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음악인들에 의해 세련되게 다듬어져 전국적으로 불리는 민요
통속민요란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음악인들이 청중을 위해 감상 또는 유희 목적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기존의 민요를 세련되게 다듬거나 전통적인 음악 어법을 이용하여 민요풍의 노래로 만들어졌으며 작사가나 작곡가 혹은 편곡자가 따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음악의 생성 시기는 주로 20세기 초로 비교적 역사가 길지 않으며 발생 이후 큰 변화 없이 전승되고 있다. 통속민요는 전국적으로 널리 유통된 노래이면서도 지역별 민요권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곡명에 지역명을 지시하는 경우도 있다. 통속민요는 전통적인 민요의 형식을 따르고 있으므로 향토민요(토속민요)에 음악적 근거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무가나 판소리의 한 대목에서 독립되거나 놀이패집단의 소리가 통속화된 것, 전통적인 음악 기법이나 서양음악적 기법으로 만들어진 민요 등을 포괄하기도 한다.
통속민요란 개념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것이다. 본래 ‘민요’란 민중들 사이에서 생겨나 그들의 삶 속의 노동⋅놀이⋅의식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전승되는 노래이지만, 일반적으로 문자의 의미를 넘어서 통속민요와 향토민요로 구분하고 있다. 통속민요는 역사적으로 조선 후기 전국을 떠돌아다니면서 연희를 업으로 삼는 전문 음악인들이 각 지역의 민요를 각색하여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 통속민요가 전문 음악인들의 연행 종목으로서 기층민중의 소리가 아님에도 ‘민요’로 간주하는 것은 이같은 향토민요와 음악적 연속성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통속민요는 각 지역의 향토적 특징을 지니면서도 그 가창 집단의 활동 반경에 따라 널리 유통될 수 있었다. 특히 20세기에는 방송과 음반 매체로 인해 민요의 전파가 급속도로 이루어졌다.
○ 음악적 특징 통속민요는 실재적 근거지를 지니거나 기층민의 삶과 현장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지고 향유된 노래는 아니지만 지역 음악 특징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통속민요는 그 지역의 음악 특징을 대표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지역 음악어법의 이름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1) 경기도 통속민요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자주 불려왔다. 그 음악적 특징을 흔히 ‘경토리’라 하는데 제2음의 높낮이에 따라 하위 개념으로 진경토리(창부타령토리), 반경토리(한강수타령토리)를 구분한다. 경토리는 서양식 음계로 나타내면 ‘솔(sol)-라(la)-도(do′)-레(re′)-미(mi′)’ 5음 음계가 중심을 이루며, 제1음인 ‘솔(sol)’과 제3음인 ‘도(do′)’를 주요음으로 한다. 종지음은 제1음이나 4음이다. 제5음을 실제보다 약간 높게 부르는 경향이 있는데 이 경우 수심가토리 구성음과 유사해진다. 제4음에서 떠는 목을, 제5음에서 흘러내리는 목을 사용한다. 경기도 통속민요의 곡으로는 〈노래가락〉, 〈창부타령〉, 〈아리랑〉, 〈방아타령〉, 〈베틀가〉, 〈오돌독〉, 〈청춘가〉, 〈태평가〉, 〈오봉산타령〉, 〈사발가〉, 〈군밤타령〉, 〈천안삼거리〉 등이 있다.
2) 강원도, 경상도, 함경도 통속민요 한반도의 동북부, 즉 강원도와 경상도, 함경도 지역을 중심으로 자주 불려 왔다. 그 음악적 특징을 흔히 ‘메나리토리’라 한다. 메나리토리는 서양식 음계로 나타내면 ‘미(mi)-솔(sol)-라(la)-도(do′)-레(re′)’ 5음계가 중심을 이루며, 주요음은 제1음인 ‘미(mi)’와 제3음 ‘라(la)’, 제5음 ‘도(do′)’이다. ‘라(la)-솔(sol)-미(mi)’의 선율로써 제1음 ‘미(mi)’로 종지하거나 ‘미(mi)-라(la)’ 또는 ‘레(re′)-도(do′)-라(la)’의 선율로써 제3음 ‘라(la)’로 종지한다. 제1음에서 떠는 목을, 제3음에서 평으로 내는 목, 제5음에서 4음으로 길게 흘러내리거나 꺾는 목을 쓴다. 강원도, 경상도, 함경도의 통속민요로는 강원도의 〈한오백년〉, 〈정선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등이 있고, 경상도의 〈옹헤야〉, 〈쾌지나칭칭나네〉, 〈보리타작소리〉 등이 있다. 함경도의 〈신고산타령〉, 〈궁초댕기〉 등이 있다.
