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을 유람하며 풍류를 즐기고 군주의 만수무강을 비는 내용의 판소리 단가
강산을 유람하며 풍류를 즐기는 내용으로, 악곡명 ‘운담풍경(雲淡風景)’은 노랫말의 첫 부분인 “운담풍경근오천(雲淡風景近午天)”에 근거한 것이다. 중모리장단에 우평조로 담담하게 소리한다.
누가 지은 단가인지는 알 수 없으나, 연원이 그래 오래되지는 않은 단가로 20세기 전반에 많이 불렸다. 1929년 발매된 김초향의 음반이 전하고, 1930년대 박록주, 신숙, 오비취, 권농선, 이봉희, 강춘섭 등의 음반이 발매되었다. 20세기 전반의 단가 운담풍경은 창자마다 조금씩 다른 노랫말로 구성되어 있다.
판소리 단가(短歌)는 판소리를 하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해 하는 비교적 짧은 노래로, 오늘날에는 판소리와 상관없이 독립적인 악곡으로도 부른다. 감정을 격하게 드러내지 않고 담담하게 노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노랫말의 내용은 대부분 ‘산천경개’, ‘인생무상’ 등으로 되어 있고, 판소리 대목 중 일부의 내용을 차용하는 경우도 있다. 단가 운담풍경도 강산을 유람하며 풍류를 즐기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되, 군주의 성수무강을 비는 내용이 더하여진다. 20세기 전반, 새로운 창작물의 단가 및 다른 단가 혹은 타장르 성악곡의 노랫말을 차용하여 다양한 변이들이 등장하였으나 오늘날 주로 불리는 단가는 20여 종에 불가하다. 단가는 보통빠르기의 중모리장단과 우조 및 평조를 사용하여 점잖으면서도 담담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표현한다. 단가 운담풍경 또한 중모리장단과 우평조의 선율로 소리한다.
단가 운담풍경의 전반부인 “운담풍경 근오천” 부분은 중북 북송 중기의 유학자 정호의 시 <춘우일성>과 『해동가요(海東歌謠)』(주씨본)에 기록된 조선 후기 이정보의 시조에서 차용하였다고 볼 수 있고, 후반부의 “남상송백 울울창창” 부분은 『청구영언(靑丘永言)』 「만횡청류(蔓橫淸類)」 항목에 수록된 시조 및 『역대시조전서』에 수록된 조선 고종 때의 가객 안민영의 시조와 유사하다. 또한, “청풍서래하고 수파는 불흥이라” 부분은 중국 북송의 시인 소식의 적벽부 사설의 일부이며, “풍월강산 구경하고 동해로 건너오니” 이하는 단가 〈대관강산〉과 유사하고, “우리도 일민이 되어 격양가를 부르리라” 이하는 단가 〈진국명산〉 사설의 일부이다. 즉, 단가 운담풍경의 노랫말은 사설시조 및 동시대 여러 단가의 사설 일부와 관련 있어, 이들 노랫말을 결합하여 창작한 것이라 하겠다.
운담풍경근오천 소거에 술을 싣고
방화수류과전천 십리사장 나려가니
넘노난 게 황봉백접 주루룩 풍덩 옥파창랑 떠오나니 도화로다
붉은 꽃 푸른 잎은 산양강수를 그림하고
나는 나비 우난 새는 춘광춘흥을 자랑한다
어디로 가잤어라 한 곳을 점점 나려가니
언덕 위에 초동이요 석벽하에 어옹이라
새벽별 가을 달빛 강심에 거꾸러져 수중산천 이뤘난디
편편 나는 저 백구는 한가함을 자랑한다
은린옥척은 펄펄 뛰고 쌍쌍원앙이 높이 떠
청풍은 서래하고 수파는 불흥이라
종일위지소여하여 능만경지망연이라
살같이 닫는 배는 양진 포진 배회로다
남해팔경 소상동정 청풍적벽이 이 아니냐
풍월강산 구경하고 동해로 건너갈제
아동방 금수강산
동금강 서구월이요 남지리 북향산
가야산 속리산을 편답하고
삼각산을 올라서니
금부용 만장봉은 서색은 반공이라
남산송백 울울창창 한강유수 호호양양
천재일월 태평기상 만만세지 금탕이라
아니 놀고 무엇 헐꺼나 흐늘거리고 놀아보자
단가 운담풍경은 사설시조 및 동시대 여러 단가의 노랫말을 차용하여 새롭게 창작된 형태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데, 중국의 지명도 언급되나, “아동방 금수강산” 이하에서는 ‘금강산’, ‘구월산’, ‘지리산’, ‘묘향산’과, ‘가야산’, ‘속리산’, ‘삼각산’, ‘남산 송백’, ‘한강 유수’ 등 우리나라의 풍경을 노래한다. 경개를 모두 읊은 후에는 주상전하의 성수무강을 기원하고 있어, 결국 운담풍경의 주제는 태평성세와 군왕의 성수무강임을 알 수 있다.
정양ㆍ최동현ㆍ임명진, 『판소리 단가』, 민속원, 2003. 이혜연, 「단가 운담풍경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신은주(申銀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