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긴아리(龍岡긴아리), 용강기나리(龍岡기나리)
평안도의 토속민요를 바탕으로 하는 노래이며, 자유리듬으로 느리게 부르는 서도민요
평안남도 용강(현 남포시 용강군)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온 곡으로, 조개를 줍거나 밭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토속민요 일노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서도민요이다. 특정한 장단 없이 수심가토리(수심가조)로 느리게 부르며, 특정음을 길게 뻗다가 잔가락으로 수식하는 점이 특징이다.
원래 어업노동요로 불리던 노래가 농업노동요로도 불리게 되고, 더 나아가 통속민요로도 발전한 예이다. 용강에서 나온 느리고 긴 노래라 하여 <용강긴아리> 또는 <용강기나리>라고도 한다. 대체로 <자진아리>(<용강타령>)를 이어 부른다. ‘아리’는 ‘아라리’ 또는 ‘아리랑’과 같은 뜻이다.
○ 연행시기 및 장소 평안남도 용강 지방의 바닷가 개펄에서 조개를 줍거나, 밭에서 김을 맬 때 불렀다 한다. 도소리 전문가들에 의해 무대화되어 〈자진아리(용강타령)〉와 짝을 이루어 자주 애창된다. 다만 20세기 전반의 잡가집에 보이지 않고, SP음반에도 1930년대에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통속민요로서는 1930년대 이후에 형성된 듯하다. ○ 음악적 특징 긴아리는 특정한 장단 없이 창자에 따라 자유로운 리듬으로 불리며, 붙임새는 일자다음식(一字多音式) 위주로 되어있다. 선율의 주요음을 길게 뻗어 노래하다가 잔가락으로 선율을 꾸며주는 부분이 많아 유장(悠長)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수심가토리의 가락이 애달픈 느낌을 준다. 수심가토리(수심가조)의 음계는 레(re)-미(mi)-솔(sol)-라(la)-도(do´)이고, 핵음(핵이 되는 음)은 레(re)와 라(la)이며, 종지음은 라(la)보다 레(re)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긴아리 또한 레(re)로 종지한다. 제3음 솔(sol)을 생략하는 경향이 있고, 위의 핵음 라(la)를 아래로 깊게 떨며, 간혹 솔(sol)을 위로 깊게 떨기도 한다. 핵음의 바로 위 음인 제2음 미(mi)와 제5음 도(do´)를 퇴성하는 경향이 있다. 도입부의 선율은 레(re)에서 낮게 시작하여 숙여내거나(“조개는”), 고음에서 높게 질러내어 부른다(“네 오려무나”). 둘째 소절은 제5음인 도(do´)에서 높게 시작하고(“젓 절이고”), 나머지 소절은 다시 낮은 음역에서 숙여 시작한다. 선율에서 레(re), 라(la)와 같이 중요한 음을 길게 끌어 노래하는 점이 특징이다.
○ 형식과 구성 후렴이 없는 유절형식이며, 대개 독창으로 부른다. 다섯 자 안팎의 네 소절로 구성되며, 각 소절의 길이는 사설에 따라 유동적이다. 대체로 반주 없이 독창으로 부르기도 하고, 오늘날 무대에서는 피리, 대금, 해금 등의 선율악기를 추가 편성하기도 한다. 앉아서 노래하는 좌창(坐唱)으로도, 서서 노래하는 입창(立唱)으로도 부른다.
서민들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애환을 문학적으로 표현한 노랫말이 운치 있다. 창자에 따라 장단과 노랫말의 구성이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조개는 잡아 / - - / 젓 절이 / - 고 / 가는 임 잡아 / -서 / 정 들여보자 / 바람새 좋다고 / - - / 돛 달지 말 / -고 / 몽구미 포구 / -에 / 들렀다 가렴 / 네 오려무나 / - - / 네 오려 / 무나 / 날 볼래며 / -는 / 네 오려무나 /
MBC 한국민요대전(https://bit.ly/3qgEUjj)
긴아리는 <자진아리>와 함께 짝을 이루어 널리 애창되는 평안도민요로, 토속민요에서 비롯되어 세련되고 예술성 높은 서도지방의 통속민요로 발전한 곡이다. 조개를 잡거나 김을 매는 일과 같이 여럿이 손을 맞출 필요가 없고, 긴 시간 동안 혼자 수행해야 하는 작업에 수반되는 노래들은 대부분 자유로운 리듬에 얹어 느리게 부르는 경우가 많다. 나무꾼신세타령, 풀베는소리, 달구지모는소리 등이 이 경우에 속하는데, 긴아리의 음악적 특성 역시 이러한 작업상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곡을 익히고 부르는 데에 상당한 기량이 필요하여 <수심가>와 함께 대표적 서도민요로 자리 잡았다.
김해숙・백대웅・최태현, 『전통음악개론』, 어울림, 1995. 김정희, 「민요 음조직론과 음조직명에 대한 제언」, 『한국민요학』 53, 2018. 손인애, 「서도민요 〈자진아리〉에 대한 사적(史的) 고찰」, 『한국음반학』 19, 2009. 오용록, 「수심가의 요성」, 『동양음악』 31, 2009. 임미선, 「서도소리 ‘떠는 목’의 유형과 특징 -민요・좌창・송서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69, 2021. 김정희, 「토속민요 음조직의 변이 양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유지숙, 「긴, 자진아리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웹사이트] MBC 한국민요대전(https://bit.ly/3B8PNtZ)
김정희(金貞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