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깡이, 깽깽이, 혜금(嵇琴)
원통형의 울림통에 입죽(立竹)을 세워 명주실로 만든 두 현을 걸고, 이를 활대로 마찰시켜 연주하는 현악기
해금은 본래 아시아대륙 북쪽 지방의 유목민족이 사용하던 악기였으나 우리나라에는 고려 시대에 유입되어 궁중음악에 편성되었고 이후 민속악 연주에도 널리 사용되었다. 문헌에는 혜금(嵇琴)이라고도 이름하였다. 그리고 민간에서는 악기의 음색이 마치 코맹맹이처럼 깽깽거리는 것 같다고 하여 ‘깽깽이’, ‘깡깡이’라고 불렀다.
해금은 6세기경 해족(奚族) 문화권에서 유래하였고, 우리나라에서 연주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시대부터이다. 『고려사』「악지」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당악(唐樂)이나 아악(雅樂)의 항목에서 소개되지 않고 속악(俗樂), 즉 향악(鄕樂)에 포함되어 있다. 이때부터 해금은 궁중음악에 편성되었고 〈청산별곡〉과 〈한림별곡〉 등의 고려가요에도 등장한다. 즉, 〈청산별곡〉은 “해금을 혀거늘 드로라”했고, 〈한림별곡〉에서는 ‘종지(宗智)의 해금(嵆琴)이 가야금ㆍ거문고ㆍ젓대ㆍ비파ㆍ장구 등의 악기와 함께 연주하는 장면’을 표현하고 있다.
고려 때 쓰이던 향악기들은 대부분 조선조로 전승되었다. 『세종실록』에도 해금은 거문고ㆍ가야고ㆍ비파ㆍ젓대ㆍ당비파ㆍ향피리ㆍ장고 등과 함께 향악에 편성되는 악기로 언급되었다. 성종 때 편찬된 『악학궤범』에는 당부(唐部) 악기로 분류되어 있기는 하나, 향악에 편성되어 사용하였다.『악학궤범』 권7에서 해금은 오랑캐[胡] 중 해족(奚族)의 악기이며, 대쪽[竹片]을 넣어 마찰한다고 하였고, 악기의 도해와 함께 평조와 계면조의 조율법이 상세하게 소개되었다.
해금은 『고려사』「악지」와 『악학궤범』에서 향악 연주에만 쓰이는 악기로 소개되었지만, 그 이후부터 향악뿐만 아니라 당악과 아악에 이르기까지 연주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었다. 그리고 해금은 삼현육각으로 연주하는 무용 반주 음악에 필수 악기로 편성되었으며 왕의 행차는 물론, 일본 통신사 일행을 인도하거나 관리들이 임지로 부임할 때의 행악 연주 및 과거 급제자를 위한 삼일유가에서도 빠지지 않는 악기였다.
지금은 궁중음악과 풍류방 음악, 〈시나위〉와 〈산조〉같은 민속 음악 그리고 창작 음악에까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악기로 사용되고 있다.
○ 구조와 형태 해금의 울림통은 굵은 대나무 뿌리 속을 파거나 나무를 둥근모양의 통처럼 깎아서 만들었다. 뿌리로 만든 것을 '뿌리통', 나무로 만든 것을 '갈통'이라고 부른다. 양쪽으로 뚫린 공명통의 한쪽 입구는 열어두고, 다른 한쪽 입구는 얇게 다듬은 오동나무 복판을 붙여 막는다. 울림통에 구멍을 뚫어 마디가 촘촘한 대나무로 만든 입죽을 세워서 꽂는다. 주철은 입죽 아래에 꽂아 울림통에 연결하고, 통 아랫부분을 고정한다. 입죽 윗부분에는 두 개의 구멍을 뚫어 줄을 감은 주아(周兒)를 꽂는다. 울림통 밑의 감잡이와 입죽에 부착된 주아에 두 줄을 당겨서 맨다. 주아는 줄을 조이거나 풀어서 소리의 높낮이를 맞추는 역할을 담당한다. 줄은 명주실을 꼬아서 만드는데 안쪽 줄은 굵고 ‘중현(中絃)’이라고 하며, 바깥쪽 줄은 가늘고 ‘유현(遊絃)’이라고 한다. 원산은 공명통의 복판에서 두 줄을 괴어 울림통으로 소리를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 활대는 오죽(烏竹)이나 해죽(海竹)으로 만들고, 활털은 말총으로 만들며, 활털을 두 줄 사이에 끼워 줄에 마찰시켜 연주한다.
