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리리야, 늴리리아, 뉠리리야, 늴니리야, 릴리리야, 릴리리
굿거리장단의 단순하고 경쾌한 경기민요
늴리리야는 주로 독창으로 부르는 부분과 여럿이 부르는 후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렴구에 반복되는 ‘늴리리야’를 곡명으로 삼았다. 독창과 후렴 부분이 같은 선율을 노래하는 비교적 단순하고 흥겨운 노래로 서울ㆍ경기지역의 통속민요 중 하나다.
무가의 창부타령이 전문 가창집단에 의하여 통속민요화 되었다는 견해와 20세기 이후 유통을 목적으로 작곡되어 음반과 방송을 통해 알려진 신민요라는 견해가 있다. ‘늴리리야’는 피리의 음색을 입소리로 한 피리 구음(口音)이라고 전해진다. 현재 애창되는 사설을 근거로 재미를 위해 부르는 가창유희요 범주에 포함되기도 한다 한다.
○ 연행시기 및 장소 경기 명창들의 레퍼토리로 널리 애창되고 있는 늴리리야는 무가가 통속화되었다는 견해와 20세기 이후 작곡된 신민요라는 견해가 모두 전해지고 있어 정확한 연행 시기를 특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다만 20세기에 들어서서 라디오방송과 음반, 무대 공연 등에서 자주 등장하며 기생과 전문 소리꾼에 의해 불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교과서의 제재곡으로 활용되며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현재는 대표적인 경기민요 중 한 곡으로 자리 잡았다. ○ 음악적 특징 늴리리야의 음계는 ‘솔(sol)-라(la)-도(do′)-레(re′)-미(mi′)’ 5음음계이며, 종지음은 음계의 최저음인 ‘솔(sol)’이다. 이와 같은 음조직을 진경토리, 또는 창부타령토리라고 한다.
약간 빠르게 굿거리장단으로 부르며, 한 단락의 장단 수는 후렴구 3장단, 본 절 3장단이다. 비성과 두성을 공명시켜 노래하여 섬세한 표현을 하면서도 선율은 고음에서 시작하여 낮은음으로 진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비교적 단순한 가락으로 후렴구와 본 절의 선율이 거의동일하다.
요성이 강하게 두드러지지 않지만 가창자에 따라 제1음에서 약한 요성이 나오기도 하며 제4음과 제5음의 간격이 장2도보다 넓다.
○ 형식과 구성 유절형식으로 후렴과 본 절은 동일하게 3장단씩이며 선율도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본 절의 사설과 후렴의 사설이 내용적으로 대조를 이루게 된다. ‘청사초롱’으로 시작하는 1절을 비롯하여 자주 불리는 노랫말이 있지만,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기보다 자유로이 가사를 붙이기도 한다. 후렴은 ‘받는 소리’로, 본 절은 ‘메기는 소리’로 표기하기도 한다. 노래에 관현편성(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해금, 아쟁, 장구 등)으로 수성반주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청사초롱 불 밝혀라 / 잊었던 낭군이 다시 돌아온다 / 늴늴늴 늴리리야 (귀한 등에 불 밝혀라 / 떠났던 임이 돌아온다 / 늴늴늴 늴리리야) (후렴) 늴리리야 늴리리야 / 니나노 난실로 내가 돌아간다 / 늴늴늴 늴리리야 2. 일구월심(日久月深) 그리던 임 / 어느 시절에 다시 만나볼까 / 늴늴늴 늴리리야 (날마다 간절히 그리운 임 / 언제쯤 다시 만나볼까 / 늴늴늴 늴리리야) 3. 산은 첩첩 천봉(千峰)이요 / 물은 잔잔 백곡(百谷)이라 / 늴늴늴 늴리리야 (산은 첩첩이 솟아 있고 / 물은 굽이굽이 흐르는구나 / 늴늴늴 늴리리야) 4. 설부화용 자랑마라 / 모진 세파에 백발일세 / 늴늴늴 늴리리야 5. 어제 청춘 오늘 백발 / 가는 세월을 어이하리 / 늴늴늴 늴리리야 6. 오동추야 달 밝은데 / 임 그리워 어이하리 / 늴늴늴 늴리리야 7. 서산일락 지는 해는 / 뉘 힘으로 잡아매나 / 늴늴늴 늴리리야 8. 공산자규 슬피 울어 / 아픈 마음 설레이네 / 늴늴늴 늴리리야 9. 창해유수 흐르는 물 / 다시 오기 어려워라 / 늴늴늴 늴리리야 10. 실낱같은 가는 몸에 / 태산같은 병 들었네 / 늴늴늴 늴리리야
국립국악원, 『풀어쓴 민요』, 국립국악원, 2017, 22쪽.
경기 명창들의 레퍼토리로 널리 애창되고 있는 늴리리야는 주로 독창으로 부르는 부분과 여럿이 부르는 후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창과 후렴의 선율은 매우 유사하며 단순한 선율을 노래 부르는데,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아 다수의 교과서에서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다. 노랫말에 어울리는 동작을 표현하거나 단소ㆍ소금 등의 국악 관악기의 소리로 바꾸어 부르기 등 다양한 교육적 활동이 가능한 노래이다.
경기민요, 진경토리, 늴리리야, 신민요, 굿거리장단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교과서 표준 악보집』, 국립국악원, 2022.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이창배,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 홍인문화사, 1976.
강효주(姜孝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