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옹타령
제주에서 자생한 통속민요 중 가장 대표적인 민요로 후렴구를 따라 이야홍타령이라고 한다.
제주도 통속민요들은 대부분 육지 지방에서 유입되어 변형된 것들이다. 그러나 이야홍타령은 제주 지역에서 자생한 민요로 제주적인 정서를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제주 통속민요이다.
이 민요는 제주도 제주시의 동쪽 지역인 조천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망건을 짜면서 많이 불렀다. 이 지역 여성들은 망건을 짤 때, 오돌또기, 너영나영 등 육지 지방에서 유입된 민요나 사당패소리를 자주 불렀는데, 이 과정에서 육지 가락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가락의 ‘이야홍타령’이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음악 양식이 육지 양식과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노랫말이 대부분 제주 풍광을 표현하고 있고, 음악도 육지 소리와 직접 연결되는 소리가 없는 점으로 보아, 이 민요는 육지 지방의 특정한 가락이 전이되어 정착한 민요라기보다는, 망건 짜는 일을 하는 과정에서 육지 음악 양식을 자연스럽게 차용하고, 제주의 여러 풍광을 표현한 노랫말을 붙여서 새롭게 만들어진 민요로 파악되고 있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이야홍타령은 제주도 제주시와 제주시 동쪽의 조천ㆍ함덕 등에서 망건 등을 짤 때 부르는 민요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축제나 놀이 상황에서 부르는 민요로 사용되면서, 제주도 전역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특정한 연행 시기나 연행 장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 음악적 특징
이야홍타령의 음계 구조는 사뭇 독특하다. 일종의 이조(移調) 현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반부는 on F의 ‘솔(sol)-라(la)-도(do′)-레(re′)-미(mi′)’ 솔선법에서 후반부는 이조(移調)되어 on C의 ‘솔(sol)-라(la)-도(do′)-레(re′)-미(mi′)’ 솔선법으로 바뀌고 있다. 음의 반음교차를 통하여 음계가 변하고 있다. 발생 지점은 선소리의 마지막 구절인 “그렇고 말고요” 부분이다. 따라서 이 민요의 ‘솔(sol)-라(la)-도(do′)-레(re′)-미(mi′)-파(fa′)-솔(sol′)-라(la′)-도(do″)’라는 구성음 배열 구조를 보면 그 안에 반음을 포함하고 있고, 다른 민요들에 비해 음역 또한 꽤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지는 이조(移調)가 된 다음의 가장 낮은 솔(sol) 음으로 종지된다.
박자는 9/8박자로 부르기도 하지만, 제주적인 2분할 리듬이 혼합되어 3/4박자로 부르면서 3분할 리듬을 포함하는 혼합 리듬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장단은 육지 식으로 하면 세마치장단에 해당하지만, 제주도 다른 통속민요들과 마찬가지로 제주식의 둥덩거리는 이른바 ‘둥덩장단’으로 반주되는 경우가 많다. 장구 반주로 연주되기도 하지만, 전통적으로는 허벅(너영나영 항 참조) 장단에 맞추어 불렀다. 경기민요 식의 요성(搖聲)이 사용되며(특히 on C의 솔(sol′) 부분에서 자주 나타남), 제주적인 세요성(細搖聲)도 곳곳에서 사용된다.
○ 형식과 구성
이야홍타령은 불규칙한 두 도막 18마디의 가요형식으로 되어 있다. 형식 구조를 풀어 보면, 선소리[A(4)+B(4)+C(4)]와 후렴 [k(2)+C(4)]이 합쳐진 구조로 되어 있다. 후렴구는 가창자에 따라 반복하는 경우와 반복하지 않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선소리와 후렴의 C부분 뒤 두 마디는, 가창자에 따라 한 마디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C부분은 4마디의 경우와 3마디의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이야홍타령 역시 전형적인 메기고 받는 방식(12마디 선소리 + 6마디 후렴)으로 부른다. 선소리를 여러 가창자가 번갈아 가면서 부르기도 한다.
