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모궁제례악(景慕宮祭禮樂) 중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아헌(亞獻)과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종헌(終獻)에서 헌관(獻官)이 퇴장하는 인출(引出)에 사용하던 음악과 노래(악장)
휘유곡(徽柔曲)은 조선 제22대 왕 정조(正祖)의 생부(生父)인 사도세자(思悼世子)와 그 부인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의 신위(神位)를 모신 경모궁(景慕宮)의 제례에서 다섯 번째 절차인 아헌과 여섯 번째 절차인 종헌의 인출 절차에 사용되는 음악과 악장(樂章)이다. 악장은 사언 사구(四言 四句)이며, 음악은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정대업(定大業)》 중 〈영관(永觀)〉을 축소하여 만들었다. 악현(樂懸)은 헌가(軒架)를 쓰고, 일무(佾舞)는 무무(武舞)인 《보융은지무(報隆恩之舞)》를 추었다.
정조는 즉위 원년(1776) 생부인 사도세자의 사당을 수은묘(垂恩廟)에서 경모궁(景慕宮)으로 이름을 바꾸고 개축을 명하였으며, 경모궁제례에 사용하기 위한 경모궁제례악을 제정하였다. 경모궁제례악 중 휘유곡의 악장은 대제학(大提學) 이휘지(李徽之, 1715~1785)가 사언팔구(八句)로 처음 지었으며, 순조 9년(1809) 대제학 남공철(南公轍, 1760~1840)에 의하여 현재와 같은 사언 사구로 개작되었다. 음악은 종묘제례악의 《정대업》 중 〈영관〉을 축소하여 만들었다. 휘유곡의 악보는 『속악원보(俗樂源譜)』 권3과 권6, 『악장요람(樂章要覽)』 등에 수록되었고,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오선악보』에 총보와 악기별 악보가 실렸다. 현재 연주되는 휘유곡은 『속악원보』 권6, 『악장요람』에 수록되어 있는 악곡과 유사하며,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에 수록되어 있는 악곡과 거의 동일하다.
○ 역사 변천 과정
최초로 경모궁제례를 거행할 때, 문무(文武)와 무무는 여섯 명씩 여섯 줄로 늘어서서 36명이 육일무(六佾舞)를 추었다.
고종(高宗) 때인 광무(光武) 3년(1899)에 사도세자와 홍씨가 장조(莊祖)와 헌경왕후(獻敬王后)로 추존(追尊)되고 신위가 종묘(宗廟) 영녕전(永寧殿)으로 옮겨지면서 경모궁제례는 더 이상 거행되지 않았다.
현재 공연에서 연주되는 휘유곡은 《계희운지악(희운지악)》인 <오휴곡>, <진색곡>, <유길곡>과 진찬악인 <혁우곡>, 《보융은지악(융은지악)》의 <독경곡>, <휴운곡>에 이어 《보융은지악(융은지악)》의 마지막 악곡으로 연주된다. 전체 공연에서는 <휴운곡>에 이어 일곱 번 째로 연주되는 셈이다.
○ 악대
경모궁제례악의 악대(樂隊)는 당상(堂上)의 등가(登歌)와 당하(堂下)의 헌가로 나뉘어 배치되었고, 절차에 따라 헌가와 등가가 번갈아 연주하였다. 그중 휘유곡은 헌가가 연주하였다.
경모궁제례악을 감상용으로 연주할 때 휘유곡은 편종, 편경, 축, 어, 태평소, 방향, 아쟁, 대금, 당피리, 해금, 장고, 진고, 박 등의 악기 구성으로 연주한다.
○ 춤
휘유곡에 추는 일무는 무무인 《보융은지무》이다. 36명 중 12명은 목검(木劍), 12명은 목창(木槍), 12명은 궁시(弓矢; 활과 화살)를 들고 춘다.
오늘날 감상용으로 연주할 때는 일무는 추지 않는다.
○ 음악적 특징
경모궁제례악에서 휘유곡은 〈독경곡(篤敬曲)〉, 〈휴운곡(休運曲)〉의 두 곡과 함께 《보융은지악(報隆恩之樂)》으로 묶인다. 이 중 휘유곡은 《정대업》 중 〈영관〉을 축소하여 만들었다.
휘유곡은 《정대업》과 같은 황(黃:C4)ㆍ협(夾:E♭4)ㆍ중(仲:F4)ㆍ임(林:G4)ㆍ무(無:B♭4)의 5음 음계 황종 계면조이다.
(1) 『경모궁의궤』(1783)에 수록된 이휘지의 휘유곡 악장(사언 팔구) 오호불현(於乎不顯), 아아! 드러나지 않았는가 휘유양덕(徽柔養德). 온유하여 아름답게 하고 덕을 기르셨도다. 정위소양(正位少陽), 소양(세자)의 자리에서 바르게 임하시어 부존태극(扶尊太極). 태극(주상)의 지존의 자리를 도우시었다. 내격양양(來格洋洋), 신령께서 성성하게 이르시어 재융재척(載降載陟). 오르고 내리시는구나. 간간자천(衎衎自天), 하늘도 기뻐하시어 영석하복(永錫遐福). 영원토록 큰 복을 내리리. (2) 『금릉집(金陵集)』(1815)에 수록된 남공철의 휘유곡 악장(사언 사구) 오후불현(於乎不顯), 아아! 드러나지 않았는가 휘유양덕(徽柔養德). 온유하여 아름답게 하고 덕을 기르셨도다. 기향아성(旣享我誠), 우리의 정성을 이미 흠향하시었으니 신강하복(申降遐福). 거듭 큰 복을 내리소서. - 국립국악원 제례악 깊이듣기 중 경모궁제례악
경모궁제례악은 국왕으로서 정조의 음악관과 생부를 추모하는 마음이 담긴 악가무(樂歌舞)이며,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 초기까지 제례악의 양상과 변화를 보여 주는 무형문화유산이다. 경모궁제례악의 아홉 번째 및 열두 번째 곡인 휘유곡은 《정대업》 중 〈영관〉을 축소하여 만든 것이어서, 기존 악곡에서 새로운 악곡을 만드는 한국전통음악의 전통적인 창작 방식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경모궁의궤』『금릉집』『속악원보』『악장요람』『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정조실록』
국립국악원, 『편종·편경·방향 정악보』, 2016.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김종수, 「경모궁 제례악 연구」, 『동양음악』 18, 1996. 김종수·이숙희, 『역주 시악화성』, 국립국악원, 1996. 서인화, 『역주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국립국악원, 2009. 송지원, 『정조의 음악정책』, 태학사, 2007. 임미선, 『조선조 궁중의례와 음악의 사적전개』, 민속원, 2011. 장사훈, 『증보 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1986.
홍순욱(洪淳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