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군(襪裙, 袜裙), 말고(末古, 末袴, 抹袴, 襪袴)
처용무를 출 때 무용수가 착용하는 바지
처용무를 연행할 때 무용수가 착용하는 바지로 뒤가 터진 여기의 말군과 구조는 같으나 어깨끈이 달려 있지 않다. 흉배처럼 생긴 네모난 방슬(方膝)이 무릎 높이의 근처에 앞ㆍ뒤로 달려있고 의(衣)와 같이 방위에 따라 색을 달리 하여 색상의 대비를 보여준다. 중앙을 상징하는 처용은 남색 바지에 홍색 방슬을 부착하며 동쪽과 북쪽을 상징하는 처용은 홍색 바지에 흑색 방슬을 부착하고 서쪽과 남쪽을 상징하는 처용은 흑색 바지에 방슬을 부착한다. 오방(五方) 처용 모두 방슬의 가장자리에 녹색 선이 둘러져 있다.
처용무에서 착용되는 바지는 조선 시대 여성들이 착용했던 말군과 그 형태가 같으며 방슬이 장식되어 있다. 기록에 의하면 말군은 조선 시대 이전부터 이미 착용하였던 복식으로 조선 시대에는 주로 부녀자들이 말을 탈 때 벌어지는 치마를 가리기 위해 치마 위에 착용하였다. 말군은 그 명칭으로 미루어 원래는 바지에 버선이 달려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악학궤범』에는 말군 형태의 바지로 아악(雅樂) 등가(登歌)의 도창악사 및 차비(差備), 문무(文舞)와 무무(武舞)를 추는 공인, 순ㆍ탁ㆍ요ㆍ탁ㆍ응ㆍ아ㆍ상ㆍ독과 정(旌)ㆍ둑(纛)을 잡는 공인이 착용한 백주고(白紬袴), 세종조 회례연에서 아악(雅樂) 연주 시 무무(武舞)를 추는 공인이 입은 표문대구고(豹文大口袴), 처용무의 군(裙), 여기의 말군(襪裙) 등의 그림이 있다. 이는 모두 말군 형태의 뒤가 터진 바지 형태로 백주고와 표문대구고에는 발목에 버선이 달려있고 여기와 처용무의 바지에는 버선이 달려 있지 않은 것이 큰 차이점이다. 사폭바지가 일반화되기 전에는 남녀 모두 이러한 말군 형태의 바지를 착용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처용무의 바지 역시 말군 형태의 바지로 형성되었으나 시대가 흐름에 따라 일반적인 사폭바지의 형태로 변하였고 여기가 처용무를 연행할 경우에는 치마로 바뀌었다. 그러나 처용무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악학궤범』의 자료를 기본으로 고증하여 현재는 『악학궤범』에 나와 있는 말군에 방슬이 달린 형태의 바지로 정착되었다.
○ 구조 및 형태
처용무복의 군은 자락치마처럼 뒤가 열려 있는 바지로 허리와 발목에 주름이 잡힌 말군의 일종으로 바지폭ㆍ허리말기ㆍ허리끈ㆍ방슬로 구성된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허리말기는 홍색초로 만들며 그 길이가 2척 5촌 8푼으로 약 120.7cm 정도 되며 너비는 1촌 2푼으로 약 5.6cm 정도 된다. 군의 길이는 2척 4촌 7푼으로 약 115.6cm이며 바지 한 쪽의 너비가 2폭 반으로 약 130㎝이다. 무릎 위치에 방슬이 부착되는데 4촌 6푼, 약 21.5cm 길이의 정사각형이며 9푼, 약 4.2cm 너비의 선이 둘러져 있고 안쪽에는 다섯 개의 만화가 그려져 있다.
자락치마 착용법과 마찬가지로 허리 뒤쪽에서 겹쳐 허리 앞에서 허리끈으로 묶어 착용하며 바지의 길이로 보아 가슴 높이 정도에 묶어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바지폭이 2폭 반으로 넓기 때문에 배래선과 뒤가 열려 있는 군을 착용하고 걷거나 춤을 출 경우에도 뒤쪽의 여밈 부분은 노출되지 않는데 긴 의를 착용하기도 하며 군 안에도 여러 겹의 바지를 착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슬은 바지폭 좌우 무릎의 위치에 각각 앞뒤로 두 개씩 부착하여 앞 뒤쪽에서 보일 수 있게 하였다.
16세기 이후 남자의 바지 형태가 사폭바지로 변해감에 따라 처용무복의 바지도 말군 형태 외에 일반 사폭바지도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의에서만 오방색을 유지하고 바지는 일반적인 사폭바지를 착용하기도 하였으며 다리에 행전을 차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 19세기 의궤 자료에도 『악학궤범』의 도식과 같은 도식이 그려져 있어 다시 원래대로의 말군 형태로 복귀 된 것인지 또는 실제 착용과 달랐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현재는 복원 과정에서 『악학궤범』을 기준으로 하여 말군 형태의 오방색 바지로 만들어 착용하나 가랑이가 완전히 열리는 말군 형태가 아니라 여성 속바지 형태와 비슷하며 허리와 발목에 주름이 잡혀 있다.
○ 쓰임 및 용도
처용무의 군은 처용무 연행 시 무용수가 착용하는 하의로 다리의 움직임을 돋보이게 한다.
○ 재질 및 재료
『악학궤범』에 의하면 비단으로 만들었으며 그림 또는 자수로 제작된 방슬을 달아 장식하였다. 또한 오방 처용 모두 허리말기는 홍초로 동일하게 만들었다. 현재는 비단 또는 화학섬유로 만들며 자수로 제작된 방슬을 부착한다.
○ 제작방법
양쪽 다리를 끼울 수 있도록 두 장의 천에 치마와 같은 주름을 잡아 허리말기에 앞 중심위치에 겹쳐 단 후 발목 아래쪽에 주름을 잡아 고정하여 바지 부리를 만든다. 따라서 뒤가 터진 말군 형태로 구성되나 현재는 뒤가 막힌 일반적인 바지 형태로 제작되어 착용하고 있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처용무복의 바지인 군은 말군 형태였으나 16세기 이후 바지의 형태가 사폭바지로 변해감에 따라 처용무복의 말군형 바지도 사폭 바지로 변한 것으로 보이는데 여러 그림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진연의궤』에 무용 장면에서는 사폭바지를 착용한 것으로 보이나 복식도설에는 말군 형태의 군이 그려져 있어 확실치는 않다. 또한 넓은 바지폭과 방슬의 장식은 처용무를 더욱 화려하게 돋보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서인화ㆍ박정혜ㆍ주디반자일, 『한국음악학자료총서 제35집: 조선시대진연진찬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이홍구, 『처용무』, 화산문화, 2000.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1』, 민속원, 2003. 박진아ㆍ조우현, 「처용무복식의 연구(1): 구조적 특징과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1/1, 1997. 이태옥ㆍ윤현진ㆍ조우현, 「악학궤범의 처용무복식 고증 제작」,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1, 2005. 전혜숙ㆍ김태은, 「『악학궤범』에 나타난 처용무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2/14, 2004.
조우현(趙又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