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무를 출 때 착용하는 의례용 치마
처용무를 연행 할 때 무용수가 착용하는 상은 의례용 복식에 착용되는 상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쪽 가장자리의 상(裳), 가운데 부분의 첨(幨), 앞부분에 부착된 영(纓)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裳)은 예복용 옷으로 남녀 모두 예복차림을 할 때 일습 안에 포함되었다. 제복ㆍ조복 등의 대례복에 해당하는 예복의 일습에 포함되는데 대게 의와 중단 사이에 착용한다. 조선시대 남자 예복인 상은 주로 7폭으로 구성되는데 전3폭ㆍ후4폭으로 앞과 뒤가 분리된 형태이다. 앞ㆍ뒤 상을 각각 만들어 허리에 연결하여 만든다. 상에는 주름을 잡는데 시대에 따라 주름의 간격이나 주름의 방식 등에 차이가 있다. 여자예복 상으로 ‘웃치마’, ‘전행웃치마’ 등이 있는데 전행웃치마는 왕비나 왕대비 등 왕실 여인들이 대례복을 입을 때 착용했던 치마로 허리에 주름을 잡은 세 자락을 연결한 것이다. 착용하면 뒤로 위치하게 될 좌우의 두 자락은 바닥에 끌릴 정도로 긴 길이이며, 앞자락은 바닥과 가지런할 정도의 길이로 만들었다. 전행웃치마에도 금박장식이 되어 있다. 웃치마는 길이와 폭이 좁게 만들어 겉치마위에 앞치마처럼 둘러 입는 여성용 예복 상이다. 밑단이 무릎 부분에 위치하는데 금박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궁중정재에서 여기(女妓)들이 청치마 위에 짧은 홍상을 착용하기도 하였다. 것이 궁중기록화에서 확인된다.
처용무의 처용무복이 공식적인 의례복의 역할을 하므로 처용무복에도 상이 포함되어 있다. 처용무복의 상에는 첨(幨: 휘장)과 영(纓: 끈) 등이 달려 위엄과 화려함을 더해준다. 처용무복의 상은 시대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으며 각 부분의 크기와 비율에서만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악학궤범』을 기준으로 상을 만들어 착용하고 있다.
○ 쓰임 및 용도
왕 이하 문무관의 예복에는 상이 포함 되어 있는데 처용무 복식에도 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역시 이러한 예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처용무 복식에 포함되는 상은 앞 세 폭, 뒤 네 폭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예복의 상과 달리 그 구조가 복잡하다. 일반적으로 조복과 제복의 상은 중단위에 착용하고 그 위에 표의를 착용한다. 처용무 복식에 중단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상을 표의인 의(衣)의 안에 착용하기도 하고 위에 착용하기도 하여 착용 법에 변화가 있었다. 현행 보존회에서 착용하고 있는 상은 『악학궤범』을 기본으로 고증한 것으로 『악학궤범』에 나타나 있는 도설과 그 구조가 같다.
○ 구조 및 형태
『악학궤범』에 기록된 처용무 복식의 상은 그 구조가 독특하다.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양 쪽 가장자리에 일반적인 상의 모습으로 보이는 상이 각각 달려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는 첨(幨)이라고 불리는 휘장 부분이 달려 있다. 그리고 그 위에 긴 끈인 영(纓)이 두 가닥 달려 있다. 영은 천의와 마찬가지로 끝부분이 삼각형으로 마무리 되어 있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허리의 길이는 2척 4촌 5분으로 약 115㎝이며 너비는 1촌 2분으로 약 6㎝이다. 가장자리에 달린 상의 길이는 2척으로 약 94㎝에 이른다. 첨은 녹색단ㆍ홍금선ㆍ황색초로 만드는데 각각 6촌 1분, 2촌 6분, 5분으로 약, 28㎝, 12㎝, 2.3㎝로 전체 길이가 약 43㎝로 허리에서 무릎까지의 길이가 된다. 영의 길이는 2척 4촌으로 약 112㎝이고 너비는 1촌 5분으로 약 7㎝ 정도 된다. 영의 끝 부분은 천의처럼 삼각형으로 마무리하고 각 끝에 구슬을 달아 장식하였다.
양쪽 가장자리의 상은 황색 초를 사용하여 만들고 가운데 부분의 첨은 허리에 연결되는 부분은 녹색 비단으로 만들고 아랫부분은 황색초로 만들며 그 사이를 가로로 홍금선을 대어 연결하였다. 따라서 첨은 3색으로 구성된다. 그 위에 녹색 비단으로 만든 영 두 가닥을 부착한다. 영은 길경의 끝부분과 같은 구조로 도설에 의하면 세 꼭지점에 구슬을 달아 장식한다. 처용무 복식의 상은 오방 처용 모두 동일한 색상으로 만들어 착용한다.
처용무의 상은 처용이 신인(神人)으로서의 존재이지만 관리로서의 성격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관리의 복식에 사용되는 상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그 구조는 조복, 제복의 대대와 합쳐진 것으로 보이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다른 무용복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형태이다. 또한 끝을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고 각의 끝에 구슬을 달아 장식하였는데 이러한 구조는 길경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천의ㆍ상ㆍ길경에 모두 비슷한 종교적 의미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의 복잡한 구조와 색상이 춤동작을 더욱 화려하고 위엄 있게 보여준다.
이홍구, 『처용무』, 화산문화, 200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1』, 민속원, 2003. 박진아ㆍ조우현, 「처용무복식의 연구(1): 구조적 특징과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1, 1997.
조우현(趙又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