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상봉〉, 〈어사와 장모 상봉〉, 〈어사또 춘향모 상봉〉, 〈어사또와 춘향모 만남〉
《춘향가(春香歌)》에서 어사또가 된 이도령이 춘향모인 월매와 상봉하는 대목
《춘향가》 중 어사와 장모 대목은 어사또가 된 이도령이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춘향모인 월매와 상봉하는 장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원에 도착하여 춘향과 바로 재회하는 장면으로 이어지지 않고 주변 인물들인 월매와 향단이 등장하여 극적인 장면이 연출되기 때문에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대화와 감정의 표현들이 다각적으로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해당 대목은 유진한(柳振漢, 1711~1791)의 『만화집(晩華集)』에는 어사또가 된 이도령이 춘향의 집을 찾아가 월매와 만나고 춘향이 위기에 처함을 알게 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따라서 당시에도 해당 대목의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만화집』에는 이도령의 입장에서 해당 부분이 서술되어 있으나 이후 월매와 향단의 사설과 개입이 더욱 확대되어 극적 연출이 보다 사실적으로 확대되어 전승되고 있다.
○ 형식 및 구성 해당 대목은 이도령이 어사또가 된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춘향의 주변 인물들을 만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춘향과의 재회를 보다 고조시키는 데 중요한 대목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어느 유파에서나 빠지지 않고 전승되는데 이도령을 대하는 월매의 반응이 다양하게 그려져 월매의 성격과 행동을 통해 극적 연출의 다양성과 재미를 보여준다. 이는 함께 등장하는 향단이의 역할 비중과 대화도 변화시켜 동일한 상황 속에서 인물들의 개성과 생각들이 보다 다채롭게 그려진다. 바디에 따라 이도령이 걸인이 아닐 것이라고 믿고 신뢰를 잃지 않는 월매의 모습과 반대로 걸인이 된 이도령을 박대하며 자신의 딸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괴로워하는 모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음악적 특징 해당 대목은 중중모리장단으로 시작하는데 경드름이 사용되는 점이 주목된다. 경기 지역의 음악 어법을 사용하는 경드름은 염계달, 모흥갑, 고수관의 더늠으로 대개 중모리장단과 결합되는데 해당 대목에서는 중중모리장단에 얹어 사용되었다. 동초제인 오정숙 창의 어사와 장모 대목을 살펴보면 어사또의 사설은 경드름으로 부르고 춘향모의 사설은 계면조로 이루어져 있어 인물에 따른 악조의 선택적인 사용이 눈에 띈다. 이는 극적 사실감을 높이고, 특히 창극적인 요소들이 다양하게 활용되는 동초제에서 매우 부각되는 편이다. 이처럼 악조 외에도 인물에 따라 장단도 변화되는데 대목의 시작 부분에서는 중중모리에 맞춰 월매의 대화가 전개되고, 이후 향단이와 이도령의 대화에서는 중모리를 사용하여 악조와 장단 등의 음악적 요소들이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중중모리) 춘향 모친이 나온다. 춘향 어머니 나온다. 춘향 자친1이 나온다. 춘향 자당님2이 나온다. 춘향 대부인3이 나와. 싸나운 늙은이 나온다. 이도령 빙모4가 나온다. 어사또 장모가 나온다. 백수 민머리5 파뿌리 된 머리 가달가달이 6 집어얹고, 꾸부러진 허리 손 뒤로 얹고, 모냥이 없이 나온다. “거 뉘가 날 찾나? 거 뉘기가 날 찾어? 날 찾을 이가 없건마는 거 뉘기가 날 찾어? 남원 사십 팔방7 중으 나의 소문을 못 들었나? 칠십당년8 늙은 년이 무남독녀 외딸 하나를 옥중으다가 넣어두고, 명재경각9 되아 있어 정신없이 늙은 나를 무엇허랴고 찾어와?에이?” “나를 모르나? 내가 왔네. 경세우경년10허니, 자네 본 지가 오래여. 세거인두백11허니 백발이 완연히 되어, 자네 일이 말이 아니로세. 나를 모르나?어으어?자네가 나를 몰라?” (이하 생략)
1) 자친(慈親) : 어머니
2) 자당(慈堂)님 :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3) 대부인(大夫人) : 남을 높이어 그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
4) 빙모(聘母) : 장모
5) 민머리 : 하얗게 센 머리 위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모양을 이름
6)가달가달 : 가닥가닥
7) 사십팔방 : 남원부에 속해 있던 48개의 방
8) 칠십당년 : 그 해의 나이가 일흔 살임
9) 명재경각(命在頃刻) : 목숨이 아주 위태로운 지경에 이름
10) 경세우경년(經歲又經年) : 해가 지나고 또 지나 여러 해가 지남
11) 세거인두백(歲去人頭白) : 세월이 가면 사람의 머리도 희어짐
오정숙 창, 어사 춘향모 상봉 『오정숙 판소리 다섯마당』, 신나라, 2001.
어사와 장모 대목은 ‘만남-이별-재회’로 구성된 《춘향가》에서 재회에 속하는 부분으로 춘향이의 상황을 모르는 이도령이 어사가 된 자신의 신분을 숨긴 채 춘향모와 만나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특히 이도령과 춘향모, 향단이 등 다양한 인물들이 기대했던 상황을 마주하지 못하고 벌어지는 사건들 속에서 다양한 인물들의 행동과 성격이 각 바디에 따라 다르게 그려지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다. 또한 경드름을 비롯한 판소리의 특징적인 악조들이 활용되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유산(1964) 판소리: 유네스코 인류구전무형유산걸작(2003)
김경희, 『김연수 판소리 음악론』, 민속원, 2008. 김진영ㆍ김동건ㆍ김미선, 『김수연 창본 춘향가』, 이회문화사, 2005. 김경희, 「김연수 《춘향가》의 변화 양상 연구 -‘어사또 춘향모 상봉’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57, 2015. 김석배, 「만화본 춘향가 연구」, 『문학과 언어』 12, 1991. 김송, 「《춘향가》 어사 장모 상봉 대목 고찰」,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김혜정, 「경드름의 성립과 전개」, 『경기판소리』, 2005. 박애란, 「판소리 《춘향가》 우조 선율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성기련, 「박봉술 창 《춘향가》 중 '박석티' 이하 대목의 사설 구성과 특징」, 『한국음악연구』 57, 2015. 신정혜, 「김정문의 판소리 음악어법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논문, 2015.
정진(鄭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