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타령, 퇴화상(兎畵像), 토화상(兎畵像), 화공 부르는 대목, 화공을 불러라
판소리 《수궁가》 중 화공이 별주부에게 토끼의 형상을 그려주는 내용의 대목
판소리 자체에서 생성된 독립가요로, 《수궁가》의 눈대목 중 하나이다. 18세기 경 생성되어 19세기 초를 기점으로 완성되었고, 이후 부분창으로 널리 불려지면서 단가, 가야금병창 등의 레퍼토리로 확대되었다. 그 내용은 토끼의 간을 구하러 가게 된 별주부에게 화공을 불러 토끼의 형상을 그려주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오늘날은 동편제 계열의 송만갑제, 유성준제, 정응민제가 전승되고 있다. 장단은 대체로 중중모리장단으로 되었고, 악조는 동편제 계열이 계면조, 서편제 계열이 우조와 반드름으로 짜여졌다.
판소리 자체에서 생성된 소리 대목이라는 점과 정노식이 지은 『조선창극사』에 전기 팔명창 중 한 명인 김찬업의 더늠으로 소개된 점 등으로 보아, 18세기경에 생성되어 19세기 초를 기점으로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끼화상은 타 장르의 음악이 삽입된 것이 아닌 《수궁가》의 이야기 자체에서 생성된 소리 대목이다. 송흥록(宋興祿)을 통해 박만순(朴萬順)-김찬업-신명학, 전도성, 송만갑으로 이어진 것과 송우룡(宋雨龍)-이선유, 유성준의 두 갈래로 전승되었고, 현재는 동편제 계열의 송만갑제, 유성준제와 서편제 계열의 정응민제가 전승되고 있다. 한편, 토끼화상은 부분창으로 인기가 높아지면서 가야금병창의 레퍼토리로 수용되었는데, 오늘날 전승되는 것에는 충청도를 기반으로 활동했던 심정순(沈正淳), 박팔괘의 토끼화상과 전라도를 기반으로 활동했던 오태석, 박귀희의 토끼화상이 있다.
사설의 내용은 토끼의 간을 구하러 가는 별주부에게 화공을 불러 토끼의 형상을 그려주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대체로 화공을 부르고 먹과 연적 등을 갖추는 등 화상을 그리기 위한 준비과정, 토끼의 눈, 귀, 입, 코, 발, 털 등의 세부적 묘사, 토끼에 대한 형용과 배경 설명으로 나뉜다. 이 같은 사설의 구성 방식은 소리제에 따라 대체로 같지만, 토끼의 화상을 묘사하는 순서에 있어서는 약간씩 차이가 있다. 장단은 대체로 중중모리장단으로 되었다. 악조는 유파에 따라 다르다. 즉, 서편제 계열에 속하는 정권진바디는 우조와 반드름(김채만대에 형성된 판소리 악조로, 계면조에 우조 또는 평조가 살짝 섞여있는 형태)이 섞였지만, 동편제 계열의 박봉술, 정광수, 임방울바디는 모두 계면조로 되었다. 선율 역시 정권진바디만 다르고, 나머지는 유사한 편이다.
(중중모리) “화공을 불러라.” 화공을 불러 들여 토끼 화상을 그린다. 동정유리청홍연 금수추파 거북 연적 오징어로 먹 갈어, 양두화필을 덥벅 풀어 단청 채색을 두루 묻히어서 이리저리 그린다. 천하명산 승지강산 경개 보던 눈 그리고, 봉래 방장 운무 중에 내 잘 맡던 코 그리고, 난초 지초 온갖 향초 꽃 따 먹던 입 그리고, 두견 앵무지지 울 제 소리 듣던 귀 그리고, 만화방창화림중 펄펄 뛰던 발 그리고, 대한 엄동 설한풍 어한허던 털 그리고, 두 귀는 쫑긋, 눈은 도리도리, 허리는 늘씬, 꽁댕이 묘똑, 좌편 청산이요, 우편은 녹순디, 녹수청산의 에굽은 장송, 휘늘어진 양류수 들랑달랑 오락가락 앙거주춤 기는 토끼, 화중퇴 얼풋 그려, 아미산월이 반륜퇴, 이에서 더할쏘냐? “아나, 옛다, 별주부야 네가 가지고 나가거라.” 「박초월 바디 《수궁가》(최난수 창)」, 『(한영대역) 《수궁가》 바디별 전집 3』, 문화체육관광부ㆍ전라북도ㆍ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원회, 2010, 232~236쪽.
토끼화상은 부분창으로 불리면서 단가, 잡가, 가야금병창으로 확대되었다. 판소리 자체에서 생성된 소리 대목이 연행 주체를 달리하면서 타 장르로 수용되어 가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특정 대상을 구성하는 항목들을 차례로 나열함으로써 그것의 특징을 상세히 묘사하는 판소리의 이야기 전개 방식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1964) 판소리: 유네스코 인류구전무형유산걸작(2003)
송방송, 『한겨레음악대사전』, 보고사, 2012. 서정민, 「판소리 수궁가 판제에 따른 음조직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이진원, 「박팔괘(朴八卦) 〈토끼화상〉에 대한 음악적 검토」, 『한국음반학』 29, 한국고음반연구회, 2019. 인권환, 「토끼화상의 전개와 변이양상」, 『어문논집』 26, 안암어문학회, 1986. 장휘주, 「판소리 반드름에 관한 연구」, 『한국음반학』 6, 한국고음반연구회, 1996.
문봉석(文奉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