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오돌독〉과 구별하기 위해 〈제주 오돌독〉이라고도 함
제주도 통속민요를 대표하는 민요로, 도내외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민요
오돌또기는 본래 육지지방의 소리였으나, 그 가락이 제주도로 유입된 후, 제주적인 음악 양식으로 변형되어 정착한 민요 중 하나로, 제주도를 대표하는 민요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제주도 자생민요가 아니기 때문에 제주도 통속민요를 대표하는 민요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돌또기는 육지지방의 판소리 《흥부가》라든가 《봉산탈춤》과 《수영야류》 등에 사용되었던 음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음악이 여러 경로를 통하여 제주도에 유입되었고, 그 후 제주도 현지화하여 정착하였다. 따라서 이 민요는, 제주도에서 자생한 〈해녀노젓는소리〉, 〈밭 밟는 소리〉 등의 민요와는 그 음악적 양식이나 사설의 경향이 사뭇 다르며, 육지 지방의 영향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
○ 연행시기 및 장소 제주도 오돌또기는 제주도의 전통축제나 놀이 상황에서 자주 불렀던 민요다. 이 민요는 제주목(濟州牧)이 있었던 제주시 성내(城內), 정의현이 있었던 성읍 지역, 대정현이 있었던 대정 지역에서 많이 불렀다. 또한 제주시 동쪽 지역(화북ㆍ삼양ㆍ조천ㆍ함덕 등)에서는 망건이나 탕건 등을 짤 때 여성들이 모여 일하면서 이 민요를 함께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제주도 전역에서 특정 시기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널리 부르고 있다. ○ 음악적 특징 음계는 레(re)선법, 곧 ‘레(re)-미(mi)-솔(sol)-라(la)-도(do′)’로 되어 있으나 위의 도(do′) 음은 반음교차(半音交叉)하여 시(si)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구성음은 ‘라(la)-도(do′)-레(re′)-미(mi′)-솔(sol′)-라(la′)-시(si′)’, 또는 ‘라(la)-도(do′)-레(re′)-미(mi′)-솔(sol′)-라(la′)-도(do″)’로 배열되어 있다. 아래 도(do′) 음은 반음교차하지 않는다. 종지음은 가운데 레(re′) 음이다. 박자는 6/8박자 또는 12/8박자로 표기할 수 있다. 노랫말의 단락을 고려하면, 12/8박자보다 6/8박자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군다나 12/8박자 표기는 굿거리장단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본래 육지식의 장단(예컨대 굿거리ㆍ세마치ㆍ중모리 등)이 사용되지 않는 제주도 민요의 경우에는, 12/8박자보다 6/8박자 표기가 더 바람직하다. 장단은 육지식으로 하면 굿거리에 해당하지만, 전통적으로는 제주도 전통 장단인 ‘둥덩 장단’(너영나영 항목 참조)에 의해 부른다. 경기민요 식의 요성(搖聲)이 나오며(특히 후렴구의 ‘둥그대’ 하는 부분), 잔가락 처리가 비교적 잦다. 다른 부분의 표현도 경기민요 창법과 비슷하다. ○ 형식과 구성 오돌또기는 [A(4)+B(4)]+[C(4)+B(4)])라는 전형적인 두 도막 16마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선소리 [A]의 시작 부분은 들어내는 소리와 평으로 내는 소리가 사용된다. 1절은 대부분 평으로 내고 2절은 대개 들어내며, 3절 이후에는 자유롭게 교차한다. 이 민요도 전형적인 메기고 받는 방식(8마디 선소리 + 8마디 후렴)으로 부른다. 장구 반주에 의해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제주도의 독특한 생활 용구인 허벅(물을 길어 나르는 옹기의 일종, ‘너영나영’ 항 참조)을 치면서(이를 제주에서는 허벅장단이라고 함) 부르기도 한다. 허벅은 강약을 들쑥날쑥 변화시키지 않고 등가적으로 연주하는 그야말로 ‘둥덩장단’ 치기에 적격인 악기(생활용구)이다. 선소리는 여러 사람이 교차하며 부르기도 한다.
