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우젯소리, 아외기소리
제주도 무악(巫樂)에서 파생되어 다양한 축제나 노동을 할 때 부르고 있는 민요로 ‘긴 서우제소리’와 ‘자진 서우제소리’를 모두 포함한다
서우제 소리는 제주도 무가(巫歌)가 민간에 널리 퍼져서 다양한 상황에서 민요로 부르는 소리이다. 무가로부터 제주도 토속민요로 전이된 경우이다. 이 민요는 축제나 놀이를 하며 부를 때는 무가 명칭 그대로 ‘서우제소리’라고 하지만, 김을 맬 때나 다른 일을 할 때에 그 노동에 맞추어 다른 명칭으로 부른다. 김을 맬 때 부르는 ‘김매는 아외기소리’나 풀무질할 때 부르는 ‘디딤 불미소리’는 모두 서우제소리의 가락을 사용하는 민요이다. ‘김매는 아외기소리’는 ‘긴 서우제소리’ 가락으로 부르며, ‘디딤 불미소리’는 ‘자진 서우제소리’ 가락으로 부른다.
서우제소리는 지금도 심방(제주에서 무격(巫覡)을 이르는 말)들이 굿을 할 때 자주 부르는 무가(巫歌)다. 특히 제주시 동쪽 지역(조천·구좌 등)을 중심으로, 영등굿을 할 때 자주 부른다. 그런데 이 무가(巫歌)가 일반 대중에게 널리 퍼져서, 여흥이나 노동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널리 부르면서, 그 결과 무가 가락이 변형되고, 또한 노랫말도 무가(巫歌) 사설 이외에 여러 상황(노동 등)에 맞는 새로운 것들이 추가된 민요이다. ‘서우제’라는 말의 의미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무속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무가(巫歌)로서의 서우제소리는 매년 음력 2월에 제주시와 제주시 동쪽 지역(조천·구좌)을 중심으로 영등굿을 하면서 굿당에서 주로 부른다. 그러나 민요로서의 서우제소리(아외기소리 포함)는 특정한 연행 시기나 연행 장소가 따로 없고, 축제나 놀이, 노동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연행된다.
○ 음악적 특징
이 민요의 음계는 평조, 곧 ‘솔(sol)-라(la)-도(do′)-레(re′)-미(mi′)’로 되어 있다. 다만 종지음은 가창자에 따라 ‘도(do)’나 ‘솔(sol)’로 종지한다. 구성음은 ‘솔(sol)-라(la)-도(do′)-레(re′)-미(mi′)-솔(sol′)-라(la′)’로 배열되어 있다. 이 민요는 느린 가락에서 시작하여 점차 빠른 가락으로 변하면서 선법 이동을 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개는 on C의 도(do) 선법에서 on F의 도(do) 선법으로 다시 on Bb의 도(do) 선법으로, 그리고 마지막 최종 종지에서 on Eb의 도(do) 선법으로 4도 위로 선법 이동을 이어나간다.
서우제소리는 기본적으로 느린 굿거리 정도의 빠르기로 시작하여 빠른 자진모리 정도의 빠르기로 마친다. 그러나 제주도 다른 민요들과 마찬가지로 서우제소리도 강세와 약세의 차이를 크게 두는 육지 식의 장단과 달리 장단의 강약 변화가 그리 크다고 할 수 없고,1 노랫말의 단위가 대체로 6/8박자 단위로 구별되기 때문에, 6/8박자의 민요로 채보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무가의 성격이 많이 남아있어서 다른 제주도 향토민요들에 비해 흥겹게 부르며, 요성(搖聲) 또한 비교적 자주 사용된다. 다만 탁성(濁聲)은 사용되지 않는다. 역(逆)부점 리듬과 당김음이 발달되어 있어서 리듬적 역동성도 강하다. 긴 소리에서 시작하여 점차 빨라지면서 자진 가락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가락덜이 현상이 뚜렷이 나타난다.
1) 제주도 ‘둥덩 장단’보다는 강약의 변화가 큰 편이지만, 육지 식 장단치기에 비하면 그리 크다고 하기 어렵다.
