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녀들이 물질하기 위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고 들어올 때 노를 저을 때 부르는 민요
해녀 노 젓는 소리는 제주도 해녀들이 배를 저어 바다로 나갈 때 부르는 일종의 노 젓는 소리이다. 제주도 노동요 중에서 박절 구조로 되어 있는 대표적인 민요의 하나이다. 해녀 또는 남성 두 사람이 노를 저으면,1 나머지 해녀들은 배 위에 모여 앉아 장단을 맞추면서 노래를 부르는데, 노를 잡은 해녀나 별도로 노래를 잘하는 해녀가 선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해녀들이 뒷소리를 부른다. 노를 젓는 동작은 매우 규칙적이면서 강약의 대비가 분명하다. 처음에 비교적 천천히 시작된 노 젓기 동작이 노래의 흥에 따라 점점 빨라지며, 또한 중간중간에 힘을 강조하기 위해 다 같이 발을 쿵쿵 굴리는 동작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노 젓는 상황이 이 민요의 박절과 형식구조나 속도 등을 결정하고 있다.
1)남성과 해녀가 함께 노를 저을 때도 있고, 두 개의 노를 저을 때도 있다(이미지 사진1 참조).
제주도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제주 사람들의 삶은 바다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해안가에 사는 제주 여성들은 물질을 하며 살아왔는데, 이 민요는 물질을 하는 해녀들이라면 누구나 부를 수 있는 노래로 정착되었고, 제주도 해안가 마을 전체에 널리 퍼진 민요가 된 것이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큰 바람으로 인해 파도가 높지 않으면, 해녀들은 물때에 맞춰 바다로 나가 물질을 한다. 가까운 해안가에서 물질할 때는 바로 바다로 들어가서 물질을 하지만, 조금 먼 곳이나 다른 작은 섬으로 갈 때는 배를 타고 가서 물질을 한다. 따라서 이 민요를 부르는 특정한 시기나 특정한 장소는 따로 없다. 제주도 해안가 전역에서 부르며, 물질을 하러 바다로 나갈 때면 항상 부르는 민요이다.
○ 음악적 특징
음계는 제주도의 전형적인 레선법, 레(Re)-미(Mi)-솔(Sol)-라(La)-도(Do)로 되어 있고, 종지는 레(Re) 음으로 한다. 구성음 배열구조는 라(La)-도(Do)-레(Re)-미(Mi)-솔(Sol)-라(La)-도(Do)-레(re)로 되어 있어서 음역이 비교적 넓은 편이다.
박자는 3분할 리듬 2박자, 곧 빠른 6/8박자로 되어 있다. 육지 식 장단으로 말하면 자진모리 장단에 해당하지만, 육지 식으로 장단을 연주하지는 않는다. 해녀들은 물질을 할 때 사용하는 ‘테왁 망사리’, ‘빗창’2 등을 가지고 배에 오르는데, 테왁으로 이른바 ‘둥덩 장단’을 치면서 이 민요를 부른다. 테왁은 전통적으로 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테왁의 겉면을 치면 공명이 생겨 악기 역할을 하였다. 다만 박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세게 치지 않고, 둥덩 장단으로 연주했다.
이 민요는 자연 발성을 사용하며, 육지식 요성(搖聲)이나 꺾는 목, 또는 의도적인 청성(淸聲)이나 탁성(濁聲)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비교적 빠르게 부르기 때문에 잔가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제주도의 토속적인 민요 창법으로 부르는 민요이다.
2) ‘테왁’은 바다에서 물질할 때 의지하는 일종의 튜브와 같은 도구로, 전통적으로는 주로 박으로 만들었다. ‘망사리’는 채취한 해산물을 담는 작은 그물망으로 테왁과 연결되어 있다. ‘빗창’은 해산물을 캐는 쇠로 만든 도구이다.