오돌또기 노랫말은 육지에서 유입된 것으로 파악되는 ‘남녀 간의 사랑’과 관련된 내용이 많지만(1절도 육지지방에서 유입된 노랫말), 제주도의 풍광과 관련된 사설도 많다. 한라산과 영주십경과 관련된 제주의 독특한 풍광들, 그리고 제주 바다와 관련된 내용이 자주 나오며, 이런 노랫말들이 사랑 이야기와 연결되기도 한다. 사랑과 관련된 노랫말은 제주도의 다른 통속민요와 교차가 자주 발생한다. 1절과 2절의 노랫말은 지역이나 가창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거의 고정적으로 그 자리에 배치되며, 3절 이하의 노랫말은 순서가 자유로우며, 가창자나 지역에 따라 자유롭게 생략ㆍ변형ㆍ추가된다. 이 노래의 1절 노랫말에 나오는 ‘오돌또기’라는 말은, 아직까지 그 의미가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몇 가지 해석 가능성은 있다.1 제주도 오돌또기 노랫말의 예는 아래와 같다. (후렴)
둥그대 당실 둥그대 당실 여도 당실 연자 버리고
달도 밝고 내가 머리로 갈까나(이하 후렴 동) (선소리)
오돌 또기 저기 춘향 나온다
달도 밝고 내가 머리로 갈까나
할산 중허리에 시랑게 든 숭 만 숭
서귀포 앞바당엔 해녀가 든 숭 만 숭
지주야 할산엔 고사리 밧도 좋구요
산지포 저 돗배의 뱃고동 소리도 좋구나
산엔 가며는 목동이 놀고요
바당에 가며는 수덜이 논단다
성산포 일출봉 해 뜨는 구경도 좋고 좋고
제주시 사라봉 해 지는 구경도 좋구나
돌아진 뱅뱅 물든 섬에 물질허멍 살아도
에루화 님을 만나 둥그데 당실 좋구나
제주도 한라산에 노루가 뛰놀고
서귀포 강정 내엔 은어 떼가 뛰논다
이 떳네 이 떳네 보름달이 떴구나
제주 앞 바당에 얼화 보름달 떴구나
서방님 보고서 에리화 인사를 못해서
치메 끗 입에 물고 입만 방긋 한단다
을 타고 꼿밧데 들었더니
발 자국마다 단내만 나는구나
청사 초롱에 불 밝혀 들고
춘향의 방으로 감돌아 든다
가면 가고요 말면 말았지
집세기 신고서 아이구 시집을 갈소냐
무사 또 와수광 무사 또나 와수광
울고나 가실 질을 무사 또나 와수광
옛날의 그 밤은 따뜻도 하더니
오늘 이 시간은 쓸쓸도 허구나
앞마 당에 에리화 남사당 놀고요
뒷마 당에 에리화 여사당 논단다
오라고 헌 디는 야밤에 가고요
동네야 술집엔 얼화 대낮에 가는구나
임 실러 갈 적에는 한 두 돗을 달고요
날 실러 올 적에는 아이구야 반 돗만 달았구나
간다네 못 간다네 니가 얼마나 울었느냐
정 궂인 바당에 연락선만 떳구나
한라산 중허리에 몰렸던 구름도
름만 불면은 간 곳이나 없구나
개야 개야 검고 검은 검둥 개야
밤 사름 보거든 짖지나 말어라
산이 높아야 물속도 짚고 짚지
그마헌 여자 슴 얼메나 짚을 소냐
우리가 살며는 멧 벵 년 살소냐
아무리 잘 살아야 단 팔십 이로다
바당의 물결소리 삼천만에 들리고
부모님 말씀 소린 내 귀에 쟁쟁 들린다
서귀포 훈련소가 에리화 얼메나 좋아서
정든 아내를 두고 에리화 나 여기 왔던가
저기 저 은 목동의 노래요
사당에 가며는 정승의 노래로다
제 집 문등에는 에리화 디에꼬 놀고요
주재소 문등에는 순사 나리가 논단다
작년 튼 숭년에도 에리화 장가를 갔건만
올해 튼 처녀 풍년에 에리화 장가도 못가네
목포의 유달산엔 먹돌도 많고요
제주의 한라산엔 약초나무도 많구나
름이 분다네 정말 큰 름 불엄시냐
드는 게 름이고 아이고 나는 게 큰 름
비가 온다 비가 온다 이게 비가 아니로구나
우리네 간장 썩은 아이고 피눈물 이로다
신작로 질 앞에는 에리화 인물색 좋다마는
연반물 청치메가 에리화 날 녹여 간단다
원수로다 원수로다 동남풍이 원수로다
은가락지 금가락지 에리화 다 없어 지누나
릴리리 모레 글피 저녁 날은 많고 많아
사람의 섬섬간장 에리화 다 녹여 간단다
성산포 앞바당에 숭어가 뛴 숭 만 숭
청촐 왓디는 생이 뛰고야 노는구나
돈 닷돈 보고서 삼밧듸 들엇더니
물멩지 단 속곳 다 찢어 졌구나
할산 중허리에 눈이 득 싸여도
느영 나영은 봄철이로 구나
청천 하늘에 벨도 많고요
요 내야 슴엔 수심도 많구나
나 홀로 앉아서 탕건을 할랴 허니
님 생각 그리워서 눈물만 글랑 글랑
오르며 내리며 기침 소리
아주망 품속에 이나 든 숭 만 숭
청사 초롱에 불 밝혀 들어라
잊었던 낭군이 다시 돌아 온다
할산 초목은 나날이 젊아 가고
우리야 청춘은 에리화 늙어만 가는구나
도 고 멩랑 헌디
춘양이 얼굴만 아롱아롱 거린다
성산 일출봉에 해 뜨는 거 곱다마는
사봉낙조 해 떨어지면 우리 갈 곳이 막연이여
1) 조영배, 『태초에 노래가 있었다』, 민속원, 2009. 99쪽 이하 참조.
오돌또기는 제주도 현지화하는 과정에서 음악이나 노랫말에서 모두 제주 양식과 육지 양식이 혼합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육지 소리가 제주 양식과 결합하여 새롭게 변형된, 매우 중요한 표본이 되는 민요이다. 육지 지방의 《흥부가》, 〈가루지기 타령〉, 경기민요 〈오돌독〉 등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아양금보』와 신재효 창본에 사당패소리로 기록되어 있는 오돌또기, 그리고 《봉산탈춤》이나 《수영야류》 등 탈춤연희에 사용된 오돌또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형성 배경을 놓고 볼 때, 이 민요는 문화 전파와 문화 변이 현상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문화의 융합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오돌또기의 정확한 의미가 밝혀지지 않고 있는 점은 과제이다.
제주시 창민요: 제주도 무형문화재(2009)
조영배, 『태초에 노래가 있었다』, 민속원, 2009. 조영배, 『한국의 민요, 아름다운 민중의 소리』, 민속원, 2006.
조영배(趙泳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