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름타령
매미 소리를 들으며 처량한 심경을 노래한 황해도민요
‘싸름’은 매미의 일종인 쓰르라미의 황해도 사투리로 알려져 있다. 한여름 매미 소리를 듣고 일어난 울울한 심경을 중모리장단이나 세마치장단에 얹어 수심가토리(수심가조)로 부르는 서도민요로, ‘싸름타령’이라고도 한다.
후렴과 각 절의 첫 소절인 의성어 ‘싸름싸름’에서 곡명이 비롯되었다. 임석재에 따르면 싸름은 황해도에서 밭매는소리로 불리었다고 한다. 그러나 북녘땅 우리 소리와 같은 북한 토속민요 음원이나 조선민요곡집 같은 악보집에 이 곡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노래로 자주 불리지는 않은 듯하다.
○ 연행시기 및 장소 여럿이 모여 놀거나 혼자 심심풀이 삼아 부른 유희요로 추정되며, 20세기 초 서울에 모여든 서도소리 전문가들에 의해 무대화된 곡이다. ○ 음악적 특징 싸름은 12/4박자인 중모리장단 또는 ♩.의 3박자인 세마치장단에 얹어 수심가토리로 부르며, 붙임새는 일자다음식(一字多音式)과 일자일음식(一字一音式)이 섞여 있다. 수심가토리(수심가조)의 음계는 레(re)-미(mi)-솔(sol)-라(la)-도(do′)의 5음으로 구성되고, 핵음(핵이 되는 음)은 레(re)와 라(la)이다. 종지음은 최저음인 레(re)를 활용하는 경우가 더 많으며, 싸름 또한 레(re)로 종지한다. 제3음 솔(sol)을 생략하는 경향이 있고, 한 음 위의 라(la)를 아래로 깊게 떨며, 간혹 솔(sol)을 위로 깊게 떨기도 한다. 두 핵음 위의 음인 미(mi)와 도(do′)에서 퇴성하는 경우도 있다. 임석재 채록 『한국 구연 민요』에 수록된 싸름은 황해도 출신의 김용익이 불렀는데, 라(la)를 깊게 떨고, 최저음이자 아래 핵음인 레(re)는 떨지 않는다. 북한 현지 음원을 모은 MBC의 북한민요전집 북녘땅 우리 소리 수록 통속민요(전문가소리)와 토속민요 중 수심가조의 곡에서도 최저음을 떠는 경우는 거의 없다. 본절은 높은 레(re′)에서 질러내어 점차 하행하며, 후렴은 레(re)에서 숙여낸다.
○ 형식과 구성 싸름은 후렴이 있는 유절형식이며, 대개 후렴은 합창으로, 본절은 독창으로 부른다. 후렴과 본절이 각각 중모리 두 장단으로 구성되며, 대체로 장구 장단에 맞추어 여럿이 입창으로 부른다. 오늘날에는 선율악기를 포함한 실내악 편성으로 반주하기도 하며, 이때는 가야금, 거문고, 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등의 악기가 사용된다.
쓰르라미 소리를 들으며 울적해진 마음을 달래려는, 전반적으로 어두운 내용이다. 싸름싸름 느티나무 정자 / 돗자리라도 깔구서 술추념이나 하자 (후렴) 싸름싸름 너도 나도 살살 / 다 녹여낸다 산천초목이 우거진 곳에 / 싸름 우는 소리가 처량도 하다 싸름싸름 네가 우지 말아 / 싸름 우는 소리에 마음 산란하다 싸름싸름 네가 왜 우느냐 / 정든 임을 잃고서 슬퍼서 우나 싸름싸름 싸름 우는 소리 / 아니 나던 고향 생각이 저절로 난다. 싸름싸름 네가 왜 우느냐 / 육칠월이 다 가니 슬퍼서 우나 싸름싸름 네가 우지 말아 / 베짜는 큰애기 반봇짐만 싼다
하응백, 『창악집성』, 휴먼앤북스, 2011. 340쪽.
싸름은 몇 종의 초등 4~6학년 음악교과서에 황해도민요로 소개되었고, 중학교 음악교과서 몇 종에도 수록되었다. 그러나 북한 현지에서 채록된 음원인 MBC의 북한민요전집 북녘 땅 우리소리 수록 통속민요(전문가소리)에는 이 곡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북한의 악보자료집인 조선민요곡집에도 수록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곡을 대표적인 북한민요라 하기는 어려우나, 서도민요의 대표적 음조직인 수심가토리로 부르는 비교적 짧은 곡으로서 <금다래꿍>과 함께 북한음악 교육용으로 널리 활용된다.
임석재, 『(임석재 채록)한국 구연 민요』, 민속원, 2004. 하응백, 『창악집성』, 휴먼앤북스, 2011. 김정희, 「민요 음조직론과 음조직명에 대한 제언」, 『한국민요학』 53, 2018. 김혜정, 「통일대비 국악교육을 위한 북한민요 연구」, 『한국음악연구』 41, 2007. 오용록, 「수심가의 요성」, 『동양음악』 31, 2009. 우해인, 「수심가 연구」, 『국악교육』 20, 2002. 임미선, 「서도소리 ‘떠는 목’의 유형과 특징 -민요・좌창・송서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69, 2021. 김정희, 「토속민요 음조직의 변이 양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박지영, 「통일 대비 초등학교 교과서의 북한 민요 제재곡 개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손승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음원] 문화방송 방송문화진흥회・YBM 서울음반・국악춘추사, 『북녘땅 우리소리』, 2004.
김정희(金貞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