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 범천왕, 대제김, 울정
제주 무악기 가운데 가장 본토의 악기와 유사한 편이다. 대양은 대양 본체와 대양채로 이루어진다. 본체의 크기는 본토의 징보다 작다. 채는 헝겊을 단단하게 꼬아서 만든다. 대양 본체에는 헝겊으로 만든 손잡이를 둔다. 이를 ‘대양친’이라고 한다. 주로 앉아서 치고, 손에 들거나 문틀에 매달아 친다. 제주 굿에서는 구덕북, 설쇠와 함께 기본 악기로 쓰인다. 대개 심방이 춤출 때 연주한다. 더러 홀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심방이 선 채로 일정한 내용의 사설을 풀어낸 다음 대양을 거듭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대양이 제주 굿에서 언제부터 쓰였는지는 알기 어렵다. 그러나 그 내력이 오래되었을 것임은 분명하다. 대양은 오랜 세월 큰 변화 없이 전승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본토의 징과 같은 뿌리를 지닌 악기이다. 대야와 유사하니 본래 대야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심방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는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근래 본토의 징을 구매해서 쓰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러한 경우 징걸이까지 함께 쓰기도 한다. 그러나 매우 드문 사례이다.
대양은 홀로 쓰이기도 하고 ᄀᆞᆽ인연물의 조합으로 쓰이기도 한다. ‘ᄀᆞᆽ인연물’은 갖춘 연물이라는 뜻이으로, 구덕북, 설쇠, 대양이 합주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다른 악기와 함께 쓰이는 경우는 굿춤의 반주를 할 때이다. 홀로 쓰이는 경우는 다른 악기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심방이 스스로 치면서 연행한다. 〈방광침〉, 〈열려맞음〉 등이 대양 홀로 쓰이는 제차이다. 대양은 더러 그릇으로 즉, 신에게 바치는 쌀을 담는 용도로도 쓰인다. 악기 대양이 그릇 대야로 쓰이는 셈이다. 이처럼 대양에 담아낸 쌀을 ‘대양ᄊᆞᆯ’이라고 한다.
대양은 구덕북, 설쇠 다음에 자리 잡고 연주한다. 크기는 본토의 징보다 작지만 꽤나 무겁다. 오랜 시간을 쳐야 하는 경우 문틀에 끈으로 묶어 매달아 놓고 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장시간 계속 치는 경우가 아니라면 매달아 치는 것을 기피하기도 한다. 대양은 연주자의 교체가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곤 하는 악기이다. 대양 연주가 오랜 시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비록 대양을 문틀에 매달아 놓고 친다고 해도 연주자를 계속 교체할 수밖에 없다. 대양 연주를 맡은 이는 동료들이 손과 팔을 주물러 주어야 할 정도로 힘겹다.
ᄀᆞᆽ인연물에서는 설쇠의 연주를 신호 삼아 대양 연주를 시작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대양이 먼저 나서는 경우도 있다. 《새ᄃᆞ림》이나 《석살림》의 〈서우제소리〉와 같은 경우이다. 이는 대체로 갑작스러운 전환이 필요할 때이다. 《새ᄃᆞ림》에서는 〈푸다시〉에서 〈풀어냄〉으로 넘어갈 때, 《석살림》에서는 〈ᄌᆞᆽ인서우제〉에서 〈ᄌᆞ취움〉으로 넘어갈 때이다. 신명을 급격하게 끌어올리거나 그렇게 함으로써 마무리를 앞당기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된다.
〈방광침〉, 〈열려맞음〉, 〈세경수피〉 등에서는 대양이 홀로 쓰인다. 심방이 대양을 들고 나서서 한 묶음의 사설을 풀어내거나 노래한 다음 대양을 거듭 쳐서 매조지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당굿의 〈궷문열림〉도 여기에 해당한다.
대양 장단은 데삼소삼, 소삼데삼, 소삼 등이 쓰인다. 구음으로 데삼소삼은 ‘궹궹궹 궤낭들랑 궤낭들랑’, 소삼데삼은 ‘궤낭들랑 궤낭들랑 궹궹궹,’ 소삼은 ‘궤낭들랑 궹 궤낭들랑 궹.’이라고 한다.
대양의 내력은 불교의 전래 내력을 되새겨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양의 특징이 드러나는 제주굿의 제차 〈방광침(혹은 방광)〉은 본래 불교의 방광(放光)에서 비롯된 듯하다. 부처님은 백호(白豪)와 모공(毛孔)으로 빛을 내어 중생을 교화하고 구제한다고 한다. 이는 『방광반야경(放光般若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방광침과 같은 특정 의례를 완성하는 한편 제주 무악의 기본인 ᄀᆞᆽ인연물을 완성하는 데도 기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양은 제주굿에서 본격적인 굿의 면모를 갖추었음을 나타내는 악기이다. 소리와 울림 커서 먼 곳에서도 굿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제주 굿은 다양한 방식으로 관련되는 온갖 신을 대우하기 위하여 힘쓴다. 대양은 제주 무악의 중심을 지탱하는 구실을 한다. 대양 장단은 그다지 다양한 기교를 요구하지 않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ᄀᆞᆽ인연물에서 제외되는 법이 없다. 가장 뛰어난 기능을 요구하는 구덕북을 멀리 두고 초심자여도 무방한 설쇠를 사이에 두고 바깥쪽에 자리 잡지만, 언제나 북과 설쇠를 기준 삼아 연주한다.
강정식, 『제주굿 이해의 길잡이』, 민속원, 2015.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 신구문화사, 1981.
강정식(姜晶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