제주도 다른 통속민요들은 대부분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를 노래하지만, 이 민요는 주로 제주도의 자연 풍광을 표현하고 있다.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지만, 육지에서 전이된 통속민요의 노랫말을 가끔 끼워 넣는 정도이다. 인생무상에 관한 내용도 종종 나온다. 1절 노랫말은 고정적으로 나오며, 2절과 3절의 노랫말도 대체로 고정적이다. 그러나 그 밖의 노랫말은 가창자에 따라 그 순서가 자유롭게 바뀐다. 이야홍타령의 1절 노랫말은 “이야홍 타령에 정 떨어졌구나 이야홍”이다. 제보자 대다수가 “정 떨어졌구나”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이 노랫말을 그대로 적용하면, ‘이야홍 타령을 부르면서 정(情)이 떨어졌다’는 뜻이 된다. 더군다나 그렇게 정이 떨어졌다는 것을 ‘그렇고 말고요’라고 강조하는 노랫말이 된다. 그런데 제주도 풍광을 자랑스럽게 노래하면서 ‘정이 떨어졌다’고 노래하는 것은 노랫말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노랫말은 “이야홍 타령에 정(情) 들어졌구나 이야홍, 그렇고 말고요”라고 할 때 가장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따라서 현재 부르고 있는 “정(情) 떨어졌구나”는 ‘정(情) 들어졌구나’의 와음(訛音) 현상일 가능성이 높다. 이야홍 타령 노랫말의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후렴구)
이야홍 야~홍 / 그렇고 말고요
야~홍 이야홍 / 다 를 말이냐
이야홍 타령에 / 정 떨어졌구나 이야홍 /그렇고 말고요
할산 상상봉 / 높고도 높은 봉 이야홍 / 백록담이라
성산 일출봉 / 해 뜨는 것도 귀경 좋다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사라봉 뒷산에는 / 해 지는 것도 구경 좋다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고량부 삼성이 / 나오신 그 곳은 이야홍 / 삼성혈이라
용연야범의 / 노 젓는 뱃사공 이야홍 / 처량도 허구나
서귀포 칠십리 / 해녀가 놀고요 이야홍 / 천지가 높도다
슬엔 감귤 빗 / 할산 생이 소리 이야홍 / 신선의 나라여
저실엔 돔박꼿 피는 곳 / 비바리 노래 소리 이야홍 / 헌 나라라
서산에 지는 해는 / 지고 싶어 졌건만 이야홍 / 정 떨어지는구나
앞강에 뜬 배는 / 님 실엉 갈 배여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뒷강에 뜬 배는 / 날 데령 갈 배여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한양천리 돌아가신 / 우리네 성님아 이야홍 / 날 데령 가거라
사름이 살면은 / 멧벵년 사나요 이야홍 / 잘 살아야 팔십이여
산엔 목동의 노래 / 바당엔 해녀덜 소리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무정 유정헌 / 사공의 돗이여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호남 짚은 밤 / 사공의 뱃놀래 이야홍 / 용연야범이 아니냐
서해 중 지는 해 / 황금과 구나 이야홍 / 사봉낙조라
요 멩긴아 / 몾아나 지어라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퍼렁헌 바당엔 / 메기 춤추고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휘파람 소리는 / 수덜 숨비 소리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천지연 밤에 / 은어 노는 귀경이 이야홍 / 좋기도 좋구나
삼매봉 안고 도는 / 외돌게 절경이 이야홍 / 좋기도 좋구나
절부암 절벽에 / 부서지는 절 소리 이야홍 / 처량도 허구나
동해 중 뜨는 해 / 야광주 뜨난 이야홍 / 성산일출이 아니가
고내봉 연화못에 / 시름 파는 강태공 이야홍 / 씰씰도 허구나
산굼부리 사냥터에 / 노리가 뛰어 놀고 이야홍 / 좋기도 좋구나
월대의 노송아래 / 선유(船遊)허는 놀이가 이야홍 / 좋기도 좋구나
강정내 진 소에 / 은어 노는 귀경 좋다 이야홍 / 그렇고 말고요
서귀포 칠십리 / 쌍폭수 좋구나 이야홍 / 천지와 정방이라
이야홍 타령은 그 생성의 측면에서 보면, 자생한 제주도 통속민요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며, 음악적으로 보면, 음역이 비교적 넓고, 정형적인 틀에서 벗어난 형식 구조와 또한 이조(移調) 현상이 나타나는 민요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또한 노랫말도 사랑 이야기가 대부분인, 제주도 다른 통속민요에 비하여, 제주도 풍광을 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육지 음악 양식을 차용하고 있지만, 제주도 정서를 가장 잘 드러내고 있는 민요인 만큼, 육지 양식과 제주 양식의 융합이라는 측면에서 활용 가능성이 다양한 민요라는 데 의의가 크다.
제주시 창민요: 제주도 무형문화재(2009)
조영배, 『태초에 노래가 있었다』, 민속원, 2009. 조영배, 『한국의 민요, 아름다운 민중의 소리』, 민속원, 2006.
조영배(趙泳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