○ 형식과 구성
서우제소리는 6/8박자 4마디의 선소리와 4마디의 후렴으로 되어 있다. 형식구조는 A+B의 한도막 형식이다. 선소리는 평으로 내기와 들어내기로 그 시작을 즉흥적으로 달리하며 부른다. 가창 방식은 전형적인 메기고 받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후렴을 먼저 부른 후에 본사(本辭)의 노랫말을 시작한다.
무가(巫歌)로서의 서우제소리는 설장구와 구덕 북 반주로 부른다. 축제나 놀이에서 부를 때는 장구 반주가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김매는 아외기소리나 디딤 불미소리 등, 노동요로서의 서우제소리(아외기소리)는 악기 반주 없이 부른다.
서우제소리의 노랫말은 매우 다양하다. 무가에서 파생하였기 때문에 무가의 영향을 받은 사설(특히 영등굿 영감놀이 사설)이 사용되는 것은 물론, 김매는 일과 관련된 사설, 축제나 놀이와 관련된 노랫말, 바다 노동과 관련된 노랫말, 특정한 노동(디딤 불미 소리의 경우 풀무질 등)과 관련된 노랫말이 두루 사용되고 있다. 무가(巫歌)로서의 서우제소리는 일정한 서사적(敍事的)인 내용이 전개되지만, 민요로서의 서우제소리는 사설 내용이 자유롭게 뒤엉키면서 전개된다. 민요로서의 서우제소리에도 무가 사설들이 중간 중간에 나타나며, 해녀노젓는소리의 사설과 김매는 사대소리의 사설들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민요로서의 서우제소리 노랫말의 순서나 내용은 자유롭게 뒤바뀌거나 추가되고 변형된다. 긴 서우제소리에 의한 노랫말은 4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점차 사설이 덜어지다가, 자진 가락으로 바뀌면, 긴 서우제소리 노랫말을 2단락으로 나누어 전개하게 된다. 예컨대 긴 서우제소리에서는 “ 룰랑 / 놀고 가고 / 룰랑 / 쉬고나 가자”가 선소리의 노랫말 단위가 되는데, 자진 서우제소리에서는 “ᄒᆞᆫ ᄆᆞ룰랑 / 놀고 가고”가 노랫말 단위가 된다. 긴 서우제소리의 대표적인 후렴구는 ‘아~ 아~ / 아~ 양 / 어~ 어양 / 어~ 어요’이고, 자진 서우제소리의 대표적인 후렴구는 ‘아 아 야/ 어 어요’이다.2 서우제소리의 노랫말의 예는 아래와 같다.3 [긴 서우제 소리의 노랫말] (후렴구) : 아~ 아~ / 아~ 양 / 어~ 어양 / 어~ 어요 (선소리) 어양 어영 어야두야 어야 두야 산이로구나 어여차 듸여차 서우제 소리로 넘고 가저 이물에서 놀던 사공아 고물에서 놀던 사공아 룰랑 놀고 가고 룰랑 쉬고나 갑써 산에 가면 산신이 놀고 물엔 가면 요왕이 놀고 동이 와당 청요왕 놀고 서이 와당 흑요왕 놀고 북이 와당 백요왕 놀고 남이 와당 황요왕 논다 물이나 들면 동와당 놀고 물이나 싸면은 서바당 논다 뽐 못헌 곰방대에 삼동초를 피여 물고 망만 부뜬 소패립에 짓만 부뜬 도포입고 홰 록에 불을 싸면은 천릴 가곡 만릴 간다 떳다 떳다 화롱선 떳다 떳다 떳다 고내선 떳다 한강바당 배 띠와 놓고 진도야 바당으로 배질을 헌다 진도야 바당 나갈 적에 이물 사공아 아주라 무선 강풍이나 불어오면 고 사공아 키 잡아주소 앞항에 든 배는 임 