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음높이를 내는 황엽(簧葉)이 들어있는 특정 길이의 죽관(竹管) 여러 개를 악기 몸통에 꽂아 만들며, 몸통 가운데에 달린 부리 모양의 취구에 입김을 불어 넣어 연주하는 관악기
중국의 『수서』와 『당서』에 생황이 고구려와 백제음악 연주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생황의 연주 모습은 상원사 동종의 비천상과 불교 미술품에 보인다. 고려 시대에는 생황이 궁중음악에 편성되었는데, 음악 기관인 ‘대악관현방’에 생 연주자가 소속되어 있었다. 1114년(예종 9)과 1116년(예종 11)에 북송으로부터 연향음악에 사용할 생과 제례악에 쓰이는 소생ㆍ화생ㆍ우생이 들어 왔으며, 『고려사』「악지」의 아악(雅樂) 등가에 소생과 화생, 헌가에 소생과 우생을 편성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세종대에는 일시적으로 생황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제작이 수월하지 않아 중국에서 수입해 오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생황은 조선시대 궁중의례에 사용되었고, 조선후기의 풍류방에서는 『유예지』 생황자보에서 보이듯이 〈가곡〉 반주에도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은 생황과 단소와의 병주 또는 개량된 생황으로 독주나 국악관현악과의 협주 등 창작 음악에도 사용된다.
○ 구조와 형태 생황은 여러 개의 가느다란 대나무 관대를 악기 몸통에 박고, 몸통 가운데에 부리 모양의 취구를 덧붙여 만든다. 생황 계열 악기의 구조는 모두 같으나 관대의 수에 따라 이름이 달라진다. 관대 수와 이름은 문헌마다 약간씩 다르게 나타나는데, 악학궤범에서는 다음과 같다. 화(和)는 관이 열세 개인데 그중 한 개는 사용하지 않는 윤관(閏管)이므로 모두 열두 음을 낸다. 생(笙)과 우(竽)는 관이 열일곱으로 십이율 사청성의 열여섯 음을 낸다. 여기서 우(竽)의 관 길이가 생의 관 길이보다 길어서, 생보다 한 옥타브 낮은 음을 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후기부터 17관의 생황이 주로 쓰이면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생황의 관대는 오죽으로 만들고, 길이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관대는 놋쇠로 띠를 만들어 한데 묶는다. 예전에는 몸통을 만드는 최적의 재료가 박이었는데, 요즘에는 나무를 깎아서 사용한다. 각 대나무 관의 아래 부분에 얇은 금속 떨판인 쇠청(金葉)을 붙이는데, 몸통의 취구에 입을 대고 숨을 내쉬거나 들이마실 때 떨판이 떨면서 소리를 낸다. ○ 음역과 조율법 생황은 『악학궤범』에 ‘화’ㆍ‘생’ㆍ‘우’의 세 종류가 전하며, 악기마다 지법과 음역을 상세하게 소개하였다. 19세기로 넘어오면서 관이 열일곱 개인 ‘생’이 주로 쓰였다. 현재 사용하는 17관 생황은 모든 관에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생소 병주로 연주할 때는 주로 황종(黃)이 D4인 생황생황과 단소를 사용한다, 그리고 세악 편성의 합주 혹은 중주로 연주할 때는 황종(黃)이 E♭4인 생황을 사용한다.
○ 연주방법 생황을 연주할 때 호흡하기 편한 자세로 앉아 몸통의 아랫부분을 두 손으로 감싸 쥔다. 생황은 연주자의 들숨과 날숨에서 모두 소리가 나는 악기이기 때문에 입술을 옆으로 당기면서 작게 오므려 입가로 바람이 새지 않도록 주의한다. 생황 연주에서 중요한 것은 호흡의 응용과 혀의 움직임, 손가락 동작이다. ○ 연주악곡 아악을 연주하는 《사직제례악》에 편성되며, 생황과 단소 이중주로 〈수룡음〉을 연주한다. 개량 생황으로도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을 연주한다.
생황은 우리나라에서 삼국 시대부터 사용한 악기이다. 고려시대 이래 궁중의례에서 등가와 헌가에 편성되었으며 조선 후기에는 주로 문인들의 풍류 악기로 쓰였다. 생황은 관대의 수에 따라 화ㆍ생ㆍ우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지금은 관이 열일곱 개인 생황이 주로 쓰인다. 최근에는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개량된 24관 생황ㆍ37관 생황 등을 사용하고 있다. 단소와 함께 생소 병주에 쓰이며 개량된 생황은 독주나 국악관현악과의 협주 등 창작 음악에 편성되어 쓰이고 있다.
『고려사』「악지」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50년 명인명창 50년』, 2001.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김효영, 「생황」,『국립국악원, 창작을 위한 국악기 이해와 활용』 2, 국립국악원, 2019.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이혜구,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한영숙(韓英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