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노래-자진뱃노래’
서울·경기 명창에 의해 통속민요화 된 경상도 지방의 민요
뱃노래는 본래 노 젓는 소리와 뱃일을 내용으로 불렀던 경상도 민요였으나 서울·경기 명창에 의해 다듬어져 통속민요화 되었다.
뱃일과 관련된 노래는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바닷길과 해안가를 따라 전파되었기 때문에 ‘뱃노래’라는 명칭은 한반도 전역에서 불렸던 어업 노동요의 총칭이기도 하다. 서울·경기 지역 명창들의 레퍼토리로 연행되는 뱃노래는 이러한 노동요가 통속화된 것으로 보이나, 원천이 되는 노동요가 정확히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김순재가 한국의 뱃노래에서 소개한 노동요 <한강시선뱃노래>와 통속민요 뱃노래가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통속민요 뱃노래는 경상도 노동요 뱃노래에 기원을 두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연행시기 및 장소 통속민요 뱃노래는 흔히 ‘뱃노래-자진뱃노래’로 연창하게 되어 경기 명창들의 주요 레퍼토리 중 마지막 곡으로 주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는 교육용 민요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2022년 현재 『국립국악원 교과서 표준 악보집』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메기는 소리와 받는 소리의 여러 가락을 충분히 익히며 ‘뱃노래-자진뱃노래’의 연속적 연주에서 한배의 변화를 느끼며 노래하도록 안내되어 있다. ○ 음악적 특징 뱃노래의 음계는 ‘미(mi)-솔(sol)-라(la)-도(do’)-레(re’)’의 5음 음계이며, 종지음은 제3음인 라(la)로 음계의 가운데에 위치하여있다. ‘미(mi)-라(la)’의 상행진행에서 주로 솔(sol)이 생략되고 하행할 때는 ‘라(la)-솔(sol)-미(mi)’로 진행하는 특징이 나타나는데, 이는 메나리토리에 해당하는 음계이다. 뱃노래는 경기·서울 지역 명창들의 레퍼토리로 연행되지만, 경상도 지역의 뱃노래를 통속화한 노래이기 때문에 메나리토리의 선율이 나타난다.
뱃노래는 굿거리장단으로, 자진뱃노래는 자진모리로 부르며, 한 단락의 장단수는 뱃노래의 후렴은 3장단, 본 절은 4장단이며 자진뱃노래에서는 메기고 받는 소리가 한 장단 안에서 교차되며 일어난다. 자진뱃노래의 맨 끝부분에 다시 굿거리장단으로 회귀하는 특징이 있다.
뱃노래는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이 연속적으로 연주될 때 효과적이며 자진뱃노래의 메기고 받는 소리가 특유의 흥을 자아낸다.
○ 형식과 구성 현재 뱃노래는 ’뱃노래-자진뱃노래‘를 순서대로 가창한다. 뱃노래는 비교적 느린 굿거리장단으로 연주하며, 이후 자진모리장단 또는 볶는타령장단을 활용하여 빠른 속도로 자진뱃노래를 이어부른다. 자진뱃노래의 마지막 부분은 굿거리장단으로 구성되어, 다시 본래의 박자로 끝을 맺는다. 뱃노래와 자진뱃노래는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뱃노래는 메기는 소리 네 장단, 받는 소리(후렴) 세 장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자진뱃노래는 한 장단 안에서 메기고 받는 소리가 모두 불리어 빠른 호흡으로 진행된다. 반주가 포함되어 공연될 때는 관현편성(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 아쟁, 장구 등)으로 노래 선율을 따라 반주 한다.
1. 뱃노래(굿거리장단) (후렴) 어기야 디여차 / 어야디야 어기여차 / 뱃놀이 가잔다 1. 부딪치는 파도소리 / 잠을 깨우니 / 들려오는 노 소리 / 처량도 하구나 2. 만경창파에 / 몸을 실리어 / 갈매기로 벗을 삼고 / 싸워만 가누나 3. 낙조청강에 / 배를 띄우고 / 술렁술렁 노 저어라 / 달맞이 가잔다. 4. 탕탕한 물결에 / 유량한 소리는 / 애내성중 어적이 / 분명하구나 5. 망망한 해도중에 / 북을 울리며 / 원포귀범으로 / 돌아를 오누나 6. 어기여차 힘을 주어 / 닻을 감으면 / 순풍에 돛을 달고 / 돌아를 오누나 2. 자진뱃노래(자진모리장단) (후렴) 어야디야(어야디야) / 어기야디야(어기야디야) / 어기야디야~/ / 에헤~/ / 에헤에 에헤에 /야~/ / 에헤 에헤 / 에야어야 / 어야디야 어야디야 / 1. 달은 밝고/ / 명랑한데 / 고향생각 / / 절로난다 / 2. 순풍에다 돛을 달고 원포귀범 떠들어온다 3. 넘실대는 파도 위에 갈매기떼 춤을 춘다. 여기가 어디냐 숨은 바위다 / 숨은 바위면 배 다칠라 / 배 다치면 큰일난다. / 어따 야들아 염려마라 / 에 에헤에 에헤에 야~에헤 에헤 에야어야 어야디야 어야디야 어기야 어기야 / 어기여차 / 뱃놀이 가잔다 이창배,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 홍인문화사, 1976.
통속민요 뱃노래는 흔히 ‘뱃노래-자진뱃노래’로 연행되는데, 연주의 빠르기가 대비되는 두 곡을 연주한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활용 가치를 인정받아 교육용 민요로 널리 불리고 있다. 『2022년 개정 국립국악원 교과서 표준 악보집』에도 수록되어 있으며, ‘뱃노래-자진뱃노래’의 연속적 연주에서 한배의 변화를 느끼며 노래하도록 안내되어 있다.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교과서 표준 악보집』, 국립국악원, 2022.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이창배,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 홍인문화사, 1976.
강효주(姜孝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