실엉 갈 배 뒷항에 든 배는 날 실엉 갈 배 우리 수덜 경사 낫구나 만선 실은 배 경사 낫네 요왕님아 서낭님아 수덜 가는 길 발라 줍써 놀기 좋은 소리에 놀기 좋은 살장귀에 일본 나라는 준연국이고 우리나라는 대한민국 허리띠 밋듸 화정하야 물때나 점점 늦어나진다 들 물은 나민 동히 와당 물은 나민 서히나 와당 솔솔 가는 소나무 배여 잘잘 가는 참나무 배여 우리나 배는 잼도 재다 매 새끼 나는 듯찌 이나 배는 뜸도 뜨다 거북 새끼 기는 듯찌 요 넬 젓엉 내 어딜 가리 진도나 바당 골로 가게 착 손엔 태왁 심고 착 손엔 빗창 심엉 앞발로랑 허우치멍 뒷발로랑 차고나 보자 숨 두 숨 들어가 보난 은도 많고 금도나 많다 보구나 두구 못 따는구나 높은 낭게 ㄹ매로구나 저 산 올라 안개나 보듯 이 산 려 구름 보듯 선흘곳엔 도령님 서낭 이 산 령은 애기씨 서낭 저 바당이 실바람 나건 융선선을 놓구나 가장 모여지면 열늬나 동서 흩어지며는 일곱 동서 멩지 바당에 씰바람 나고 펭지 와당에 쾌선이여 할나 영산을 들어가 보난 아흔아홉이 골골이로다 저 산 앞엔 절 오백이고 이 산 앞엔 당 오백이여 우리 어멍 날 날 적에 영화를 볼려고 날 낫건마는 영화는 영화는 간 곳 없고 전싕 팔가 기박도 허영 할산으로 리는 물은 하간 낭썹 다 썩은 물이여 산지야 축항으로 리는 물은 일천 배 닷 줄 다 썩은 물이여 난 날에 나도 낳고 난 시에 나도 나시민 이사 운덜 나 무사 울리 이사 운덜 나 무사 울리 전싕궂언 구월에 나난 구월 국화가 내 벗이로다 어기여차 닷주는 소리에 일천설움을 다 지엉 간다 물은 들면 강변에 놀고 물은 싸면 수중에 놀고 설운 어멍 날 날 적에 전싕 구진 구월에 나난 난 날 난 시가 기박허여 녜 일이 날 울려가네 요왕님아 서낭님아 여 끗 딜로 가게 헙써 만선 실엉 어서 가자 집으로나 어서 가자 산지부두 저 돗대 위엔 갈메기만도 놀고나 나네 성산포 일출봉에는 해뜨는 구경도 마냥도 좋다 사라봉 저 뒷산에는 해지는 구경도 마냥도 좋네 우리가 살면 멧 십년 사나 막상 살아도 칠팔십이여 벵 든 날 뚝 떨어두고 근심걱정 다 제해여 불민 단삼십도 못내 살아 저 세상으로 가는 길이여 우리 어멍 날 날 적에 한강 바당 메역국 먹으렌 이 세상에 불쌍헌 건 어부덜 밖이 또 이시랴 한강 바당 떠날 적에 갈매기를 벗을 삼고 칠성판을 등에 지고 홍낙시를 손에사 걸고 모진 강풍 불어올 적 삼형제가 요 절 만나민 관세음보살 불렀던들 미신 소용이 있덴 말고 원천 팔 궂어 노난 요런 생활이 웬 말이던고 가고 싶은 일본 동경 황금이야 없어 못내 가고 살기야 싫은 우리 고향 죽기 생전 살거로구나 말 모른 황금 두 글자는 어떤 놈이 지왔는고 솔솔 게 마름 불라 모관이방 배 놓아가게 갈치 와당 갈름 불라 정든 부모님 들어나오게 산촌에 가며는 나무가 보배 바당에 가며는 진주가 보배 모실포서 지은 빗은 가파도 좋고 말아도 좋고 우리 어멍 죽은 딀랑 물멩지로 다리를 놉써 다심 어멍 죽은 딀랑 씰거릿낭 다리를 놉써 어기야차 소리에 닷 강겨 놓는 소리로구나 동이 와당엔 광덕왕이요 서이 와당엔 광인왕이여 드는 물에는 닷을 주고 는 물에는 닷을 댕긴다 간밤에 꿈 좋더니 우리 당선에 만선일세 놀당 가세 놀당 가세 서낭님과 놀당 가세 당선에는 서낭기 꼽고 만선에는 