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터잡이, 도승이 집터 잡아주는 대목, 중이 집터 잡아준다
판소리 《흥보가》 중 한 대목으로, 도승이 흥보에게 명당자리로 집터를 점지하는 대목
《흥보가》 중 흥보 집터 잡는 대목은 도승이 동냥을 하러 흥보집에 갔으나 먹을 것이 없어 우는 흥보 식구들을 보고 명당 집터를 잡아주겠다고 제안하고, 도승의 뒤를 따라 오는 흥보에게 명당자리를 점지하는 대목이다. 이 대목은 진양조장단에, ‘솔(sol)-라(la)-도(do′)-레(re′)-미(mi′)’ 다섯 음으로 선율을 구성하는데 우조 대목의 느낌을 강조하고, 가곡성우조와 같은 선율을 섞어가며 부른다.
《흥보가》 중 흥보 집터 잡는 대목은 20세기 전반 근대 5명창의 김창환(金昌煥, 1854~1927)이 남긴 대목이 확인된다. 김창환은 《흥보가》를 잘 불렀던 조선 후기 명창으로 〈중타령〉과 〈집터잡이〉, 〈제비노정기〉가 장기 대목이다. 그리고 1930년 녹음한 김추월(金秋月, 1896~1933)의 《흥보전》 〈흥보집터〉 음반(Columbia 40371-AㆍB)와 김초향의 음반(Columbia 40075-AㆍB) 등과 그 외에도 많은 명창들의 음반이 남아있다.
《흥보가》 중 흥보 집터 잡는 대목은 도승이 흥보집에 당도하여 흥보의 어려운 사정을 보고 흥보에게 좋은 명당을 잡아주겠다고 약조하고 새로운 집터를 잡아주는 대목이다. 사설의 전체적인 구성은 흥보가 도승을 따라 길을 나서는 사설, 도승이 명당자리 모습을 풀이하는 사설, 대사가 좋은 일이 생길 것을 암시한 후 홀연히 사라지는 장면의 사설 구성이다. 흥보 집터 잡는 대목은 진양조장단에 우조 악조를 중심으로 되어있다. 꿋꿋하고 힘 있는 장중한 악상을 표현하고 우조 대목의 느낌을 강조한다. 이 대목의 우조 선율은 가곡성우조와 같이 한 음을 길게 뻗거나 1옥타브 이상 도약 선율진행을 사용한다. 흥보 집터 잡는 대목은 가야금병창으로도 연주하는데 이 역시 진양조장단과 우평조의 선율로 구성됨으로써, 도승의 신비롭고 명승지의 평화로운 분위기와 담담한 선율적 특징을 보인다.
흥보가 나오며, "스님 내 집을 둘러보오. 서발 장대로 저어도 거칠 문적 없어 동냥 한 점 못드리게 되니 대단히 죄송합니다." 저 중이 있다 허는 말이, “내 동냥하러 온 중이 아니라 지내다 들으니 울음 소리가 사생을 판단키로 그 연고를 알고저 왔다니다.", "예 어린 자식들과 굶다 못 견디어 죽기로 작정허고 우는 길이요.”, “참으로 불쌍하오. 내 걸성으로 아는 건 없으되 내 뒤를 따라오면 집터 하나를 잡아주리다.” (진양조) 박흥보가 좋아라고 대사 뒤를 따러갈 적의. 이 모롱을 지내고 저 모롱을 지내어 한 고개를 넘어서니마넌 저 중이 가다가 우뚝 서서 사면을 살펴보더니 "이 명당을 알으시오. 천하 제일강산 악양루 같은 명당이니 이 명당에다 대강 성주를 허시되 임좌병향 오문으로 대강 성주를 허시거드면 명년 팔월 십오일에난 억십 만금 장자가 될 것이요. 오대진사 삼대급제 병감사가 날 명당이 적실허니 그리 알고 명심하오." 한두 말로 마친 연후로 인홀불견 간 곳이 없다.
판소리 《흥보가》 중 흥보 집터 잡는 대목은 도승이 흥보에게 좋은 집터 자리를 점지하는 대목이다. 진양조장단으로 소리하며 악조는 우조 및 평조로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으로 자주 연행되는 대목이다.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유산(1964) 판소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2003)
송방송, 『한겨례음악대사전2』, 보고사, 2012. 박희순, 「판소리 가곡성우조 연구」, 『한국음악연구』 41, 한국국악학회, 2007. 지미희, 「판소리 흥부가와 가야금병창 중타령ㆍ집터잡이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정수인(鄭琇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