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영나영, 느냥나냥, 느녕나녕
제주어로 ‘너하고 나하고’라는 의미를 가진 제주도 통속민요 중 하나
너영나영은 제주시·성읍·대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옛 관청이 있던 지역과 육지지방과 바다 교역이 많았던 조천 지역을 중심으로 불렀던 민요지만, 지금은 제주 전역에서 널리 부르고 있는 민요이다.
너영나영은 음악이나 사설 면에서 육지 지방의 사당패소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론되나, 직접 관련되는 육지 민요는 없다.
○ 연행 시기 및 장소 너영나영은 제주도에서 축제나 놀이 상황에서 주로 부르는 민요이다. 특정한 연행 시기나 특정한 연행 장소가 따로 있지는 않다. 다만 제주시 동쪽의 조천 지역에서는 ‘오돌또기’나 ‘이야홍 타령’처럼, 여성들이 집안에서 망건 짜는 일을 하면서 불렀다. ○ 음악적 특징 너영나영은 제주도의 통속민요 중에서 가장 단순명쾌한 노래이다. 이 민요의 음계는 ‘도(Do)-레(Re)-미(mi)-솔(Sol)-라(La)’ 5음 음계이며, 구성음 배열구조는 ‘솔(Sol)-라(La)-도(Do)-레(Re)-미(Mi)-솔(Sol′)-라(La′)-도(Do′)’이다. 종지음은 최저 음에서 4도 위의 도(Do)이다. 박자는 9/8박자로 되어 있으나, 제주에서는 2분할 리듬과 3분할 리듬이 섞여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3/4박자로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지 장단으로 보면 세마치 장단에 해당하지만, 제주도의 전통적인 장단치기로 말하면, 이른바 ‘둥덩 장단’으로 반주하는 경우가 많다. ‘둥덩 장단’은 ‘둥덩 둥덩 둥덩 둥덩’하고 강약의 차이를 등가적(等價的)으로 연주하는, 제주도의 독특한 장단을 말한다. 이 민요는 단장(短長) 형의 리듬과 당김음, 3+2분할의 비대칭 분할 리듬이 특징적이다. 경기민요 식의 요성(搖聲)이 나오며, 전반적인 창법은 경기민요와 비슷하다. ○ 형식과 구성 두 도막 16마디의 가요형식, ‘[A(4)+B(4)] + [A(4)+B(4)])’로 되어 있다. 선소리와 후렴이 동일한 가락으로 메기고 받는다. 대부분 후렴을 먼저 부른 후 본 사설(辭說)을 시작한다. 특정한 반주 양식은 따로 없으나, 일반적으로 장구 반주로 부르거나, 제주도의 독특한 생활 용구인 허벅(제주에서 물을 길어 나르는 옹기의 일종)을 사용하여 장단을 치면서(이때 ‘둥덩 장단’이 사용됨) 부른다.
1) ‘둥덩 장단’은 ‘둥덩 둥덩 둥덩 둥덩’하고 강약의 차이를 등가적(等價的)으로 연주하는, 제주도의 독특한 장단을 말한다.
후렴구인 “너영 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로구나”이다. 후렴을 먼저 부른 후에 시작되는 선소리 노랫말에는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가 가장 많이 나오며, 제주의 풍광이나 육지와 관련된 사설도 종종 사용된다. 선소리 중, “아침에 우는 새는 배가 고파 울고요 저녁에 우는 새는 님이 그리워 운다”는 노랫말은 항상 1절로 고정되어 부르지만, 그 밖의 노랫말의 순서는 가창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노랫말(제주어)의 예는 아래와 같다.2 (후렴)
너영 나영 두리둥실 놀고요
낮에 낮에나 밤에 밤에나 상사랑이 로구나
(선소리)
아침에 우는 새는 배가 고파 울고요
저녁에 우는 새는 님이 그리워 운다
할산 상봉에는 실안개만 돌고요
용머리 바당에는 어스름 만 비치네
옛날에 탐라국엔 멩승지도 많고요
할산 백록담엔 선녀들만 논다
청청한 하늘에 벨도 많구요
이 내 가슴에는 수심도 많다
니 년이 잘 나서 일색이 아니라
내 눈이 어두워서 한강수가 된다.
높은 산 상상봉 외로운 솔남은
누구를 믿고서 왜 홀로 앉았나
가면 가구요 말면은 말았지
집세기 신고서 시집을 갈소냐
백록담 올라갈 땐 누이동생 하더니
할산 내려오니 서방각시가 되노라
앞집의 처녀는 씨집을 가는데
뒷집의 총각은 목을 매레 간다
오라고 헌 디는 밤에나 가고요
동네의 술집에는 해 낮이 간다
가는 님 허리를 두리담쑥 안고서
가지를 말라고 감돌아 든다
갈 적 올적에 젓눈질 말고요
내 속만 풀려고 말만도 말아요
간다네 못 간다네 얼마나 울었나
정거장 마당이 한강수가 되었네
노다가 가세나 자다가 가세나
저 이 지도록 노다가 가세
2) 많은 사설을 알고자 하거나, 제주어 특성상 번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참고문헌에 제시된 조영배의 제주도 민요 관련 저술을 참고하기 바란다. 다른 민요도 이와 같다.
이 민요는 남녀 간의 짙은 사랑 이야기가 많고, 또한 육지지방 통속민요의 사설들이 많이 차용되고 있다. 음악적으로는 단순하고 흥겹게 부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너영 나영(너하고 나하고)’이라는 말의 의미처럼, 많은 사람이 어울려 노래할 수 있는 독특한 성격의 민요이다. 사당패소리에 큰 영향을 받은 민요라 할 수 있지만, 제주에 정착되면서, 제주와 관련된 노랫말과 남녀의 사랑 이야기가 잘 어우러진 민요라 할 수 있다.
제주시 창민요: 제주도 무형문화재(2009)
조영배, 『태초에 노래가 있었다』, 민속원, 2009. 조영배, 『한국의 민요, 아름다운 민중의 소리』, 민속원, 2006.
조영배(趙泳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