한편 오늘날 경기민요 창자들은 상기 대부분의 동부민요를 가창하고 있다.
3) 황해도, 평안도 통속민요 황해도와 평안도를 중심으로 자주 불려왔다. 그 음악적 특징을 흔히 ‘서도토리’라 하는데 제2음의 높낮이에 따라 하위 개념으로 진서도토리(수심가토리), 반서도토리(난봉가토리)를 구분한다. 서도토리는 서양식 음계로 나타내면 ‘레(re)-미(mi)-솔(sol)-라(la)-도(do′)’의 5음음계로 나타내며 제1음인 ‘레(re)’와 제4음인 ‘라(la)’에 비중이 있다. 제1음인 ‘레(re)’, 제2음인 ‘미(mi)’, 제4음인 ‘라(la)’를 주요음으로 한다. 종지음은 제1음이나 4음이다. 제5음을 실제보다 약간 낮게 부르는 경향이 있는데 이 경우 경토리 구성음과 유사해진다. 제4음에서 떠는 목을, 제5음에서 흘러내리는 목을 사용한다. 황해도, 평안도 통속민요로는 황해도의 〈산염불〉, 〈자진염불〉, 〈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몽금포타령〉 등이 있고, 평안도의 〈수심가〉, 〈엮음수심가〉, 〈긴아리〉, 〈자진아리〉, 〈애원성〉 등이 있다.
4) 남도 통속민요 한반도의 서남쪽, 즉 전라도와 그 인접 지역을 대표하는 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를 일러 ‘육자배기토리(남도토리)’라 한다. 육자배기토리는 서양식 음계로 나타내면 ‘미(mi)-솔(sol)-라(la)-시(si)-도(do′)’ 음계가 중심을 이루며, 제1음인 ‘미(mi)’ 제3음인 ‘라(la)’ 제4음인 ‘시(si)’를 주요음으로 한다. 제3음에서 종지한다. 제1음에서 떠는 목을, 제3음에서 평으로 내는 목을, 제5음에서 제4음으로 길게 흘러내리거나 짧게 꺾는 목을 쓴다. 남도 통속민요로 〈긴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남도흥타령〉, 〈남도개구리타령〉, 〈강강술래소리〉, 〈진도아리랑〉, 〈둥당기타령〉 등이 있다. 남도민요로 꼽히지만 음악적으로 약간 다른 선율을 〈성주풀이〉에서 볼 수 있다. 〈성주풀이〉는 육자배기와 경토리가 섞인 토리로서 흔히 ‘남부경토리’ 또는 ‘성주풀이토리’라고도 한다.
통속민요는 기층민들의 삶의 현장에서 오랫동안 형성되어온 노래를 전문 음악인들이 채택하여 감상과 유희 목적으로 만든 노래이다. 사랑과 연정, 유희 등을 주제로 대중적 요소를 강화하였고 누구나 노래를 알고 부를 수 있을 만큼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세련되고 전문적인 기교를 요구하지만 향토의 음악 특징인 ‘토리’, 전통적인 선율, 장단을 그대로 사용한다. 향토민요에서 통속민요로의 음악적 변화는 가창자와 작곡자의 분리, 지역의 확대, 소비형태의 변화 등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 변동 속에서 민요가 겪은 변화를 보여주는 예라는 점에서 의미 있다.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김영운, 「경기 통속민요의 전승양상과 음악적 특징」, 『우리춤과 과학기술』 10, 2009, 김혜정, 「민요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음악학적 논의」, 『한국민요학』 7, 1999. 이보형,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음악사학보』 45, 2010. 이보형, 「조가 지시하는 선법과 토리의 개념」, 『한국음악연구』 51, 2012. 최헌, 「한국 토속민요와 통속민요, 신민요의 음악적 연구」, 『한국음악문화연구』 7, 2015.
김인숙(金仁淑),최상일(崔相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