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초삼(綠綃衫)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종묘제례에서 집박악사가 입는 겉옷
청삼은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종묘제례에서 집박악사가 박을 쳐서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릴 때 입는 겉옷이다. 조선 시대 문헌에는 집박악사가 입은 겉옷의 명칭이 녹삼ㆍ녹초삼ㆍ청삼 등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일제강점기 문헌에는 청삼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는 녹초삼과 청삼이라는 의복 명칭이 병용되었으나 동일한 의복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청삼의 형태는 조선 후기의 녹초삼과 같이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으며 사각형 무가 뒤로 젖혀져 뒷길에서 고정된 형태로서 조선 후기의 관복 단령과 동일하였다. 현행 악사가 입는 청삼은 조선 후기의 녹초삼과 형태도 동일하고 색상도 동일한데, 녹초삼과 달리 가슴과 등에 쌍학흉배가 부착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집박악사가 입은 겉옷은 조선 시대 문헌에는 녹초삼ㆍ녹삼ㆍ청삼 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부터 주로 청삼으로 기록되어 오늘날에 청삼으로 명명되고 있다. 녹초삼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된 청삼이라는 명칭은 조선 후기의 『종묘의궤』와 『기사진표리진찬의궤』, 일제강점기의 『조선아악요람』에서 확인된다. 악사의 복식은 『종묘의궤』를 비롯한 조선 후기 문헌에는 복두(幞頭)ㆍ녹초삼(또는 청삼)ㆍ오정대(烏鞓帶)ㆍ흑피화(黑皮靴)로 기록되어 있는데, 『조선아악요람』에는 모라복두(帽羅幞頭)ㆍ청삼ㆍ야자대(也字帶)ㆍ목화(木靴)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아악요람』의 악사 복식의 구성은 현행 악사 복식인 ‘복두⋅청삼⋅품대(品帶)⋅목화’와 품대를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현행 종묘대제 악사 복식의 원형은 조선 후기의 녹초삼 체제에 있지만 그 구성 품목은 『조선아악요람』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현행 악사 복식을 조선 후기와 비교해 보면, 녹초삼을 청삼으로 부르는 점, 겉옷의 가슴과 등에 쌍학흉배를 부착하는 점, 오정대 대신 품대를 두르는 점, 흑피화를 목화로 명칭을 바꾸어 부르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 쓰임 및 용도
청삼은 조선 후기 종묘제례에서 집박악사가 입었던 겉옷으로 일제강점기를 거쳐 오늘날까지 착용되고 있다. 현행 종묘대제에서 악사는 머리에 복두를 쓰고 흉배가 달린 녹색 비단으로 만든 청삼을 입은 다음 허리에 품대를 두르고 신목이 긴 검은색 목화를 신는 차림을 하고 있다. 현행 청삼은 명칭만 녹초삼에서 청삼으로 변경되었을 뿐 색상도 녹색으로 동일하고 형태도 조선 후기 문무백관이 입었던 관복 단령과 동일하다.
○ 형태 및 구조
조선 후기 청삼의 형태는 『종묘의궤』의 녹초삼 도식화와 『기사진표리진찬의궤』의 청삼 도식화에서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청삼은 녹초삼의 다른 이름에 불과하므로 그 형태도 녹초삼과 동일하다. 즉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으며 사각형 무가 뒤로 젖혀져 뒷길에서 고정된 형태로서 조선 후기의 관복 단령과 동일한 형태이다.
일제강점기의 청삼은 『조선아악요람』과 『조선아악기사진첩 건』에서 볼 수 있다. 『조선아악요람』에는 종묘제례의 집박 아악수장(雅樂手長)의 복식이 모라복두ㆍ청삼ㆍ야자대ㆍ목화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아악기사진첩 건』에는 박을 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과 아악수장이 입은 복두ㆍ청삼ㆍ야자대ㆍ목화의 사진이 수록되어 있다. 청삼을 보면,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넓은 조선 후기의 단령으로 보이는데 흉배는 달려 있지 않다.
광복 이후 종묘대제에서 사용된 악사의 겉옷은 이전부터 전승되어 오던 청삼의 형태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종묘대제에서 사용된 악사의 청삼은 흉배가 달리지 않은 녹색 계열의 단령이었다.
현행 종묘대제 악사의 청삼 역시 녹색 계열의 단령인데 흉배가 달린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현행 악사의 청삼은 사실상 조선 후기 문무백관이 의례복으로 입었던 흑단령과 거의 동일하므로 흑단령을 차용해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의 흑단령은 현록색 단령으로 가슴과 등에 흉배가 달려 있다.
○ 재질 및 재료
조선 후기 악사의 청삼은 곧 녹초삼이므로 그 재료 역시 동일하다.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의 녹초삼을 만들기 위한 옷감과 실의 필요량을 토대로 청삼의 재료를 추정해 볼 수 있다. 녹초삼 한 벌을 만드는 데 녹색 비단 19척, 초록색 실[草綠鄕絲] 5분이 사용되었고 안감에 대한 기록이 없으므로 홑옷으로 볼 수 있는데, 청삼 역시 이에 준해 제작되었을 것이다. 2005년에 고증ㆍ재현된 악사의 청삼에는 겉감으로 녹색 운문사, 안감으로 남색 운문사가 사용되었다.
현행 종묘제례에서 집박악사는 등가ㆍ헌가 악공이 연주할 때 박을 쳐서 음악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서양음악의 지휘자에 해당하는 연주의 총괄 책임자이다. 악사가 입는 복두ㆍ청삼ㆍ품대ㆍ목화 차림은 관복 차림으로 다른 연주자들의 옷차림보다 품위가 있어 보인다. 현행 청삼은 녹색 단령으로 조선 후기 녹초삼의 조형성과 상징성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전통예절의 음양론에서 악사가 입은 청삼의 녹색은 흑색계로 양에 해당하고 일반 연주자가 입은 홍주의의 홍색은 음에 해당하므로 청삼과 홍주의는 지휘자와 연주자 간의 음양의 조화를 복식으로 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후기에도 악사가 입은 청삼(또는 녹초삼)과 일반 연주자들이 입은 홍주의는 녹ㆍ홍 보색대비를 이루어 악사가 연주자들 사이에서 쉽게 구별되는 효과가 있었다. 현행 종묘대제에서는 악공의 연주복과 일무악공의 무용복이 홍색 일색을 이루면서 청삼을 입은 악사의 모습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현행 악사의 청삼에는 조선시대 당상관의 흉배인 쌍학흉배를 달아 복색의 아름다움을 더하면서도 악공 및 일무악공의 옷차림과 구별되도록 연출하고 있다.
강제훈 외 8,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송지원⋅이숙희⋅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고윤정, 「조선시대 궁중악인 복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박소연, 「종묘제례악 악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이주영(李珠英)