○ 음역과 조율법 해금의 음역은 대략 세 옥타브 정도로 넓은 편이며,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음도 낼 수 있으나 이 경우 음색이 선명하지 않다. ‘중현’과 ‘유현’의 두 현은 완전 5도 차이로 조율하며, 왼손 손가락인 검지ㆍ중지ㆍ약지ㆍ소지로 현의 해당 위치를 눌러 음높이를 조절한다. 현재 해금의 지법별(指法別) 음역은 오선보와 산형으로 표기하였다. ○ 구음과 표기법 해금은 ‘가ㆍ구ㆍ거ㆍ고ㆍ구ㆍ가ㆍ구ㆍ기’와 같은 구음 형태를 일부 사용하고 있다. 해금의 표기법은 정악곡의 경우 정간보로 기보하며, 산조 및 창작곡은 오선보로 기보되어 있다. ○ 연주방법과 기법 해금을 바닥에 앉아서 연주할 때는,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고 허리를 펴고 바로 앉는다. 왼쪽 무릎 위에 해금을 올려놓는데, 복판이 연주자의 오른편을 향하도록 한다. 오늘날에는 의자에 앉아 두 다리 사이에 악기를 끼워 연주하기도 하고, 서서 연주하기도한다. 왼손으로 입죽을 잡고 줄을 팽팽하게 당기거나 느슨하게 놓으면서 해금의 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연주할 때 오른손은 중현과 유현 사이에 넣은 활대를 잡아 활을 왼쪽으로 밀거나 오른쪽으로 당기면서 활털로 줄을 문질러 소리를 내게 된다. 활은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활대를 밖으로 밀어 잡는데, 검지는 활대의 밑을 받친다. 그리고 중지와 약지는 말총을 맨 가죽 부분을 안쪽으로 밀듯이 잡는다. 해금의 왼손 주법으로 두 현을 가볍게 짚어서 소리 내는 ‘경안법(輕按法)’과 눌러서 내는 ‘역안법(力按法)’이 있으며, 왼손 운지로 선율ㆍ기교ㆍ시김새를 표현한다. 오른손으로는 활을 당기거나 밀면서 연주하는 운궁법(運弓法)으로 악곡의 호흡ㆍ악상ㆍ셈여림 등을 표현한다. ○ 연주악곡 〈수제천〉ㆍ《영산회상》ㆍ《종묘제례악》ㆍ〈시나위〉ㆍ 〈산조〉등
해금은 해족 문화권에서 유래한 악기로 고려 시대부터 연주되기 시작하였다. 해금의 모습을 처음 확인할 수 있는 『악학궤범』의 도해와 현행의 악기를 비교해보면, 입죽의 윗부분이 『악학궤범』은 왼쪽이고 현행은 오른쪽으로 방향이 다를 뿐 나머지의 구조는 유사하다. 해금은 다른 악기들에 비해 비교적 원래의 모습을 간직한 채 지금까지 전승되었다. 해금은 처음에 향악 연주에만 사용했으나 점차 당악과 아악에 이르기까지 연주의 영역이 확대되었다. 해금은 찰현악기로 소리를 길게 지속시킬 수 있어서 현악기로 연주하는 악곡은 물론 관악곡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기능한다. 지금은 궁중음악, 풍류음악, 민속음악 등 다양한 전통음악 및 창작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고려사』「악지」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37집: 조선시대 음악풍속도Ⅰ』, 민속원, 2002. 국립국악원, 『해금 정악보』, 국립국악원, 2015. 김성아, 「해금」,『창작을 위한 국악기 이해와 활용』, 국립국악원, 2018.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이혜구,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5집: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한영숙(韓英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