되었다. 경기잡가는 오늘날 서울의 청파동과 만리동 일대의 농업이나 상공업에 종사했던 평민 가객 사이에서 발달해 온 만큼 주로 자족적으로 향유되었다. 이들은 겨울철 파움과 같은 공간을 화려하게 꾸며놓고 전문 가객이나 예기 등을 초청하였으며, 가곡, 가사, 시조, 휘모리잡가, 민요 등을 차례로 부르며 즐겼다. 서울지역의 이름난 공청으로 청파동, 서빙고, 마장동, 뚝섬, 응봉동 등이 아직도 전한다. 〈산타령〉은 사찰과 일정한 관계를 맺으며 기복적이면서도 유흥의 무대를 제공했던 사당패와 관련이 있다. 사당패소리의 연행 양상은 신재효(申在孝, 1812~1884)의 「박타령」을 비롯하여 『기완별록奇玩別錄(1865)』, 『교방가요』(1872)』, 『아양금보』(1880) 등에서 엿볼 수 있다. 서도 산타령의 〈초목이〉, 남도잡가 〈보렴〉 등에 아직도 사당패 판염불의 흔적이 남아있다. ○ 음악적 특징 경기와 서도, 남도의 좌창과 입창은 각기 지역 음악의 특징을 간직하면서도 전문 영역의 음악으로서 다른 음악과 교섭 현상도 보여준다. 서도의 좌창은 전형적인 수심가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기잡가 역시 수심가토리가 중심을 이룬다. 경기잡가 가운데 〈집장가〉·〈평양가〉·〈선유가〉·〈달거리〉는 경토리로 구성되어 있지만 〈방물가〉·〈십장가〉·〈형장가〉는 전형적인 수심가토리로 되어 있다. 경서도 입창의 경우 경기지역의 음악어법으로 되어 있으면서도 장3도, 단3도 등의 진행이 많은 특징이 있다. 장단은 경기좌창의 경우 6박이 한 장단인 도드리장단이 대부분이며 서도좌창은 3박이 기본이 되면서도 변박을 써서 불규칙한 박자로 느껴지기도 한다. ○형식과 구성 잡가의 가창 형태는 앉아서 부르는 좌창과 서서 부르는 입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좌창은 방 안에서 독창으로 부르기 때문에 장고 반주자는 변죽을 쳐서 소리를 보조한다. 반면에 야외에서 불리는 〈산타령〉은 소리를 이끄는 우두머리격인 모갑이가 장구를 메고 장단을 직접 치며 노래하는데 나머지 가창자들은 소고를 들고 전후좌우로 발을 떼며 발림춤을 추며 소리를 함께 한다. 이때 장고는 복판을 친다. 경기잡가의 좌창으로는 《12잡가》와 《휘모리잡가》가 있다. 《12잡가》는 관습적으로 〈유산가(遊山歌)〉, 〈적벽가(赤壁歌)〉, 〈선유가(船遊歌)〉, 〈제비가〉, 〈집장가(執杖歌)〉, 〈소춘향가(小春香歌)〉, 〈형장가(刑杖歌)〉, 〈평양가(平壤歌)〉의 8잡가와 〈십장가(十杖歌)〉, 〈방물가(房物歌)〉, 〈출인가(出引歌)〉, 〈달거리〉 등의 4잡가(잡잡가)로 구성된다. 대부분 여러 절(節)[마루]이 반복되면서 가사에 따라 조금씩 변형을 이루는 유절형식이다. 경·서도입창에서 〈놀량〉은 통절형식이나 이후 〈앞산타령〉,〈뒷산타령〉,〈자진산타령〉 등은 유절형식의 악곡이다.
《휘모리잡가》는 〈만학천봉〉, 〈곰보타령〉, 〈병정타령〉, 〈기생타령〉, 〈육칠월흐린날〉, 〈생매잡아〉, 〈바위타령〉, 〈맹꽁이타령〉, 〈한잔부어라〉, 〈비단타령〉, 〈장기타령〉 등으로 우스꽝스러운 사설을 빠른 한배로 촘촘히 엮어 부른다.
서도잡가의 좌창으로는 서사적인 긴 사설을 〈엮음수심가〉와 같이 3박을 기본으로 하여 불러나가는데 긴 사설을 한동안 죄어나가듯 엮다가 마지막에 속도를 늦추어 수심가조로 돌림으로써 긴장과 이완이 대비되고 서도소리의 특징을 강하게 드러낸다. 〈공명가〉, 〈초한가〉, 〈제전〉,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 〈영변가〉, 〈관산융마〉 등이 있다.
경기 입창으로는 경기 선소리 산타령이 있다.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으로 이루어졌다. 장단의 짜임새와 빠르기가 복잡하고 높은 음역을 사용한다. 형식은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서도입창으로는 《서도선소리산타령》이 있다. 구성곡은 경기산타령과 같지만 〈자진산타령〉을 〈경발림〉 또는 〈경사거리〉라 한다. 《서도선소리산타령》은 경기산타령보다 한배와 리듬이 빠르고 높은 음역의 선율로 되어 있다.
남도잡가는 좌창이 없고 입창으로만 노래한다. 〈보렴〉, 〈화초사거리〉, 〈육자배기〉, 〈새타령〉으로 구성된다. 경·서도 선소리꾼들이 소고나 장구를 들고 노래를 부르는 것과 달리 남도잡가에는 기악 반주를 동반한다. 장단은 대개 느린 중모리에서 시작한 뒤 점차 빨라져서 자진모리로 마치는 한배에 따른 형식을 보인다.
잡가는 경기·서도·남도의 좌창과 입창을 모두 아우르는 갈래로서 발생 배경과 음악적 특징은 각기 다르지만 20세기 이후 예기조합의 교과목으로 통합되면서 전승하게 된 본격 성악곡이다. 갈래에 따라 곡의 구성과 성격이 다르나, 사설의 내용과 음악에 민요, 가사, 시조, 판소리 등 주변 음악과 교섭 양상이 뚜렷한 점이 특징적이다. 조선 후기의 사회 변동과 음악인의 활동 및 시대적 변모 양상을 보여주는 음악인 점에서 흥미로우며 음악사적 의의가 있다.
김영운·김혜리, 『경기민요』,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김인숙·김혜리, 『서도소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홍인문화사, 1976. 장휘주·김혜리, 『선소리 산타령』,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김인숙(金仁淑),신현남(申鉉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