만선기 꼽앙 요 바당에 서낭님네 궁굴릴 데로 궁글려 줍써 어기여차 닷 주는 소리에 일천설움 다 지엉 간다 산은 첩첩 할락산이요 물은 출렁출렁 가락국물이여 여기여차 소리에 산 넘엉 가고 어기여차 소리에 물 넘엉 간다 요 넬 젓엉 내 어디 가리 진도야 바당에 골로 가자 설룬 정녜 우는 눈물은 일천간장도 다 썩은 물이요 잠대 잡앙 밧 잘 갈긴 농부의 에비 노념이요 하 노 잡고 노 잘 젓기는 선도 사공의 노념이요 붓대야 잡앙 글 잘 쓰긴 서울선비의 노념이라 어야 두양 어기여도 상사대로 놀고 가자 악 끗 물에다 놀던 서낭 한 물에다 놀던 참봉 악 끗 강 배 놀던 서낭 한강 배에다 놀던 영감 어멍 국은 어디든고 벨파진 역이 뒈옵데다 아방 국은 어디든고 진도야 밧섬이 뒈옵데다 앞동산에 놀고 가자 뒷동산에나 놀고나 가자 놀당 갑써 자당 갑써 요 해가 지도록 놀당만 갑써 놀당 갑써 자당 갑써 요 벨이 지도록 놀당덜 갑써 놀당 간 것은 손님이요 자당 간 것은 님이로구낭아 노세 노세 젊은 때 노세 늙어나 지며는 못 노나니 얼싸 좋네 절씨구나 좋네 놀고나 래로 놀아나 보자 일락서산에 해 떨어지고 월출동경에 솟아온다 앞 멍에랑 들어나 오고 뒷 멍에랑 나고나 가라 선소리랑 궂이나 망정 훗소리랑 듣기나 좋게 나 래랑 물 넘엉 가라 나 래랑 산 넘엉 가라 검질 짓고 너른 밧듸 곱은 쉐로 여히멍 가라 저레 가는 청비발 애기 요런 소리나 도웨여 라 저 산 뒤에 느 씨집 강 느네 씨아방 죽엇젱 건 우리 성제 삼성제 들엉 삼석골로 도웨여 주마 어제 청춘 오늘 백발 아니 놀앙 무엇허리 산천초목은 젊아나 지고 우리 인생은 다 늙어지고 죽자허니 청춘이요 살자 허니 고생이라 아서라 말어라 헛공상 말고 부르던 래나 불러나 보자 산은 첩첩 명산이요 물은 출렁 황하수요 산지조중은 곤륭산이요 수지조중은 황하수요 어른이 조중은 수염대 아이의 조중은 강림도령 요거 봅서 어딜런고 물로 뱅뱅 돌은 섬 중 어떵 허믄 잘 삽니까 어떵 허민 못 삽니까 잘 살아도 내 팔요 못 살아도 나 주요 어떤 사름은 팔저가 좋아 고대나 광실 높은 집에 우리 뜬 초로나 인생 무슨 날에나 환생을 허영 어제 오늘 성탄 몸이 저녁 날은 벵을 드난 인간 싀상 만중의 날 뜬 사름도 또 잇는가 여보시오 시중님네덜 요 내 말씀 들어나 봅서 멩사십리 해당화야 꼿이나 진다고 설뤄맙서 스무나문 설나문 적엔 요 내 목도 나더라마는 늙은 몸에 이 내 목은 나던 목도 자자진다. 칠성판을 등에 지고 혼백상을 머리에 이고 시퍼렁헌 저 바당을 건너사 가실 적에 어느 야가 그 누게가 나를 도와 주실거냐 일월 튼 서낭님이 앞을 삼앙 가는구나 치를 잡아 가실 적에 서낭 일월이 앞을 삼앙 보기좋은 여 끗딜로 그물 가게나 허여 줍서 저 바당을 배질헐 적에 서낭 일월을 앞을 삼곡 배 안에 선원들이 열두 동무를 거느리어 서낭 일월 힘을 믿어 돈을 벌랴고 나가는다 용궁 서낭 앞을 삼고 고기잡이를 나가는다 하늘은 보민 어디 끗디도 비바람은 쳐 드는데 믿어가는 서낭 일월 우리 열두 동무를 살롸 고개 고개 넘어오는 문뚱 물을 잦히면서 불쌍허신 우리 어부 저 살려나 주옵소서 룰랑 놀고 가자 룰랑 쉬고나 가자 요런 때에 못 놀며는 어떤 때나 놀아보리 젊아 청춘 에끼지 말고 마음 실피 놀아보세 일편단심 굳은 마음 