○ 형식과 구성
이 민요의 악곡 형식은 중층(中層) 구조로 되어 있다. 짧은 두 마디의 가락을 선소리와 뒷소리가 메기고 받으며 전개하지만(뒷소리는 대개 한 마디 뒤에 선소리를 모방하는 형태로 전개된다), 그 짧은 가락이 이 민요의 형식 단위가 되지는 않는다. 메기고 받는 짧은 가락이 모여 한 개의 큰 단락을 이루는데, 이 큰 단락이 이 민요의 음악적 전체 형식이 된다. 이를 도해하면 A[(a+a')+(b+b’).......(d+d)]와 같다. a, b, d 등은 선소리의 두 마디를 나타내며 a′, b′, d′ 등은 한 마디 뒤에서 모방하는 뒷소리를 말한다. 그런데 노랫말의 길이에 따라 또는 가창자의 여흥에 따라 b와 d 사이에 유사한 악구가 추가되어 확대되기도 한다. 다만 전체 단락을 매듭지을 때는 대부분 “이여싸, 이여도 사나” 등의 여음(餘音)을 수반하는 가락으로 매듭지어진다. 이런 식으로 가락을 전개하다가 흥이 오르면 “차라 차라(k)” 등의 1마디의 삽입구를 강하게 메기고 받기도 한다.
이 민요는 제주도 노동요의 전형적인 역(逆) 프라이다크 삼각형의 선율 유형(꼴베는홍애기소리 항목 참조)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처음에 높은 소리를 부른 후 차츰 곡선 운동을 하면서 선율이 하강하여 “이여도 사나 이여도 사나(d)’를 부를 때는 가장 낮은 음을 부르게 된다.
가창 방식은 모방적 메기고 받는 방식(한 마디 후에 선소리 모방)이 가장 대표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뒷소리가 일정한 후렴구(이여도 사나 등)만을 반복하기도 하고, 선소리를 모방했다가 이여도 사나를 부르는 등, 즉흥적으로 전개된다. 이런 특징 때문에 선소리가 서로 교차하여 노랫말이 뒤섞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며, 두 명(또는 그 이상)의 선소리꾼의 각각 따로 선소리를 메기는 등, 그야말로 혼합창의 방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해녀 노 젓는 소리는 제주도 여성들의 삶의 애환을 가장 밀도 높게 표현하고 있는 민요이다. 노랫말은 시집살이 애환, 경제적 어려움, 가족들 간의 갈등, 그리고 노를 젓는 노동이나 물질을 하는 노동의 어려움 등을 주로 표현하고 있다. 이 민요는 위의 형식구조처럼 전개되기 때문에, 노랫말도 복잡하게 엮이면서 전개된다. 노랫말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도해하면 아래와 같다.
해녀노젓는소리의 선소리 노랫말의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a나 b 등의 짧은 가락 단위는 ‘/’로 구분하였고, A의 큰 단락은 행으로 구분하였다(뒷소리는 선소리를 1마디 뒤에서 모방함).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잇 이물에랑 / 이사공아 / 고물에는 / 고사공아 / 물 때 점점 / 늦어나 진다/ 이여도 사나 요 네 상착 / 부러나지면 / 할산에 / 곧은 목이 / 없을소냐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져라 져라[k] / 져라 배겨라[k] 물로나 뱅뱅 / 돌아진 섬에 / 우리 수덜 / 저 바당에 / 들어가서 / 물질허네 / 이여도 사나 혼 푼 두 푼 / 벌어논 금전 / 사랑허는 / 낭군님 용돈에 / 다 들어간다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착 손에 / 테왁을 심엉 / 착 손에 / 빗창을 심엉 / 질 두질 / 들어 가니 / 전복을 딸까 / 구쟁길 딸까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앞이 은 / 서낭님아 / 우리 수덜 / 가는 디나 / 물건 좋은 / 여끗으로 / 득달허게 / 해여나 줍써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요 물 아래 / 은과 금은 / 꼴렸건만 / 높은 낭게 / 욜매로구나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우리 어멍 / 날 날적에 / 무신 날에 / 날 낫던가 / 일천 눈물 / 일천 시련 / 다 지와신고 / 이여도 사나 / 이여도사나 우리 배에 / 선도사공 / 뱃머럭만 / 구쟁기 생복 / 좋은 딜로 / 득달허게 / 노아나 줍서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차라 차라 / 쿵쿵 지어라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잘잘가는 / 참나무 배냐 / 솔솔가는 / 소나무 배냐 / 오동나무 / 요 배로구나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우리나 섬에 / 제주도에 / 가이나 없는 / ᄌᆞᆷ녀덜아 / 비참헌 / 살림살이 / 요만하민 / 넉넉하다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물에 들민 / 숨비질 소리 / 산엔 가민 / 우김새 소리 / 가름엔 들민 / 하기새 소리 / 귀에 쟁쟁 / 울리엄서라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어떤 사름 / 팔제 조앙 / 고대광실 / 높은 집의 / 진 담뱃대 / 물고 앉곡 / 해녀 팔젠 / 무신 거라 / 혼백 상지 / 등에 지곡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총각 차라 / 물에 들게 / 양석 싸라 / 섬에 가게 / 우리 선관 / 가는 디랑 / 메역 좋은 / 여끗으로 / 놈의 선관 / 가는 디랑 / 감테 좋은 / 홍동개로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요넬젓엉 / 내어딜가리 / 진도바당 / 골로 가게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저 산천에 / 풀입새는 / 해년마다 / 포릿포릿 / 젊어나오고 / 이내몸은 / 한해 두해 / 소곡소곡 / 다 늙어진다 / 이여도사나 / 이여도사나 놈의 고대 / 애기랑배영 / 허리지당 / 배지당말라 / 열두심배 / 설랑 거령 / 저서나 보라 / 이여도사나 / 이여도사나 이물에는 / 이사공아 / 고물에는 / 고사공아 / 허리띠밋디 / 화장허야 / 물떼점점 / 늦어나 진다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잘잘가는 / 참나무배가 / 솔솔가는 / 소나무배가 / 우리배는 / 매새끼 / 나는 듯이 / 둥끗둥끗 / 잘도나간다 / 이여도사나 / 이여도사나 ᄒᆞᆫ착손에 / 태왁을메고 / ᄒᆞᆫ착손에 / 빗창심엉 / ᄒᆞᆫ질두질 / 열두질을 / 들어간보난 / 저싱도가 / 분명허다 / 이여도사나 / 이여도사나 들어갈적에 / 비질소리 / 나올적에 / 내한숨이여 / 이여도 사나 / 이여도 사나 서룬어멍 / 날날적에 / 가시나무 / 몽고지에 / 손에굉이 / 박을려고 / 날납디가 / 이여도사나 / 이여도 사나
해녀 노 젓는 소리는 제주도를 대표하는 토속민요이다. 더군다나 섬이라는 자연 지리적 환경을 감안하면, 제주인들의 삶의 정서가 가장 밀도 높게 나타나는 민요라고 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 볼 때, 제주의 토속적인 음악적 특징(음계나 창법 등)이 잘 드러나고 있고, 노랫말도 제주인의 일상의 삶과 거친 바다 일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주문화의 토속성이 잘 드러나는 민요라 할 수 있다. 특히 제주도 해녀 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2016년)으로 지정되어 있는 만큼, 해녀와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이 민요는 무형유산적인 가치 면에서 매우 큰 의의(意義)를 가지고 있다 할 것이다.
제주해녀문화: 국가중요어업유산(2015) 해녀노래: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1971) 제주해녀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2016)
제주민요, 제주 노동요, 제주 어업요, 제주토리
조영배, 『북제주군 민요 채보 연구』, 도서출판 예솔, 2002. 조영배, 『제주도 노동요 연구』, 도서출판 예솔, 1992. 조영배, 『한국의 민요, 아름다운 민중의 소리』, 민속원, 2006. 조영배, 「제주도 민요의 음악양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조영배(趙泳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