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자(唱者)가 노래하면서 직접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형태의 음악
판소리와 단가, 민요, 잡가 등을 노래하면서 가야금 혹은 거문고, 해금 등을 이용하여 산조와 같은 기악곡의 연주 기법이 포함된 반주를 하는 연주 형태를 말한다.
병창(竝唱)의 연주 형태가 언제부터 발생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다음과 같은 기록 또는 유물을 통하여 병창의 형태가 발생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1. 『삼국사기』 권(卷) 48 열전(列傳) 제8에 백결선생이 금(琴)을 뜯어 절구공이 소리를 내며 그 이름을 ‘대악(碓樂, 방아타령)’이라고 한 기록.
2. 신라토우 중 주악토우에 고대 현악기를 연주하면서 입을 벌리고 노래를 부르는 모습.
3. 백제 〈금동용봉봉래산향로(金銅龍鳳蓬萊山香爐)〉에 등장한 악사가 정면을 바라보며 입을 벌리고 노래 부르는 모습.
4.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과 조선시대 학자 성현(成俔, 1439~1504)의 『용재총화(慵齋叢話)』 등에서 가야금이나 거문고를 연주하며 시를 읊거나 노래를 얹어 불렀다는 기록.
5. 고려시대 도자기(청자 악기 연주하는 인물 무의 매병) 문양의 악기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모습.
6. 『태조실록(太祖實錄)』 4권 태조 2년(1393) 7월 26일 기사 중 노래와 현악기를 함께 연주한다 짐작할 수 있는 현가(絃歌)의 기록. 7. 조선 중기 의병장 정경운(鄭景雲, 1556~1610)이 쓴 『고대일록(孤臺日錄)』 중 가금(歌琴), 즉 노래하면서 가야금을 연주하였다는 기록. 8.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제14권 기(記) 중 「남호범주기(南湖汎舟記)」에서 스스로 노래 부르고 가야금으로 화답했다는 기록. 이상의 내용을 미루어 병창의 연행 방식은 이미 오랜 전통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판소리나 단가와 같은 음악을 노래하는 병창의 연주 형태는 19세기 후반에 형성된 것이다.
○ 역사적 변천 과정 가야금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고대 현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병창의 형태가 이미 상고시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짐작하며, 이후 조선시대까지의 문헌을 통해서도 병창의 형태를 찾을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이 직접적으로 악기를 타면서 판소리, 민요 등의 노래를 불렀다는 병창의 형태는 19세기 초 신재효(申在孝, 1812~1884)가 정리한 〈변강쇠가〉에 나타나는데 이 사설에는 가야금을 연주하며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있다. 즉, 이 시기에 판소리나 단가를 부르며 가야금을 연주하는 ‘가야금병창’이 등장하였고 이후 거문고병창이나 해금병창 등으로 전파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거문고병창이나 해금병창은 연주자의 수도 많지 않고 활발히 연행되지 않아 현재 병창이라 하면 대개 가야금병창을 일컫는 경우가 많다.
○ 음악적 특징 현재 병창의 장단은 판소리의 장단을 사용한다. 다만 판소리가 다양한 장단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병창은 주로 중모리, 중중모리가 가장 많으며, 진양조도 드물게 사용한다. ○ 형식과 구성 현재 연행되고 있는 가야금병창, 거문고병창, 해금병창은 악기가 다를 뿐 연주자가 직접 노래를 하면서 그 노래에 맞는 반주를 악기로 연주하는 형태이다. 연주자는 노래하면서 주로 전주나, 간주, 후주 등을 악기로 삽입하여 노래의 선율을 강조하거나 반복한다. 또한 장단의 시작과 끝에서 반주하면서 장구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판소리와 산조는 각각 다양한 조와 장단이 결합되며 긴 연주 시간을 지닌 음악인데, 병창은 이 둘의 장점을 살려 보다 대중적인 장르로 재탄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병창의 곡목은 판소리에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나 민요 등으로 선정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예전 명인들의 경우 기악과 성악에 두루 능하였던 이들이 많았고, 이들에 의해 병창이라는 연주 형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병창이 독립적으로 지정된 사항은 없고 ‘가야금산조 및 병창’으로 지정되어 1968년에 박귀희(朴貴姬, 1921~1993)가, 1988년에 정달영(鄭達榮, 1922~1997)이 지정되었다. 두 보유자가 모두 타계 후 2001년에 강정숙(姜貞淑, 1952~)과 강정열(姜貞㤠, 1950~)이 지정받았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가야금산조 및 병창2, 병창편』, 민속원, 2010. 문재숙, 『가야금을 통하여 본 한국음악사』, score, 2018.
서은영(徐銀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