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보 포악, 놀보 매질, 놀보가 흥보를 때리는 대목
판소리 《흥보가》 중 한 대목으로, 흥보가 굶주림을 견디지 못하여 놀보집에 밥을 빌러 갔다가 놀보에게 매를 맞는 대목
흥보가 굶주림을 견디지 못하여 형님 놀보집을 찾아가 쌀과 벼와 돈을 빌어보지만 놀보와 놀보처에게 매만 맞고 쫓겨나는 대목이다. 이 대목을 〈놀보 포악〉이라고도 하는데 자진모리장단에 호방하고 남성적인 느낌과 꿋꿋하고 힘 있는 우조성음을 사용하여 놀보의 심술과 포악성을 유쾌하게 표현한다.
《흥보가》 중 흥보 매 맞는 대목은 『조선창극사』에 최상준(崔相俊)의 장기로 소개되어 있다. 최상준은 충청도 한산에서 출생하여 철종ㆍ고종 연간에 유명했던 명창이다. 동편제 소리를 하는데 《흥보가》 중에서도 특히 흥보 매 맞는 대목이 더늠이라고 되어 있다. 임방울이 유성기 음반(RegalC124/B)ㆍ(Columbia 40118-B)에 남긴 〈흥보 비는데 대목〉 중 흥보 매 맞는 소리는 붙임새의 변화 없이 자진모리장단으로 빠르게 몰아가는 것을 통해 긴박한 분위기를 표현한다. 이 외에 1941년 오케판 창극 〈흥보전〉 음반(Okeh 20090-A)에 김녹주, 오수암, 임방울, 이화중선이 녹음한 흥보 매 맞는 데의 음원이 전하는데 대화체 사설과 분창형식의 연극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흥보가》 중 흥보 매 맞는 대목은 흥보가 굶주림을 견디지 못하여 형님인 놀보집에 찾아가서 쌀과 벼와 돈을 빌어보지만 놀보와 놀보 처에게 매만 맞고 쫓겨나는 대목이다. 놀보가 대문을 걸고 흥보 매질하는 내용은 판소리 사설의 논리적 해학성이 잘 드러나는 대목으로 흥보가 매를 맞는 장면의 급박한 상황이 긴장감을 유발하고 있으며 극적인 효과를 준다. 판소리 《흥보가》에서 〈놀보 포악〉으로도 불리는 이 대목은 자진모리장단의 〈놀보 심술타령〉 대목과 동일한 장단으로 부르며, 놀보가 흥보를 매질하는 긴박한 상황과 심술 많은 놀보의 악덕을 잘 표현한 대목이다. 흥보 매 맞는 대목은 자진모리장단에 미(mi)-솔(sol)-라(la)-도(do′)-레(re′)의 계면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여느 계면조 대목과는 달리 슬프기만 하지 않고, 동음반복과 떠는 목과 꺾는 목이 절제된 ‘도(do′)-레(re′)-미(mi′)’ 중심의 꿋꿋하고 역동적인 상행선율과 우조성음으로 부름으로서 포악한 놀보의 분위기에 적합하게 음악을 구사한다. 이 대목의 후반부는 매 맞은 흥보가 탄식하는 장면으로 흥보의 슬픔이 진계면 선율로 표현된다.
(아니리) "과거를 꽉꽉 대노니 땔 수가 없지. 오, 이제 보니 니가 흥보로구나. 심심하던 중에 잘 왔다. 얘 마당쇠야 대문 걸고 아래 행랑 동편 처마 끝에 지리산에서 것 목 쳐온 박달 홍두깨 있느니라. 일 가져오너라. 이런 놈은 복날 개 잡듯 해야 하느니라.“ (자진머리) 놀보놈 거동 봐라. 지리산 몽둥이를 눈 위에 번듯 들고 "네 이놈 흥보놈아! 잘 살기 내 복이요 못 살기도 니 팔자. 굶고 먹고 내 모른다. 볏섬 주자 헌들 마당의 뒤주 안에 다물 다물이 들었으니, 너 주자고 뒤주 헐며 전간 주자 헌들 천록방 금궤안에 가득 가득이 환을 지어 떼돈이 들었으니, 너 주자고 궤돈 헐며, 찌갱이 주자헌들 궂은 방 우리 안에 떼 돼야지가 들었으니 너 주자고 돗 굶기며, 싸래기 주자헌들 황계 백계 수백 마리가 턱턱하고 꼭교 우니, 너 주자고 닭 굶기랴." 몽둥이를 들어 메고 "네 이 놈 강도놈." 좁은 골 벼락 치듯 강짜 싸움에 계집 치듯 담에 걸친 구렁이 치듯 후다닥 철퍽! " 아이고 형님! 박 터졌소!" "이 놈!" 후다닥 "아이고 다리 부러 졌소 형님!" 흥보가 기가 막혀, 몽둥이를 피하랴고 올라갔다가 내려갔다가 대문을 걸어노니, 날도 뛰도 못허고, 그저 퍽퍽 맞는데 안으로 쫓겨 들어가며 "아이고 형수씨 사람 좀 살려주오. 아이고 형수씨 날 좀 살려주오."
《흥보가》 중 흥보 매 맞는 대목은 〈놀보 포악〉 대목으로 불리며, 자진모리장단에 놀보가 흥보를 때리는 긴박한 상황을 우조성음과 매를 맞은 흥보의 탄식을 표현하는 계면조 선율을 섞어가며 부른다.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유산(1964) 판소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2003)
김진영 외, 『흥부전 전집』 1, 박이정, 1997.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출판부, 1940. 배연형, 「임방울 흥보가의 바디 연구」, 『국악교육』 32,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정수인(鄭琇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