일 년이 다 못가네 송죽튼 굳은 절개 요 매 친다고 변할소냐 날아가는 저 기러기 네 갈 길이 어데던고 내 갈 길은 서울이라 삼천동을 찾아가리 오늘이나 소식이 올까 내일이나 소식이 올까 요 내 심중에 불타는 가슴 어느 누게가 풀어줄까 구곡간장 썩은 눈물은 구년지수(九年之水)만 되어진다 돗 달아라 물 밀어라 집 두이 오름에 마중 가자 서산에나 지는 해는 지고 싶어서 진댄 말가 욜로 요리 돌아진 섬에 질 두 질 물질 허여 푼 두 푼 돈 버슬어도 낭군님 술값에 다 들어간다 대해 와당을 집을 삼고 저 물 절을 집안 삼앙 사나운 물 절 우에 몸을 실코 가는구나 름이 불민 바당이 울곡 구름이 끼민 비 내린다 저 산방산 구름 끼민 사흘 안이 날 우친다 산에 가민 테우리 놀곡 바당에 가민 수가 논다 우리 어멍 날 날 적이 영화를 보려고 날 낫것만 영화는 영화는 어딜 가곡 요런 고생만 남아시냐 어신 부모 말어름 소리 귀에 쟁쟁 열리젱 헌다 전싕 궂게 날 난 어멍 시름 노앙 자도 맙써
2) 후렴구가 ‘아 아’ 등의 음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아’라고 외는(소리 내는, 외치는 등의 뜻을 가진 제주어) 소리라는 의미로, 이 민요를 ‘아외기소리’라고도 하는 것이다.
3) 여기서는 민요로서의 긴 서우제소리 노랫말을 예로 들었다. 영등굿 무가로서의 서우제소리 노랫말은 제주도 무가 항을 참고하기 바라며, 민요로서의 자진 서우제소리 노랫말은 두 단락으로 전개되는 차이가 있을 뿐, 노랫말 내용이나 전개 순서가 긴 서우제소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전개됨).
제주도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제주도의 무속과 민요는 매우 중요하다. 이 두 가지가 서로 깊이 연결되어 있는 서우제소리는 제주도 기층(基層) 문화의 독특성을 밀도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무가의 노랫말과 민간의 노랫말이 어떻게 섞이고 변형되고 있는지, 전문가라 할 수 있는 무격(巫覡)들이 부르는 무가의 음악적 특성을 일반 서민들은 어떻게 소화하고 변형하고 있는지, 그리고 무가(巫歌)로서 일정한 터부가 있는 노래가 어떻게 자연스럽게 일반 서민에게 수용되었는지 등을 살펴보는 것은 전통 문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제주칠머리당영등굿: 국가무형문화재(1980)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09)
조영배, 『북제주군 민요 채보 연구』, 도서출판 예솔, 2002. 조영배, 『제주도 노동요 연구』, 도서출판 예솔, 1992. 조영배, 『한국의 민요, 아름다운 민중의 소리』, 민속원, 2006. 조영배, 『향토민요와 문화』, 도서출판 예솔, 1998. 조영배, 「제주도 민요의 음악양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
조영배(趙泳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